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408 vote 0 2013.11.11 (10:52:10)

아래에 이어집니다.


자연주의는 자연을 전체로 본다.

반자연주의는 '자연주의자의 자연'을 전체가 아닌 부분으로 본다.

반자연주의가 자연주의에 대항하려 한다면 잘못된 포지셔닝이다.


자연주의/반자연주의 논쟁은 전체/부분에 대한 논쟁이다.

엔트로피의 법칙에 따라 전체는 부분의 합(전체)보다 크다.

전체 1과 전체 2(부분의 합)는 개념이 다르다.


두 전체 사이에서 언어적 혼선이 일어난다.

철학은 언어학이다.

철학은 두 전체를 분별하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문제를 해소한다.


전체 1은 사건의 시공간적 완전성이다.

전체 2는 사물의 공간적 전체성이다.

사건은 사물에 앞선다.


사건의 완전성은 사물의 전체성에 앞선다.

깨달음은 사건의 완전성에 대한 깨달음이다.

전체(사건)는 부분의 합(사물로서의 전체) 보다 크다.


반자연주의가 자연주의의 불완전성을 지적하면 자연주의는 단어의 뜻을 바꾼다.

자연주의가 사물의 전체성이 아니라 원래부터 사건의 완전성을 의미했다고 우긴다. 

철학자의 언어학적 대응에 의해서만 문제는 해소된다.


부분은 자동차의 바퀴다.

부분의 합은 자동차부품들의 집합이다.

전체는 자동차 부품들의 시간적 동력전달순서를 지정한다.


전체에는 부분의 합에 없는 정보가 들어 있다.

조립된 자동차와 부품들의 합은 다르다.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까지 자동차 포함하려면 시간성을 반영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285
733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image 33 김동렬 2014-01-15 7484
732 생각의 정석 v 2.0 두번째 방송 대본 2 오세 2014-01-15 3679
731 운명과 자유의지 3 김동렬 2014-01-07 4672
730 인간에게 자유의지는 있는가? image 7 김동렬 2013-12-30 8010
729 진화의 목적은 없는가? 9 김동렬 2013-12-29 4999
728 성범죄의 원인 image 17 김동렬 2013-12-26 10143
727 새로운 학문의 체계를 건설해야 1 김동렬 2013-12-26 3920
726 생각의 정석 20회 오세 2013-12-19 3508
725 에디슨과 잡스의 천재성 image 1 김동렬 2013-12-18 6319
724 글을 잘 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3-12-15 5451
723 선이 굵으면 좋은 디자인 image 1 김동렬 2013-12-15 4050
722 고백을 받으면 싫어지는 이유 1 김동렬 2013-12-15 10539
721 생각의 정석 19회 오세 2013-12-12 3293
720 에디슨의 명언 image 5 김동렬 2013-12-12 8628
719 예술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3-12-11 4948
718 전제를 의심하라. 4 김동렬 2013-12-11 6021
717 유전자와 사회적 상호작용 5 김동렬 2013-12-10 4090
716 류시화가 가짜인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3-12-09 9210
715 류시화이야기 펌 image 4 김동렬 2013-12-08 7061
714 인류의 기원 image 2 김동렬 2013-12-05 4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