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643 vote 0 2013.08.30 (11:43:52)

    창의성과 획일성 

 

1.JPG

 


 

    보편성과 일반성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나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극이 다르다. 가리키는 방향이 다르다. 그냥 봐서는 모르고 짝지어봐야 안다. 특수성은 제거해야 보편성이 발견되고, 다양성은 합쳐야 일반성이 발견된다.


    보편성은 어떤 둘의 사이에 있고, 일반성은 여럿을 덮어쓰고 있다. 보편성은 집과 집 사이의 길이다. 일반성은 방과 방을 덮어쓰는 지붕이다. 특수성은 길이 아닌 야산이다. 다양성은 집의 많은 방들이다.


    일반성은 눈에 보이는 몸뚱이에서 찾고, 보편성은 주로 추상적인 관계에서 찾는다. 창의하기 위하여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인과법칙의 오류다. 보편성을 얻어야 다양성이 살아난다.


    막연히 다양성을 추구하면 일반화 되어버린다. 먼저 보편성을 얻고 그것을 다양한 환경에 놓아보는 것이 제대로 된 창의다. 선보편 후다양이다. 먼저 다양성을 추구하면 일반화 되어 획일화 된다.


    흑인의 눈에는 다양한 한국인들의 얼굴이 모두 같은 얼굴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한국인들은 흑인의 얼굴을 잘 알아보지 못한다.


    보편성을 획득하지 않으면 다양성이 획득되지 않기 때문이다. 진정한 다양성은 대칭성을 가지는 것이다. 투수와 포수, 내야수와 외야수처럼 확실한 짝짓기로 포지션을 가져야 다양성을 획득한다.


    한국인은 같은 한국인 얼굴은 길쭉이와 땅딸보로 대칭시켜 보지만, 흑인은 그냥 흑인으로 본다. 흑인과 흑인 사이의 대칭성이 없기 때문에 다양하지 않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오바마와 같은 지적인 흑인도 있고 타이슨과 같은 근육질 흑인도 있다. 표정이 살아있다.


    같은 야구로 보편성을 얻어야 투수와 포수의 다양성이 획득된다. 야구와 축구가 뒤섞여 있으면 다양성은 알 수 없다.

 

    진리는 오직 보편성 하나를 찾는 것이며, 일반성과 다양성 등 다른 요소들은 보편성으로 가는 절차에 불과하다. 다양성의 승객들을 쫓아 일반성이라는 기차역들 사이에서 보편성이라는 기차철로를 찾아내고 그 과정에서 특수성이라는 철로 주변의 건널목 따위 방해자를 제거하여 철로만 확실히 추려내는 것이다.


    보편성을 얻은 다음에는 그것을 다양한 시간과 공간의 장소에 놓아보면 된다. 온갖 포즈가 얻어진다. 그것이 창의성이다. 반대로 다양성을 추구했더니 일반화 되어버리는 것이 획일성이다.


    진정한 보편성은 대칭구조 그 자체다. 강과 약, 고와 저, 장과 단, 흑과 백, 음과 양으로 대칭을 이뤄가는 구조 그 자체가 보편성이며 바로 이것을 획득해야 창의는 가능하다.

2.JPG

    보편성이라는 시소가 있어야 다양한 사람을 많이 모을 수 있다. 시소가 없이 사람을 모으려 하면 자기네들끼리 싸워서 흩어진다. 혹은 시소의 한쪽에 사람이 쏠려도 곤란하다. 시소는 팽팽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최대한 태울 수 있다.

 

    일반성은 싸움나고 다양성은 흩어진다. 만약 다양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흩어지지 않았다면 숨은 보편성이 있는 것이다. 보이지 않아도 내부에 시소가 있다. 그 보편성의 시소를 찾아내야 그 구조를 복제할 수 있다.

    다양한 요소들을 통합시켜 묶어놓는 것은 긴장이다. 스트레스다. 사람이면 주로 남녀간의 성적 긴장이 통합을 유발한다. 동물은 주로 포식자와 피식자간의 생존스트레스가 생태계의 통합성을 유발한다. 옐로스톤 국립공원에 늑대를 풀어놓자 시소가 작동하여 생태계의 다양성이 살아났다.


   

1234.JPG

 

생각하는 방법을 배워봅시다.

생각은 그냥 하는게 아니고 짝짓기로 하는 것입니다.

 

그냥 짝지으면 안 되고 방향을 알아야 합니다.

활과 과녁을 짝짓고 다시 거기서 화살의 진행방향을 찾는 것입니다.

 

 

 

 pod1.png

http://gujoron.com/xe/gujo_podcast/383023

 

팟캐스트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 |/_담 |/_

2013.08.30 (22:18:14)

동그라미 세개를 겹치면 넷을 다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요?

 

대강 그려보면..

 

사본 -IMG_4833.jpg

 

첨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86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715
2792 블랙스완은 두 번 나타난다. image 김동렬 2014-02-11 8566
2791 경제예측은 가능한가? 9 김동렬 2014-02-10 8659
2790 종교와 광기 2 김동렬 2014-02-05 9634
2789 최후에 결정하는 자가 되라 김동렬 2014-02-05 9986
2788 정의란 무엇인가? 6 김동렬 2014-02-04 9743
2787 미아 패로와 우디 알렌 2 김동렬 2014-02-03 11335
2786 구조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4-02-02 8675
2785 창의성의 요체 3 김동렬 2014-01-30 8285
2784 대승과 소승 10 김동렬 2014-01-28 9776
2783 창의하는 방법 2 김동렬 2014-01-27 9140
2782 답은 시간 속에 있다. 3 김동렬 2014-01-24 9401
2781 해리의 거짓말 image 7 김동렬 2014-01-23 9595
2780 하버드 교수식당 3 김동렬 2014-01-22 9977
2779 정상을 포착하라 1 김동렬 2014-01-18 9470
2778 파리대왕의 나라 8 김동렬 2014-01-17 9334
2777 노무현이 천재인 이유 5 김동렬 2014-01-16 13365
2776 완전한 사랑에 이르기 3 김동렬 2014-01-14 9610
2775 유태인의 조용한 죽음 1 김동렬 2014-01-13 9950
2774 강신주의 이발소그림 7 김동렬 2014-01-13 10942
2773 러셀의 찻주전자 4 김동렬 2014-01-10 10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