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3157 vote 0 2002.09.27 (19:27:26)

만약 이회창이 된다 해도 한가지는 분명히 해낼거 같지 않습니까
조선일보 때려잡기말입니다
영삼이 대중이 당한거 보고 지는 안당할거라고 생각하는 바보 아니겠죠
집권 5년간 조선일보에 똥구녕이 핧거나
아니면 조선일보를 죽이거나
둘중에 하나 아니겠습니까
설마 이회창이가 역사에 남는 대통령이 될려면 무얼 해야하는지도
모르는 등신은 아니겠지요(정말 등신이면 어쩌지?)
오히려 회창이의 독기(창자를 뽑아버린다) 몽준이의 두리뭉실함이나
노무현의 맞짱보다 조선일보의 몰락을 더 앞당기지 않을까 기대도 되는데요
조선일보만 없으면 대한민국 다 된거 아니겠습니까
제 주변의 30대 직장 동료들 신문을 거의 안봅니다
인터넷에서 다 보는데 뭐할라고 보냐고
마누라는 저보고 한겨레신문 끊으라고 합니다
안보고 버리는 게 반인데 돈아깝다면서요
한 놈은 대한매일을 들고 왔길래
놀래서 물어봣더니 스포츠서울 보니까 끼워주더라데요
신문구독하는 놈이 하나 더 잇는데
걔는 일간스포츠입니다
요즘 메이저 신문사의 구독경쟁이 정말 치열합니다
전동공구 세트에 6개월 무료
메이저 신문의 몰락이 가까이 왔다는 느낌이 듭니다
다음이나 네이버같은 선도적 포털들의 여론 영향력도 만만치 않은데
이들의 뉴스 편집이 조선일보에 적대적이더라구요
하기야 다음이나 네이버 사장이 조선일보 좋아할리 있겠습니까
자기들을 키워준 김대중 정권을 저리 공격하는데 말입니다
80년대 말 90년대 초 버스에서 조선일보 잃고 어찌나 떨리던지
내릴역에서 일어서니까 몸이 휘청거리더라구요
마치 조선일보 기자들이 이런 말을 하는것 같더라구요
"너희도 기분 나쁘고 아니꼬우면 공부해서 기자되봐
그러 능력 없으면 대가리 쳐박구 살아 새끼들아"
언제 이 새끼들한테 복수하나
평생 그럴기회가 없는거 아닌가 하고 생각했는데
요즘은 이 새끼들 숨이 깔딱깔딱하는게 조금씩 느껴집니다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반드시 노무현이 되야 하지만
이회창이가 되더라도 언젠가 님의 글에서 읽은 것처럼 되돌리지는 못할거 아닙니까
근데 이회창이가 정말 등신 쪼다면 어쩌지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85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578
2390 바른생활 필요없다 image 7 김동렬 2012-02-06 13327
2389 인생의 정답 image 6 김동렬 2012-02-05 16743
2388 구조론으로 본 한의학 image 12 김동렬 2012-02-02 12050
2387 완전한 전쟁은 가능한가? image 김동렬 2012-02-02 10995
2386 스티브 잡스의 성공원인 image 2 김동렬 2012-02-01 12596
2385 완전한 승리를 얻는 방법 image 4 김동렬 2012-01-31 11383
2384 상대어를 버리고 절대어를 훈련하라. image 6 김동렬 2012-01-26 13246
2383 콤플렉스형 인간 완전성형 인간 image 10 김동렬 2012-01-23 12504
2382 이해하지 말고 반응하라 image 2 김동렬 2012-01-22 11517
2381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998
2380 로봇의 진화 image 6 김동렬 2012-01-18 11173
2379 로봇을 만드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1-17 14796
2378 왜 인간은 로봇을 만들지 못할까? image 3 김동렬 2012-01-15 15347
2377 깨달음의 의미 image 11 김동렬 2012-01-14 11255
2376 싸움에서 이기는 방법 image 9 김동렬 2012-01-13 16705
2375 구조는 자이로스코프다. image 11 김동렬 2012-01-11 19554
2374 성공하는 작품의 공식 image 5 김동렬 2012-01-11 12583
2373 시간의 전개에서 공간의 충돌로 image 6 김동렬 2012-01-09 12200
2372 왜 사실주의인가? image 김동렬 2012-01-08 10763
2371 창작 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1-06 11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