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982 vote 0 2013.07.08 (23:24:45)

  0880.jpg


    쉽게 생각하자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일의성에 의해 엮여있다. 생각을 쉽게 하는 방법은 그 엮임을 정복하는 것이다. 엮어서 생각하기다. 정보를 낱개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세트로 처리하기다.


    과자 봉지는 뜯어서 먹지만 조립된 자동차는 그대로 운전하면 된다. 그것은 머리를 쥐어짜지 말고 간단히 툴을 쓰는 것이다. 분석하지 말고 직관하는 것이다. 텍스트를 버리고 모형을 쓰는 것이다.


    더하기로 복잡하게 만들지 말고 빼기로 술술 빼내는 것이다. 흩어진 사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통짜덩어리 사건으로 보는 것이다. 부분의 불완전성을 버리고 전체의 완전성으로 보는 것이다. 엮어서 쉽게 생각하자.


   

123u.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20]냥모

2013.07.09 (00:04:17)

도장이 원본과 복제본이 찍는 순간 엮임으로 만들어지지만, 복제본이 잘 보이게 하려면, 원본은 보이는 것과 반대로 도장을 파야 한다는 것. 구조적 글쓰기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사건은 연역으로 일어나지만, 미디어는 귀납으로 풀어간다는 것. 사건은 하나의 사실로 연역과 귀납이 엮여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7.09 (00:10:04)

구조론은 연역밖에 없소.

귀납하고 있다면 아직 뭔가 부족한 것이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냥모

2013.07.09 (00:15:51)

귀납이라고 하지만 사실 연역의 일부.

하나의 사실을 두고 사건의 전개와 미디어가 전개가 전환되지만, 사실 미디어의 전개도 큰 사건의 부분.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7.09 (00:21:49)

자동차를 조립하는게 귀납이고

자동차를 운전하는게 연역이라면

자동차를 운전하기 전까지는 자동차가 아니오.

100퍼센트 조립된 자동차도 기름을 채우기 전까지는 자동차가 아니오.

기름을 채운 자동차도 시동걸기 전까지는 자동차가 아니오.

시동건 자동차도 달리기 전까지는 자동차가 아니오.

귀납의 오류는 자동차가 아닌 것을

어차피 조금 있으면 자동차가 될 테니까

맘씨좋게 자동차라고 쳐주자고 친절을 베풀어서 일어난 착오이오.

이런 일이 일어나는 이유는 같은 사건이 반복되기 때문이오.

반복을 배제하고 순수한 상태에서 보면 귀납은 없소.

단지 귀납적이 있을 뿐이오.

귀납적에 머무르면 아직 완벽하지 않소.

사실 자동차는 어떤 경우에도 완전하지 않소.

자동차의 운전자가 탑승해야 완전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22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093
3132 한국이 강한 이유 image 김동렬 2016-06-07 6180
3131 소크라테스의 해명 image 3 김동렬 2015-01-19 6178
3130 방향성으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5-01-02 6177
3129 선진국이 되면 행복해질까? 3 김동렬 2018-08-20 6175
3128 구조론 사람 1 김동렬 2018-08-02 6170
3127 더 높은 층위의 세계가 있다 image 3 김동렬 2016-04-19 6170
3126 구조론은 업그레이드 된 인과율이다. image 6 김동렬 2015-07-24 6169
3125 진짜 이야기는 이런 거다 김동렬 2016-07-09 6155
3124 사건을 일으키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5-01-06 6154
3123 영화의 대칭과 비대칭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49
3122 빚이 있어야 경제가 발전한다 4 김동렬 2018-08-30 6145
3121 공자와 예수, 소크라테스 image 2 김동렬 2016-03-02 6142
3120 구조론의 관점부터 받아들이자. image 4 김동렬 2016-05-03 6141
3119 동의 동을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1-04 6139
3118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36
3117 구조론적 사유 1 김동렬 2014-09-08 6134
3116 진화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9-22 6133
3115 시간여행의 딜레마 image 김동렬 2014-11-20 6131
3114 비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4-11-02 6130
3113 대결하지 말라 image 김동렬 2015-04-21 6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