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read 3314 vote 0 2013.05.30 (20:28:15)

 

 

 

 

겉으로 봐서는 잘 모르겠는데, 뒤집어 보면 깨진 자국이 선명하다.

 

떨어뜨려 깨진 다구를 강력투명본드로 다시 붙였다. 그렇다고, 흔적이 사라지진 않는다. 다 멀쩡한데도 저 다구는 이제 사용할 수 없다. 본드로 붙인 다구에 차를 우릴 수는 없지 않은가? 다른 용도를 찾아야 한다. 안타깝다. 그리 많이 쓰지도 않았는데, 깨져 버려서....

 

깨진다구.jpg 깨진다구1.jpg

 

 

 

 

 

사람도 그와 같지 않을까? 초강력 접착제가 있다면, 다시 깨어진 곳을 붙일 수 있다. 그러나 말이다. 흔적이 남는다. 사람과의 관계란 그런 것이다. 깨진 상처의 흔적을 남기고도, 다시 봉합이 되려면, 그만큼 성능이 좋은, 해가 가지 않는 초강력 접착제가 필요하다. 그러니, 사람과 사람의 관계만큼 약한 것이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초강력 접착제를 사용할 수 없다면, 더더욱 말이다. 그만큼 강력한 동기부여가 없다면 말이다.

 

존재란 그만큼 약한 것이고, 그래서 그 존재와 존재 사이를 보호해야 한다. 존재가 보호되는 지점은, 그 사이가 보호가 될때이다. 거기가 가장 약한고리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사이라는 그 지점이 얼마나 섬세하게 제어해야 하는 곳인지를, 사유해야 한다.

모든 것은 그 '사이' 에서 피어난다. 그곳이 피어나는 곳인지, 죽어가는 곳인지를 알아야 한다. 피어나는 곳은 무엇이 와도 피어나고, 죽어가는 곳은 무엇이 와도 죽어간다.

 

 

 

사이.jpg

 

 

 

 


[레벨:11]큰바위

2013.05.30 (21:37:07)

코카콜라 캔을 보면 예쁩니다. 

허리 곡선은 없어도 빨간색이 알루미늄에 도색된 그 자체로 매우 섹시합니다. 


그런데 그 캔이 찌그러지면 볼품이 없어집니다. 

깡통을 펴도 찌그러진 자국이 남지요.


먹고 난 깡통은 폐품이나 재활용품으로 쳐주는 것 외에 다른 방도는 없지만, 

어쨌든 찌그러진 깡통은 그냥 찌그러진 겁니다. 


깨진 건 깨진 거죠. 


물건이야 그렇다치고, 

사람의 관계는 설명하기가 매우 복잡하고 미묘하지요. 


깨진 관계를 다시 잇고자 하는 노력도 별로 하지 않고,

깨 놓고 깬줄도 모르고........


존재와 존재 사이를 보면서, 

관계를 가늠하는 것이 핵심인데, 


제가 보기에는 사람 간의 chemistry는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확 땡기는 게 있고, 아무리 노력해도 안되는 것이 있고.......

맨 마지막 표현과 같은 맥락인 것 같습니다. 


"피어나는 곳은 무엇이 와도 피어나고, 죽어가는 곳은 무엇이 와도 죽어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3.05.31 (08:28:00)

깨 놓고 깬줄도 모르고........

...아...이 말에 참 포인트가 있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672 미드 "파고" 사발 2014-09-07 3306
1671 좀 전 식혜를 만들다가 image 5 까뮈 2013-08-13 3307
1670 광주의 오월을 아세요 꼬레아 2010-05-18 3308
1669 Justice with Michael Sandel 강의를 본 후 궁금점 5 Lifeniche 2011-04-04 3308
1668 질문요... 1 노란고양이 2008-08-26 3309
1667 구조론 책 중 한 권 추천 바랍니다. 12 너도 2013-07-10 3309
1666 루마니아 기자의 기백 2 김동렬 2009-01-13 3310
1665 <구조론>으로 본 '감기'가 궁금합니다 11 꼬레아 2011-05-20 3310
1664 유시민 추모시 '대답하지 못한 질문' 1 정나 2013-05-08 3310
1663 한국에서 명절 좋아하는 사람 만나 본 적 없어요 image 4 락에이지 2016-09-17 3310
1662 너무 늦네요! 7 권국장 2010-04-15 3312
1661 북한이공개한[박근혜 방북 일정]김정일과 만남 까뮈 2013-12-17 3312
1660 구조론 현실적용에 대한 단상. 10 systema 2017-06-22 3314
1659 가치의 신대륙 1 벅지 2009-06-28 3315
» 깨진 다구에 대한 단상 image 2 아란도 2013-05-30 3314
1657 곡선이 직선보다 처리해야 할 정보의 량이 훨씬 더 많다 image 11 챠우 2015-07-11 3316
1656 이심전심의 포지셔닝? 5 로드샤인 2010-10-14 3317
1655 유신독재 프레임...이기는 프레임일까? 4 벼랑 2012-11-28 3317
1654 가입했습니다. 인사드립니다. (장황합니다...) 13 죽어문화개혁 2012-12-24 3318
1653 자신 내부의 강령이 있어야한다 8 눈내리는 마을 2010-01-21 3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