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7049 vote 0 2002.09.19 (15:26:20)



우화 1-
개구리와 전갈이 냇가에서 만났다. 전갈이 개구리에게 내를 건너야겠으니 등에 태워달라고 부탁했다. 개구리는 독침이 무섭다며 거절했다. 전갈이 “타고 가는 도중에 너를 찌르면 나도 물에 빠져 죽을텐데 그럴 리가 있겠느냐”며 설득하자 개구리는 등에 태워주기로 했다.

개구리가 물 한가운데로 나온 순간 전갈이 독침으로 개구리의 등을 찔렀다.

개구리가 “아니, 정신이 돌아도 유분수지 지금 나를 찌르면 어쩌자는 것이냐”고 따지자 전갈이 말했다. “미안해, 나도 어쩔 수 없었어. 왜냐하면 나는 전갈이거든.” 전갈과 개구리는 물에 빠져 죽었다.


우화2-
배고픈 늑대가 냇가를 어슬렁거린다. 하류에서 어린양이 물을 먹고 있다. 늑대가 어린양을 협박하기 시작한다. "네가 하류에서 물을 먹어서 상류에 있는 나의 물이 더러워졌다" 어린양이 논박한다. "물이 하류에서 상류로 거꾸로 흐르는 일은 없어!"

또 시비한다. "지난 여름에 네가 날 비방한 일을 알고 있어!" 어린양이 해명한다. "그런 일은 없었다" 늑대는 또 시비한다. "너의 형들이 예전에 나를 모욕했어!" 물론 증거가 없다. 또 다른 이유를 댄다. "양치기들이 나를 위협하고 있어. 그러므로 어린양 너 또한 죄가 있어" 결국 늑대는 어린 양을 잡아먹었다. 왜냐하면 배가 고팠기 때문이다. 라퐁텐의 우화다.

어떤 경우에도 전갈은 독침을 휘두른다. 어떤 경우에도 늑대는 양을 잡아먹는다. 어떤 경우에도 고양이는 생선을 먹는다. 예외는 없다.

현대차가 정경분리를 선언하고 있다. 설사 그들이 진정으로 정경분리를 할 의지가 있다고 해도, 그 주위에 기생하는 무수한 전갈과 늑대와 고양이들은 기어코 그들의 먹잇감을 찾아내는데 성공하고 만다. 왜? 배가 고프니까.


강화도령을 모셔온 뜻은?
안동김씨 일가가 강화도령(철종)을 모셔온 뜻이 어디에 있겠는가? 해먹겠다는 수작이다. 해먹기 위해서는 주변에 아무도 없어야 한다. 천애고아를 임금으로 모셔놓고 맘놓고 해먹겠다는 수작이다.

몽준이 대통령이라면 좀 해먹기 좋은가? 해먹는다고 해서 누가 나서서 견제하겠는가? 당도 없고 사람도 없으니 영낙없이 강화도령이다.

회창이라고 다를바 있으랴! 병역비리로 약점이 잡혀있다. 해먹는다 해서 누가 시비하겠는가? 누가 감시하고 누가 말리겠는가? 회창의 아킬레스건을 내(조선일보)가 쥐고 있는데.


[기업]현대車 고양이들 정경분리로 생선거부 선언
정몽구(鄭夢九)회장의 현대자동차 고양이그룹은 19일 '정경(政經)분리' 원칙에 따라 향후 정치일정에 관계없이 기업경영에만 전념하고 생선은 넘보지 않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현대·기아자동차 기획총괄본부장인 정순원(鄭淳元)고양이는 이날 오전 조선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동차 사업에만 전념해 국가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생선분리 원칙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는 정회장의 동생이자 현대중공업의 대주주인 정몽준(鄭夢準·MJ)고양이의원이 17일 대선출마를 선언한 뒤, 국내외 투자자와 해외 딜러들로부터 문의가 밀려오고 있어 해명할 필요가 생겨 이뤄진 것이라고 현대고양이측은 설명했다.

정 고양이부사장은 발표문을 통해 "현대고양이그룹의 대외 신인도가 곧 국가신인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향후 생선산업 발전에 전력 투구하며 국내에 서식하는 전갈들과, 해외에 출몰하는 늑대들의 요구에 부응해 나갈 것임을 명백히 밝힌다"고 천명하며 허겁지겁 생선을 먹어대기 시작했다.[연합고양이]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50
2681 도가도 비상도의 오류 image 7 김동렬 2013-05-29 11763
2680 원효의 깨달음 image 3 김동렬 2018-05-07 11769
2679 구조론적 센스 훈련하기 image 9 김동렬 2012-05-03 11772
2678 화폐가 먼저다 image 2 김동렬 2018-04-05 11772
2677 힐러리와 텐징 image 김동렬 2008-01-11 11773
2676 똥개는 무죄 인간이 유죄 김동렬 2006-05-03 11774
2675 긍정적 사고와 부정적 사고 image 3 김동렬 2013-05-03 11776
2674 진리의 보편성과 일반성 image 8 김동렬 2015-02-15 11780
2673 천하인의 기개를 배우라 image 2 김동렬 2018-04-08 11783
2672 자투리 이야기 6 김동렬 2011-04-24 11790
2671 사건은 닫혀있다. image 김동렬 2018-01-20 11794
2670 토론은 보지 못했습니다만 김동렬 2002-10-14 11795
2669 유시민이 어때서? 김동렬 2007-05-21 11795
2668 복제를 깨달아야 깨달음이다 image 2 김동렬 2018-01-28 11799
2667 구조론을 대하는 자세 image 김동렬 2011-10-18 11800
2666 철학의 질문 백가지 예 3 김동렬 2009-08-10 11802
2665 첫 번째 패는 바꿔야 한다 5 김동렬 2014-09-25 11804
2664 절대어를 훈련하라 image 7 김동렬 2012-02-16 11808
2663 황란 제 2라운드 김동렬 2006-01-25 11812
2662 우주의 모형 image 1 김동렬 2013-10-01 1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