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890 vote 0 2013.10.01 (20:31:54)

 

    우주의 모형

 

20131001_200028_resized.jpg

    팽창하는 우주의 생장점이 어디에 있느냐다. 팽창이라는 표현 자체에 함정이 있다. 왜 집적이라고 하지 않고? 팽창은 두 손바닥을 펼쳐 나비모양을 만든 것과 같다. 이때 오른손 손끝과 왼손 손끝은 거리가 멀다.


    빅뱅이라 하면 무심코 이 모형을 떠올리기 쉽다. 근데 이걸 누가 정했지? 지구는 둥글다. 해는 동쪽에서 뜨지 않는다. 천동설을 지동설로 바꿔야 한다. 언제나 그렇듯이 우리는 좌우가 바뀐 거울을 보고 있다.


    팽창우주의 모형은 두 손의 손가락 끝을 맞닿게 한 것과 같다. 이때 우주는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다. 하이퍼링크와 같은 무수한 지름길이 있다. 식물의 생장점은 가지 끝에 있고 동물의 생장점은 관절에 있다.

 

1310371095.jpg

 

    두 손가락이 마주치는 접점이 생장점이다. 마주치는 지점은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도 있다. 전방위로 생장점이 있다. 이 모형은 일본드라마의 가족관계도와 같다. 일본 드라마는 모든 방향으로 관계가 있다.

 

    한국드라마의 관계도는 그리스신화의 계보도와 같다. 스핑크스와 에로스의 거리는 멀어서 서로 만날 수 없다. 일본드라마는 이미 만났다. 이미 둘 사이에 아이가 있다. 근친, 원친, 남자, 여자 가리지 않는다.

 

a1a1q.JPG

 

    일본드라마 모형으로 보면 우주의 중심은 없다. 모든 지점이 우주의 중심이면서 동시에 우주의 변방이다. 그러면서도 중요한 거점들이 있다. 더 많은 관계를 가져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지점들이 있다.


    그 지점을 이용하면 더 빠르게 하이퍼링크를 탈 수 있다. 구조론의 밀도개념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밀도가 높은 지점과 밀도가 낮은 지점이 있다. 주변과 더 많은 링크를 가진 포지션들이 더 밀도가 높다.


    우주는 은하계, 은하단, 초은하단 따위로 불균일한 지점이 있다. 한국식 족보와 일본식 족보가 섞여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일본식 족보를 따른다. 우주의 생장점은 바깥이 아닌 안쪽에 있다.


    우리가 우주의 어느 방향을 바라보든 우주의 안쪽을 보게 된다. 입체라는 개념을 버리고 밀도라는 개념으로 우주를 보는 시선을 바꾸어야 이러한 점은 바르게 이해될 것이다. 우주공간은 모눈종이가 아니다.


    우주의 두 지점을 특정하고 똑바로 선을 그어도 실제로는 인터넷의 정보가 서버를 찾아가듯이 거점들을 따라가게 된다. 라우트를 따라가는 것이다. 빛이 태양주변에서 휘어지는 것도 같은 원리다.


    인간 눈에는 곡진이지만 빛 자신은 직진한 것이다. 택시가 시내를 구불구불 가도 우리 눈에는 직선으로 간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이론적으로 둘의 차이는 없다. 그런데 밀도의 차이가 있다.


[레벨:1]yunbal

2013.10.02 (09:44:54)

내부의 +와 -합이 0이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균일인가요? 퍼지는 물질들의 방향성도 모두 합하면 제로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로 받아들이면 될지요?? 잘 몰라서..

처음엔 은하가 우주인줄 알았고, 은하단이 우주인줄 알았고, 지금은 그런 은하단도 겁나게 많다는 것을 발견하고 더 큰 우주를 말합니다. 여기서 은하들 사이의 가리가 총제척으로 멀어지고 있으니 빅뱅한 것 아니냐 이건데... 아직 모르죠, 또 더 큰 무언가가 있을지도.. 혹 더큰 무언가가 있거나, 지금 우주라고 부르는 것들이 외부에 또 있다면, 이것도 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86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587
4230 생즉사 사즉사 이준석 2 김동렬 2022-08-15 4856
4229 MZ세대의 집단자살 3 김동렬 2022-08-31 4860
4228 사랑 73, 아름다움을 안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3-14 4863
4227 독재라는 질병에 대하여 김동렬 2021-04-17 4865
4226 사랑의 정석 51, 정상이 되자. image 1 김동렬 2016-02-11 4869
4225 테트라포드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9-09-08 4871
4224 깨달음은 패턴을 복제하는 능력이다 image 김동렬 2015-12-31 4874
4223 이언주의 귀환 김동렬 2024-01-23 4877
4222 다섯개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04 4884
4221 사랑의 정석 29,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6-01-08 4885
4220 귀납은 없다 1 김동렬 2019-08-22 4885
4219 사건을 보고 사물을 안다 1 김동렬 2019-11-20 4887
4218 마음의 변화 2 김동렬 2019-03-20 4890
4217 정신 못 차린 한국인들 2 김동렬 2024-02-15 4894
4216 수학자의 세계관 1 김동렬 2020-09-07 4901
4215 사랑의 정석 34, 합리적인 선택 1 김동렬 2016-01-18 4908
4214 사랑 74, 새로운 세계로 image 1 김동렬 2016-03-15 4909
4213 오생만물 image 1 김동렬 2015-11-06 4911
4212 인질범의 승리 4 김동렬 2018-09-06 4912
4211 사랑의 정석 8회 image 1 김동렬 2015-12-09 4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