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EBS 다큐 프라임.130722.기생寄生 PARASITE 1부 - 보이지 않는 손.HDTV.H264.720p-WITH.mp4_000178912.jpg EBS 다큐 프라임.130722.기생寄生 PARASITE 1부 - 보이지 않는 손.HDTV.H264.720p-WITH.mp4_000953252.jpg EBS 다큐 프라임.130722.기생寄生 PARASITE 1부 - 보이지 않는 손.HDTV.H264.720p-WITH.mp4_002650547.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64164.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69969.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78912.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88221.jpg

EBS 다큐프라임.130723.기생寄生 PARASITE 2부 - 끝없는 대결.HDTV.X264.720p-BarosG.avi_002098965.jpg

 

  바닷게가 기생 생물로인해 성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과 기생 생물에 의해서 유성생물로 진화했다는 내용이 특히 놀랐습니다. 4편으로된 이 다큐를 본 후 결론은 기생생물이라는 것은 우리 인류에게 아니 지구생물체에게 해악이 되는것이 아니라 우리를

 

진화시키고 더욱 강하게 만들어주는 꼭 필요한 존재라는 겁니다. 이 내용을 확장시켜 인간의 삶에 대입하면 인간에게 고난과 시련 또한 꼭 필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이듭니다 인간을 안주하지 못하게하고 더욱더 성숙과 진리를 향할수 있도록 만드는것 같습니다.

 

ps 동렬님이 다큐  한번보시고 강론에서 한번 다뤄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첨부

[레벨:10]다원이

2013.07.27 (23:58:51)

어떤 현상이 뭔가를 '위하여' 일어난다고 말하면 목적론이 됩니다. 진화에는 목적론이 끼어들 틈은 없지요. 좀 냉정하지만 ...
프로필 이미지 [레벨:6]삼백

2013.07.29 (10:16:31)

님의 답글을 읽고 곰곰히 생각해봤는데요 드는 생각은 어떤 작용에 의해 따른 반작용 현상을 관찰하고 님 말씀처럼 목적론의 위하여가 아니라 의하여 라고 볼수있지만 이런 현상이 다양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한방향으로 향한다면 위하여라고도 할수 있지 않을까요?

[레벨:10]다원이

2013.07.29 (18:07:50)

결과적으로 '위한'게 되었다고, 편의상 말 할 수는 있겠지요. 그러나 본질적으로 '위한다'고 보면 그 다음 생각의 진행 방향이 달라지지 않을까 합니다^^
[레벨:8]상동

2013.07.30 (06:38:49)

숙주의 진화를 위하여 기생이 있었다?

결과를 위하여 원인이 있었다?

이게 귀납인데 자꾸 이렇게 사고하면 꼬리(결과)만 보게 되는 함정에 빠집니다.


원인에 의하여 결과가 나타난다..

시간순으로 생각하는 것이 연역이고 이럴때 발전이 있습니다.

기생이라는 장애물을 극복하자 진화가 나타났다. 입니다.

극복못했으면 걍 공멸입니다. 그러므로 진화를 위한 기생이 아닌 겁니다.

진화의 진짜 원인은 기생이 아니라 극복하려는 의사결정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892 정몽준 명필이다 image 4 김동렬 2014-06-02 7856
4891 새로운 교육실험-전문가 인터뷰 4 이상우 2010-08-14 7851
4890 국민명령 ░담 2010-08-30 7849
4889 이 황당한 통신비~ 지금까지 얼마야~ image 4 Rou 2010-08-24 7848
4888 추석은 잘들 쇠셨소?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9-27 7832
4887 소녀들의 심리학 - 어떻게 생각하시오? 14 이상우 2013-03-25 7802
4886 깨달음을 그리다..... 4 아란도 2010-08-16 7800
4885 우체국 image 2 곱슬이 2010-08-04 7800
4884 펄펄 살아있다. 6 아제 2010-07-31 7784
4883 투자, 음모를 읽어라 9 약속 2010-09-28 7782
4882 자율과 규율 3 water 2010-08-12 7778
4881 무엇이 신앙인가 image 1 Ra.D 2009-05-24 7764
4880 감기걸릴듯한 분 여기 한번 가보소 5 곱슬이 2010-09-30 7760
4879 아빠 어디가냥 image 2 솔숲길 2013-02-21 7758
4878 처음으로 김동렬님에게 묻습니다. 4 까뮈 2012-04-16 7757
4877 이판사판의 유래? 4 sus4 2013-01-18 7737
4876 북미 여행 image 6 큰바위 2013-07-19 7691
4875 <농부 철학자 피에르 라비> 중에서 image 6 안단테 2009-07-09 7690
4874 피겨여왕과 스승 - 연아에게 쓰는 편지 image 2 아란도 2010-08-28 7686
4873 솔로탈출을 원한다면 2 솔숲길 2013-01-08 7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