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224 vote 0 2013.08.07 (23:13:28)

 

    사과는 어디에서 왔는가? 태양에서 왔다. 사과를 논하려면 태양을 논해야 한다. 태양에서 사과까지 어떻게 왔을까? 뚜벅뚜벅 걸어왔을까? 그대는 어디에서 왔는가? 조상에게서 왔다. 아담과 이브에게서 여기까지 왔다. 족보타고 왔다. 태양은 무엇타고 왔는가? 족보타고 왔다. 그것이 구조다. 구조는 존재의 족보다. 족보를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결혼이다. 짝짓기다. 비단 남녀간에만 짝짓기가 있을까? 천만에. 모든 존재는 고유한 짝짓기를 가진다. 왜? 에너지 때문이다. 모든 존재는 그냥 있는게 아니라, 에너지를 태우고 있다. 그 지점에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스위치가 필요하다. 볼펜은 잉크를 태워야 볼펜이 되고, 찐빵은 앙꼬를 태워야 찐빵이 되고, 책은 글자를 태워야 도서가 되고, 찻잔은 홍차를 태워야 제 구실을 한다. 예외는 없다. 반드시 무언가를 태운다. 그것이 컵이든, 주전자든, 활이든, 나팔이든 마찬가지다. 컵에 든 우유, 주전자에 든 물, 활에 든 화살, 나팔에 든 소리와 같다. 무언가를 태운다. 짝을 짓는다. 그 짝짓기를 보고 그 존재를 규정해야 한다. 무엇과 짝짓는가에 따라 신분이 규정된다. 양반과 짝지으면 양반이다. 상놈과 짝지으면 상놈이다. 내부에 고유한 무언가는 없다. 이성도 없고 영혼도 없고 절대정신도 없다. 7을 결정하는 본질은 7 안에 없고, 6과 8 사이에 있다. 사과를 규정하는 본질은 사과 안에 없고, 태양과 대지 사이에 있다. 그대를 규정하는 본질은 그대 안에 없고, 그대가 소통하는 대상이 무엇인지에 따라 그대의 존재는 규정된다. 의미가 아니라 맥락이다. 가치가 아니라 권權이다. 사물이 아니라 사건이다. 상대어가 아니라 절대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pinkwalking

2013.08.09 (02:53:11)

설렘..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3.08.09 (03:25:43)

모든 존재가 에너지를 태우며 

짝짓기하는 지점에서 

일어난 의사결정이

나의 근원이라니... 


나는 짝에서 나왔고

그 짝이 무엇이냐에 따라

나는 규정된다.


내 소스가 별것 아닌것 같아 션하오...

세상보는 실눈이 떠지는 것 같아 쿨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52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454
4212 비판적 지식인상과 이상주의적 지식인상 image 김동렬 2006-12-01 11892
4211 긍정적 사고와 부정적 사고 image 3 김동렬 2013-05-03 11888
4210 유시민이 어때서? 김동렬 2007-05-21 11887
4209 창작 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1-06 11886
4208 첫 번째 패는 바꿔야 한다 5 김동렬 2014-09-25 11885
4207 이데아의 의미 image 4 김동렬 2018-04-20 11884
4206 탑을 잡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1-11-18 11884
4205 구조론은 맞는 말이다 image 5 김동렬 2018-01-14 11863
4204 창의하기의 첫번째 원칙 image 1 김동렬 2011-12-05 11863
4203 똥개는 무죄 인간이 유죄 김동렬 2006-05-03 11855
4202 왜 나는 분노하는가? 김동렬 2006-05-14 11854
4201 권력의 시장가격 image 김동렬 2016-11-25 11851
4200 진화의 완성 김동렬 2007-02-08 11844
4199 탑 포지션을 잡는 방법 image 4 김동렬 2011-12-29 11836
4198 시간을 조직하라 image 6 김동렬 2014-02-13 11824
4197 전여옥 현상에 대하여 김동렬 2006-02-26 11824
4196 신은 이렇게 말했다 image 2 김동렬 2018-04-07 11817
4195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에 주목하라 image 1 김동렬 2017-10-29 11816
4194 그림으로 이해하기 image 2 김동렬 2012-12-18 11813
4193 통제가능성이 희망이다 image 2 김동렬 2017-11-18 1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