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EBS 다큐 프라임.130722.기생寄生 PARASITE 1부 - 보이지 않는 손.HDTV.H264.720p-WITH.mp4_000178912.jpg EBS 다큐 프라임.130722.기생寄生 PARASITE 1부 - 보이지 않는 손.HDTV.H264.720p-WITH.mp4_000953252.jpg EBS 다큐 프라임.130722.기생寄生 PARASITE 1부 - 보이지 않는 손.HDTV.H264.720p-WITH.mp4_002650547.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64164.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69969.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78912.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88221.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98965.jpg

 

  바닷게가 기생 생물로인해 성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과 기생 생물에 의해서 유성생물로 진화했다는 내용이 특히 놀랐습니다. 4편으로된 이 다큐를 본 후 결론은 기생생물이라는 것은 우리 인류에게 아니 지구생물체에게 해악이 되는것이 아니라 우리를

 

진화시키고 더욱 강하게 만들어주는 꼭 필요한 존재라는 겁니다. 이 내용을 확장시켜 인간의 삶에 대입하면 인간에게 고난과 시련 또한 꼭 필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이듭니다 인간을 안주하지 못하게하고 더욱더 성숙과 진리를 향할수 있도록 만드는것 같습니다.

 

ps 동렬님이 다큐  한번보시고 강론에서 한번 다뤄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첨부

[레벨:10]다원이

2013.07.27 (23:58:51)

어떤 현상이 뭔가를 '위하여' 일어난다고 말하면 목적론이 됩니다. 진화에는 목적론이 끼어들 틈은 없지요. 좀 냉정하지만 ...
프로필 이미지 [레벨:6]삼백

2013.07.29 (10:16:31)

님의 답글을 읽고 곰곰히 생각해봤는데요 드는 생각은 어떤 작용에 의해 따른 반작용 현상을 관찰하고 님 말씀처럼 목적론의 위하여가 아니라 의하여 라고 볼수있지만 이런 현상이 다양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한방향으로 향한다면 위하여라고도 할수 있지 않을까요?

[레벨:10]다원이

2013.07.29 (18:07:50)

결과적으로 '위한'게 되었다고, 편의상 말 할 수는 있겠지요. 그러나 본질적으로 '위한다'고 보면 그 다음 생각의 진행 방향이 달라지지 않을까 합니다^^
[레벨:8]상동

2013.07.30 (06:38:49)

숙주의 진화를 위하여 기생이 있었다?

결과를 위하여 원인이 있었다?

이게 귀납인데 자꾸 이렇게 사고하면 꼬리(결과)만 보게 되는 함정에 빠집니다.


원인에 의하여 결과가 나타난다..

시간순으로 생각하는 것이 연역이고 이럴때 발전이 있습니다.

기생이라는 장애물을 극복하자 진화가 나타났다. 입니다.

극복못했으면 걍 공멸입니다. 그러므로 진화를 위한 기생이 아닌 겁니다.

진화의 진짜 원인은 기생이 아니라 극복하려는 의사결정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952 유투브동영상 올리는 방법.(수정) image 68 배태현 2016-01-04 8794
4951 이것이 76미리 포탄이다 image 김동렬 2010-12-01 8782
4950 청주맛나게 마시기 13 곱슬이 2010-03-09 8765
4949 화두(話頭)란 무엇인가? 10 아란도 2010-08-10 8721
4948 유명인사가 된 소매치기 image 3 김동렬 2009-02-11 8706
4947 역사의 반복, 비극과 희극.. 약수동목장갑 2013-06-19 8698
4946 강병규 그리고 선수협의 진실 1 김동렬 2011-09-22 8675
4945 백발종군 - 만평의 신, 장도리 image 1 이상우 2012-12-05 8666
4944 뜬금없지만 PUA 이론도 구조론으로 설명이 되는거 같네요. 4 귤알갱이 2012-02-08 8641
4943 유혹 8 鄭敬和 2010-08-20 8639
4942 구조강론 사진 & 영상_20130509 image 3 냥모 2013-05-14 8634
4941 낙차, 대한민국 무한도전 3 ░담 2010-08-18 8590
4940 대선 포스터 image 9 지명 2012-11-26 8566
4939 네안데르탈인의 조각상? image 김동렬 2009-05-14 8526
4938 서프 글쓰기에 대하여 1 열수 2005-10-03 8522
4937 연주자의 꿈 김동렬 2006-06-27 8516
4936 컴퓨터의 죽음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9-19 8511
4935 운명의 바닥 또는 低點(저점)에 관하여 (2) _ 2010.9.28 (펌글) 7 곱슬이 2010-09-29 8490
4934 화학에서 가역적인 반응과 비가역적인 반응 2 이은지 2014-11-08 8486
4933 시스템을 여는자들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5-08 8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