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547 vote 0 2013.10.28 (00:17:01)

 

 maple-seed.JPG


단풍나무 씨앗은 날개 표면의 요철이 골프공의 딤플처럼 와류를 만들어 공기흐름의 

의사결정을 쉽게 하는 방법으로 진공을 만든다. 진공에 의해 양력이 생긴다. 


whirlybird21.jpg

maple-sed.JPG

 

    이런 모양이어야 잘 회전한다. 그러나 누가 돌려줘야 하며 스스로 돌 수는 없다.


    단풍나무의 씨앗은 회전하면서 땅으로 떨어진다. 왜 회전을 하는가? 씨앗에는 외날개가 달려있다. 무거운 쪽이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그냥 떨어지면 된다. 그런데 왜 수평으로 자세를 바꿔 회전하지?


    주목할 점은 날개가 하나라는 것이다. 회전하는 것은 바람개비처럼 날개가 대칭이어야 한다. 그런데 비대칭이 안정적으로 회전한다? 단풍나무 씨앗은 편심을 이룬다. 중력을 받으면 중심으로 이동한다.


    중심에 멈출 수 없으므로 시계추처럼 중심을 지나쳐 반대쪽으로 갔다가 되돌아오면서 진동한다. 이때 편심이 움직이는 두 배의 거리를 반대쪽 날개가 움직이게 된다. 이 문제는 최소작용원리를 호출한다.


    보트를 탔는데 노가 없다면 판자로 노를 대신할 수 있다. 그런데 판자가 물 속에서 측면으로 미끄러져서 제대로 노를 젓기 어렵다. 중심을 잡을 수 없는 것이다. 이때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떠올려도 좋다.


    전기모터는 자력선이 밀집한 곳에서 자력선이 드문 곳으로 밀리는 현상을 이용한다. 자력선의 밀도차다. 단풍나무 씨앗이 돌아가는 원리도 같다. 중력과 풍력 사이에서 의사결정을 최소화 하려는 원리다.


    전기모터가 구동되는 원리는 전력과 자력 사이에서 의사결정을 최소화 시키려는 원리다. 모터가 돌면 도체에 전류가 흐르고, 반대로 전류가 흐르면 모터가 돈다. 단풍나무 씨앗이 돌면 바람이 일어난다.


    반대로 바람이 일어나면 단풍나무 씨앗이 회전한다. 문제는 단풍나무 씨앗이 대칭이 아니라 편심이라는데 있다. 대칭이어야 더 잘 회전한다. 다만 최초에 모터를 구동하지 못한다. 편심이 스타터가 된다.


    이 원리는 처음 질에서 입자로 이행하는 구조와 같다. 유체로 된 계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입자가 생긴다. 입자는 축이 대칭된 날개보다 강해야 한다. 축이 닫힌계의 중심에 위치해야 하는 것이다.


    질에 이물질이 있을 때 에너지가 가해지면 깨진다. 이물질은 정확하게 중심에 자리잡아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중심으로 이동하는가? 단풍나무 씨앗은 축이 편심이지만 회전에 의해 중심으로 이동한다.


    훌라후프 돌리기와 같다. 훌라후프는 혤리혜성이 태양 주위를 돌 듯이, 중심이 아닌 편심으로 회전한다. 단풍나무 씨앗의 편심이 회전에 의해 중심으로 이동하여 특이점을 차지하면 강력한 입자가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3.10.28 (08:55:32)

축에 중심이 있으니 날개는 하나라도 회전에 의해 날개 하나를 더 보충해버린 형태네요. 단풍나무 씨앗에 날개가 하나인 이유가 있었던 것. 날개가 애초에 둘이면 무게중심이 축에 있다 하더라도 땅에 내려앉기 어려워 부유하게 되므로. 한쪽 날개를 편심에 의해 양날개처럼 사용하게 되는데, 회전이 일어나면 화살 형태가 되어 방향성이 생김. 날아가는 것 처럼 보여도 착지나 내리 꽂는 형태를 만든다고 여겨지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3.10.29 (09:26:17)

위의 경우에 비춰 보자면...
사람이 직립하게된 경우도 무게중심이 배꼽아래에 있기 때문이라고 여겨짐.
중력에 영향을 더 받는 구조로 발달한 것.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17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1
6859 라이프 오브 파이 image 8 김동렬 2013-02-04 35489
6858 돈오는 역산방식이다 image 2 김동렬 2012-11-26 34527
6857 개구리소년의 총알 맞은 두개골 image 김동렬 2002-09-30 33800
6856 황수정 아나운서 O 2002-12-01 31061
6855 구조론과 그 적들 image 4 김동렬 2015-04-11 30995
6854 놀라운 지혜 image 김동렬 2003-06-09 30872
6853 계단을 오르는 휠체어 image 김동렬 2003-04-28 30444
6852 여자의 가슴이 예쁜 이유 image 9 김동렬 2014-06-26 30018
6851 형과 아우를 생각하며...김민웅과 김민석 2002-11-01 29461
6850 신당을 창당한다면 image 61 김동렬 2012-02-13 29193
6849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2 김동렬 2016-03-16 28833
6848 소승적인 문제 6 김동렬 2014-04-08 27928
6847 숫자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2-04-02 27160
6846 지식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1-09-05 26825
6845 무신론자의 신이 있다 image 4 김동렬 2013-03-07 26674
6844 개구리소년은 총살되었나? 김동렬 2002-09-30 26599
6843 모르면 모른다고 하라 1 김동렬 2014-06-23 26110
6842 아줌마옷 수수께끼 image 8 김동렬 2009-06-11 25991
6841 "개구리소년들 둔기로 타살"-법의학교실(종합) image 김동렬 2002-11-12 25734
6840 시계의 구조 image 김동렬 2009-02-02 24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