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984 vote 0 2013.07.23 (17:31:47)

힌디어는 영어의 뿌리인데

영어보다 우리말과 거리가 멀다고 느껴집니다.

구글 번역기 음성서비스로 비슷한 말을 몇개 찾아보았더니.

 

작다 초다

엄마 마

아빠 삐다

딸 레티(레이디의 어원, 우유를 따르다)

발 발

귀 간

남자 아드미

풀 풀

논 논

둘레 도르

팔 반나

마음 맴

모기 마췬

벼룩 빗수

파리 피리스

던지다 단나

바깥 바흐르

안쪽 안데르

머리카락 발()

빛 바카스

턱 토리

깊다 게헤라

바퀴 바헤리야

펄럭이다 부란

자르다 카트나(cut)

검은색 깔라

올빼미 우일루(owl)

범 바흐

술 쉬라브

() 차글

바람 에와()

하늘 아스만

임금 먼치투리

 

동남아쪽 외국어는 알아듣기가 어렵더군요.

발음비교로 알 수 있는 것은 적고 어원분석을 해야 정확히 알게 됩니다.

시간 나는 분들은 벵골어나 타밀어도 분석해 보시오.

고대 타밀어가 우리말과 비슷하다고 누가 그러던데.

몽골어나 일본어는 우리말과 안 비슷함.

 


[레벨:10]다원이

2013.07.23 (22:26:26)

일본어는 우리말의 새끼말 입니다. 우리말의 변주곡일 뿐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7.23 (22:49:51)

일본어는

엄마 아빠와 같은 가족어나

눈 코 입 귀 등 신체어나

풀과 나무와 같은 농업어나

결정적으로 수사가 전혀 같지 않소.

비슷한 말도 있는데

이들은 주로 형용사이고 세련된 문화어입니다.

어원을 추적하면 단어의 성립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데

일본어 중에서 한국어와 가까운 말은 모두 5천년 안에 한국에서 건너간 말입니다.

반면 힌디어는 어원을 추적해보면 비슷한 말이 많습니다.

힌디어 수사의 둘 여덜 아홉은 우리말과 거의 같소.

발음만 보면 안 되고 어원을 봐야 합니다.

여덟, 아홉은 열에서 둘빼기, 열에서 하나빼기입니다.

옛말은 여덜배, 아호배였습니다.

이 흔적은 아랍어나 라틴어에도 있습니다.

[레벨:10]다원이

2013.07.24 (22:06:41)

일본말이 우리말의 '변주곡'일 뿐임을 보여주는 사례를 수집해서 올리겠슴다~ 동렬님의 '유사성'은 수천년 이상의 long-term 관점입니다. 한-일 언어의 유사성은 그 정도는 아닌 걸루 보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530
657 메타 투자 다음 2021-09-28 2694
656 문제는 도구다. systema 2021-05-09 2694
655 페르미의 역설 3 김동렬 2017-10-22 2692
654 설국열차와 오징어게임 다음 2021-09-30 2691
653 왜 대칭인가? 1 systema 2017-07-01 2691
652 자연 속의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11-07 2690
651 [시론담론] 수요자의 시대 image ahmoo 2015-06-29 2689
650 지식과 권력 systema 2022-10-15 2687
649 진화와 복제의 원리 1 이금재. 2021-10-08 2679
648 [공지] 기업은행 구조론연구소 계좌 없음 김동렬 2023-08-15 2678
647 손흥민이 잘하는 이유 image 4 이금재. 2020-10-05 2672
646 쓰레드 후기 레인3 2023-07-10 2670
645 집을 사도 보수가 되지 않는 사람이나 조건이 있나요? 1 서단아 2023-07-19 2668
644 에너지로 조직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5 systema 2017-09-17 2668
643 시민의 시대 [제민] image ahmoo 2016-09-29 2666
642 미국에서 큰 사회문제가 되는 펜타닐 관련자료 1 mowl 2022-07-09 2664
641 사이비가 창궐하는 세상 SimplyRed 2023-08-25 2662
640 모두 거짓말을 한다 1 김동렬 2018-06-18 2651
639 진화는 마이너스다 1 김동렬 2018-07-31 2646
638 사건을 이해해야 전략을 이해한다. systema 2021-09-26 2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