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3172 vote 0 2002.09.27 (17:31:10)

[이 글은 국민정당의 추진에 반대의견을 가진 어떤 분을 위한 변명으로 씌어졌습니다]

15년전 6월항쟁으로 씨앗이 뿌려졌습니다. 그로부터 15년이 흘렀습니다. 그때 20살이었던 대학생 청년은 이제 35살 한창 나이가 되었습니다. 그때 35살이었던 넥타이부대는 지금 50살입니다. 명실공히 연부역강한 이 사회의 주역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떨치고 일어설 때입니다. 우리가 주인이라고 외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럴 나이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성숙했던 것입니다.

15년전 최루탄과 화염병 속에서 심어진 그 씨앗이 이제야 싹을 틔우고 있습니다. 그 씨앗이 유시민의 국민정당으로 싹을 틔우고 있습니다. 물론 여전히 실패할 확률은 높습니다.

그러나 설사 싹이 잘린다 해도 뿌리는 살아있습니다. 15년전의 과거를 누구도 역사에서 지울 수는 없습니다. 역사가 죽지 않는 한 우리는 결코 죽지 않습니다.

숨막히던 최루탄 연기 속에서 명동거리를 내달리던 그 시절을 기억하십니까? 누구도 역사를 속일 수는 없습니다. 한 두 번의 실패야 각오해야 합니다. 그러나 시행착오를 거듭할수록 우리는 오류를 시정하고 조금씩 방향을 잡아나갈 것입니다.

실패를 두려워하면 한 걸음도 전진하지 못합니다. 죽이되든 밥이되든 우선은 출항을 시켜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해야합니다.

.....

님은 저희보다 한 세대 윗분이십니다. 이제부터 집을 짓자고 해서는, 언제 그 집에 대들보를 올리고, 어느 세월에 그 집에 인테리어를 하고, 입주를 하고 아들낳고 딸낳고 살게 될지 감이 잡히지 않을 것입니다.

님은 이 사회를 위해 님의 닦은 지혜를 당장이라도 사용해야할 사람입니다. 그렇지만 저희는 아직도 젊습니다. 이제 초석을 놓고 번듯한 집을 지어서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참입니다.

오늘 우리의 노력이 월드컵의 붉은악마 세대 쯤 가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래도 그 길을 갈 생각입니다. 둘러봐도 다른 길은 보이지 않으니까요. 어차피 역사의 필연에 의해 그렇게 되게 되어있기 때문이지요.

어쩌면 우리는 주인공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훗날 올 누군가를 위해 먼저 와서 번듯한 집 한채 지어놓고 물러나는 것이 역사가 맡긴 소임의 전부인지도 모릅니다. 어쨌거나 우리는 우리의 힘으로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할 뿐입니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그것은 국민정당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019
2357 황선홍과 비뚤어진 한국인들 김동렬 2023-10-08 4166
2356 이겨먹으려는 이찍들 5 김동렬 2023-05-22 4166
2355 시뮬레이션 우주론 김동렬 2022-08-28 4165
2354 사이코패스의 특징 김동렬 2023-06-07 4164
2353 나는 내가 아닌 것이 아니다 2 김동렬 2019-04-12 4164
2352 섹스의 사유화 경향 3 김동렬 2019-04-30 4164
2351 김건희 어찌되나? 1 김동렬 2023-12-28 4159
2350 진보냐 폭력이냐 1 김동렬 2023-07-03 4156
2349 진중권 잔대가리 윤석열 멸망 1 김동렬 2021-07-14 4156
2348 김기덕, 어떤 천재의 최후 김동렬 2020-12-12 4155
2347 얼굴에 다 씌어 있다 image 김동렬 2022-06-19 4154
2346 보편성과 특수성, 일반성과 다양성 김동렬 2020-12-31 4154
2345 표창원의 적전도주 1 김동렬 2020-05-25 4154
2344 혼노지의 변 김동렬 2021-02-16 4151
2343 지금은 철학할 때다 2 김동렬 2019-04-04 4151
2342 오마이 한겨레 경향의 배신 이유 1 김동렬 2024-01-12 4150
2341 넷플릭스 영화 화이트 타이거 3 김동렬 2021-02-21 4150
2340 마음은 바다를 건넌다 2 김동렬 2019-02-14 4150
2339 재명낙연 일차전 관전평 7 김동렬 2021-08-30 4149
2338 내시균형 엔트로피 구조론 3 김동렬 2023-04-04 4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