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222 vote 0 2013.08.07 (23:13:28)

 

    사과는 어디에서 왔는가? 태양에서 왔다. 사과를 논하려면 태양을 논해야 한다. 태양에서 사과까지 어떻게 왔을까? 뚜벅뚜벅 걸어왔을까? 그대는 어디에서 왔는가? 조상에게서 왔다. 아담과 이브에게서 여기까지 왔다. 족보타고 왔다. 태양은 무엇타고 왔는가? 족보타고 왔다. 그것이 구조다. 구조는 존재의 족보다. 족보를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결혼이다. 짝짓기다. 비단 남녀간에만 짝짓기가 있을까? 천만에. 모든 존재는 고유한 짝짓기를 가진다. 왜? 에너지 때문이다. 모든 존재는 그냥 있는게 아니라, 에너지를 태우고 있다. 그 지점에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스위치가 필요하다. 볼펜은 잉크를 태워야 볼펜이 되고, 찐빵은 앙꼬를 태워야 찐빵이 되고, 책은 글자를 태워야 도서가 되고, 찻잔은 홍차를 태워야 제 구실을 한다. 예외는 없다. 반드시 무언가를 태운다. 그것이 컵이든, 주전자든, 활이든, 나팔이든 마찬가지다. 컵에 든 우유, 주전자에 든 물, 활에 든 화살, 나팔에 든 소리와 같다. 무언가를 태운다. 짝을 짓는다. 그 짝짓기를 보고 그 존재를 규정해야 한다. 무엇과 짝짓는가에 따라 신분이 규정된다. 양반과 짝지으면 양반이다. 상놈과 짝지으면 상놈이다. 내부에 고유한 무언가는 없다. 이성도 없고 영혼도 없고 절대정신도 없다. 7을 결정하는 본질은 7 안에 없고, 6과 8 사이에 있다. 사과를 규정하는 본질은 사과 안에 없고, 태양과 대지 사이에 있다. 그대를 규정하는 본질은 그대 안에 없고, 그대가 소통하는 대상이 무엇인지에 따라 그대의 존재는 규정된다. 의미가 아니라 맥락이다. 가치가 아니라 권權이다. 사물이 아니라 사건이다. 상대어가 아니라 절대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pinkwalking

2013.08.09 (02:53:11)

설렘..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3.08.09 (03:25:43)

모든 존재가 에너지를 태우며 

짝짓기하는 지점에서 

일어난 의사결정이

나의 근원이라니... 


나는 짝에서 나왔고

그 짝이 무엇이냐에 따라

나는 규정된다.


내 소스가 별것 아닌것 같아 션하오...

세상보는 실눈이 떠지는 것 같아 쿨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12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985
3092 세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image 3 김동렬 2015-04-17 6297
3091 의도가 지배한다 12 김동렬 2015-04-16 6805
3090 자연과 인간 image 13 김동렬 2015-04-14 8211
3089 공자와 뉴턴 image 4 김동렬 2015-04-13 6482
3088 원인은 에너지를 타고 들어온다. image 김동렬 2015-04-13 5924
3087 공자는 왜 위대한가? image 3 김동렬 2015-04-13 6979
3086 창조냐 구조냐? image 1 김동렬 2015-04-12 5200
3085 구조론과 그 적들 image 4 김동렬 2015-04-11 31096
3084 구조주의자의 자격 image 김동렬 2015-04-08 6707
3083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김동렬 2015-04-08 6008
3082 통합적인 시선을 얻어라. image 김동렬 2015-04-08 5981
3081 볼테르와 그의 친구들 2 김동렬 2015-04-06 6120
3080 대칭의 추적 image 김동렬 2015-04-03 5436
3079 대칭의 출발 image 김동렬 2015-04-02 6624
3078 이 안에 다 있다 image 김동렬 2015-04-01 7357
3077 대칭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5-03-31 6925
3076 대칭에서 비대칭으로 image 1 김동렬 2015-03-30 6709
3075 구조는 대칭이다 image 5 김동렬 2015-03-29 8930
3074 구조론은 쉽다 image 2 김동렬 2015-03-27 5468
3073 구조론으로 시작하자 image 김동렬 2015-03-26 5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