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195 vote 0 2013.08.07 (23:13:28)

 

    사과는 어디에서 왔는가? 태양에서 왔다. 사과를 논하려면 태양을 논해야 한다. 태양에서 사과까지 어떻게 왔을까? 뚜벅뚜벅 걸어왔을까? 그대는 어디에서 왔는가? 조상에게서 왔다. 아담과 이브에게서 여기까지 왔다. 족보타고 왔다. 태양은 무엇타고 왔는가? 족보타고 왔다. 그것이 구조다. 구조는 존재의 족보다. 족보를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결혼이다. 짝짓기다. 비단 남녀간에만 짝짓기가 있을까? 천만에. 모든 존재는 고유한 짝짓기를 가진다. 왜? 에너지 때문이다. 모든 존재는 그냥 있는게 아니라, 에너지를 태우고 있다. 그 지점에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스위치가 필요하다. 볼펜은 잉크를 태워야 볼펜이 되고, 찐빵은 앙꼬를 태워야 찐빵이 되고, 책은 글자를 태워야 도서가 되고, 찻잔은 홍차를 태워야 제 구실을 한다. 예외는 없다. 반드시 무언가를 태운다. 그것이 컵이든, 주전자든, 활이든, 나팔이든 마찬가지다. 컵에 든 우유, 주전자에 든 물, 활에 든 화살, 나팔에 든 소리와 같다. 무언가를 태운다. 짝을 짓는다. 그 짝짓기를 보고 그 존재를 규정해야 한다. 무엇과 짝짓는가에 따라 신분이 규정된다. 양반과 짝지으면 양반이다. 상놈과 짝지으면 상놈이다. 내부에 고유한 무언가는 없다. 이성도 없고 영혼도 없고 절대정신도 없다. 7을 결정하는 본질은 7 안에 없고, 6과 8 사이에 있다. 사과를 규정하는 본질은 사과 안에 없고, 태양과 대지 사이에 있다. 그대를 규정하는 본질은 그대 안에 없고, 그대가 소통하는 대상이 무엇인지에 따라 그대의 존재는 규정된다. 의미가 아니라 맥락이다. 가치가 아니라 권權이다. 사물이 아니라 사건이다. 상대어가 아니라 절대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pinkwalking

2013.08.09 (02:53:11)

설렘..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3.08.09 (03:25:43)

모든 존재가 에너지를 태우며 

짝짓기하는 지점에서 

일어난 의사결정이

나의 근원이라니... 


나는 짝에서 나왔고

그 짝이 무엇이냐에 따라

나는 규정된다.


내 소스가 별것 아닌것 같아 션하오...

세상보는 실눈이 떠지는 것 같아 쿨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262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1851
3086 쓴 글 다시 쓰기 image 7 김동렬 2013-04-04 10144
3085 상대성이론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8-05-16 10155
3084 믿음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3-03-08 10158
3083 한니발과 스키피오 image 3 김동렬 2013-05-06 10166
3082 공간이 양자다. image 김동렬 2013-11-07 10170
3081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3-08-27 10180
3080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5-12-27 10181
3079 깨달음의 언어 image 1 김동렬 2013-02-07 10189
3078 진화론과 창조론 image 8 김동렬 2013-08-20 10190
3077 멍박이 뻘짓 경계하자 김동렬 2006-11-04 10191
3076 구조론의 최종결론 1 김동렬 2013-08-05 10191
» 사과는 어디에서 왔는가? 2 김동렬 2013-08-07 10195
3074 기사도와 선비정신 image 1 김동렬 2018-05-18 10198
3073 문희상의 사망선고 김동렬 2005-10-27 10207
3072 생각의 교과서 image 1 김동렬 2013-08-28 10216
3071 구조론 개요 김동렬 2013-07-28 10217
3070 세 법 술의 경제학 1 김동렬 2013-02-15 10226
3069 눈앞의 황금은 챙겨라 image 2 김동렬 2013-05-17 10232
3068 무신론자의 문제 image 4 김동렬 2018-05-14 10232
3067 의외성을 활용하라 image 3 김동렬 2013-06-19 10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