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read 10022 vote 0 2009.06.15 (14:21:35)







어제 자료(그림)를 얻기위해 이 동네 저 동네를 연신 걸어 다녔다. 중요한 일을 본 후 걷던 중,
저만큼에서 빠알간 방울토마토가 눈에 확 들어온다.(역시 빨강색은 사람의 눈길을 끌고도 남는가 보다)

방금 따온 듯 토마토 냄새가 진하게 풍기며 주위에 퍼지고 있었다. 소쿠리에 담아 놓은 토마토가 정말 먹음직스러웠다.
별고민 없이 두 소쿠리를 싸달라 했다. 그리고 햇감자를 사려고 앉았는데
어디서 알듯 말듯한 향이 풍긴다.


홍매.jpg

'어, 무슨 냄새지?'하면서 냄새 가까이 다가가고 마는데 바로 매실이었다. 그러면서 "어, 이건 청매실이 아니네요?"라고
내가 주인에게 묻자 "아, 이거는 홍매실이예요. 어제 산에서 따 왔지요"
"아, 그렇군요, 홍매화 꽃만 보았지 실제 홍매실은
처음 봅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나는 홍매실 자루 앞에 거의 덜썩 주저 앉다시피하고 손으로 홍매실을 집어
만져보며
향을 맡았다. 그런데 내가 기존에 향을 그리도 많이 맡곤 했던 청매향보다 홍매향이 훨씬 향이 진하게 다가 왔다.
'아, 나를 설레이게 하는구나, 어쩜 좋아...'^^



홍매2.jpg

아기자기 발그레한 홍매실을 보고 있자니 깎자 흥정할 것도 없이 바로 "아주머니, 5kg만 담아 주세요"하고
집으로 가져 오는데 여전히 매실향은 바람에 진하게 날리고 있었다. 아무리 봐도 아무리 생각해봐도 내가 든건
분명 진한 매실향이 맞고...  내가 어쩌다 이 홍매실을 구할 수 있었을까. 이 뿌듯함이란...



홍매3.jpg

찬물에 매실을 씻었다. 살구보다 더 작은 매실들을 물기가 마르고 난 후 항아리에 설탕과 함께 저장 했다.



홍매4.jpg

그리고 마지막으로 창호지를 씌워 까만 고무줄로 봉합하고 장독 뚜껑을 덮어 시원한 베란다로  모셔다 놓았다.
지금 우리집은 청매-홍매향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향을 내 뿜으며 내 눈길을 스치고 있다.



여러분, 졸린 오후, 홍매향에 한 번 취해 보세요... ^^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09.06.15 (14:41:00)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도는구려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2009.06.15 (21:11:27)

으~ 시큼!^^ 시어도 자꾸 맛을 보며 매실을 익히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4]꼬치가리

2009.06.15 (18:44:29)

매실 담글 때 창호지 씌우고 검정고무로 감아야 하는 줄을 몰랐구랴.
더우기, 청매실이 익으면 홍매실인가 했더니만...

암튼 안단테님께 배울 것이 많소이다.

그러고 보니 우리집 자칭(?) 홍매실은 벌레가 먹어 꼴이 말이 아니구료.
그래도 향은 겁나게 좋습디다.

090605_ripen.jpg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2009.06.15 (21:44:39)


매실...jpg

마침 비슷한 각도로 담은 사진이 있기에... 이 매실(강원도산-무공해)은 주근깨처럼 점이 박혀있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벌레먹은 홍매실 진짜이지요...^^ 향이... 이곳까지.... 씨(홍매실)를 보니 아주 작더군요. 아참, 검정 고무줄을 사용한것은
집에 하얀 고무줄이 없어서...^^
첨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952 유투브동영상 올리는 방법.(수정) image 68 배태현 2016-01-04 8793
4951 이것이 76미리 포탄이다 image 김동렬 2010-12-01 8778
4950 청주맛나게 마시기 13 곱슬이 2010-03-09 8760
4949 화두(話頭)란 무엇인가? 10 아란도 2010-08-10 8717
4948 유명인사가 된 소매치기 image 3 김동렬 2009-02-11 8703
4947 역사의 반복, 비극과 희극.. 약수동목장갑 2013-06-19 8695
4946 강병규 그리고 선수협의 진실 1 김동렬 2011-09-22 8670
4945 백발종군 - 만평의 신, 장도리 image 1 이상우 2012-12-05 8660
4944 유혹 8 鄭敬和 2010-08-20 8638
4943 뜬금없지만 PUA 이론도 구조론으로 설명이 되는거 같네요. 4 귤알갱이 2012-02-08 8636
4942 구조강론 사진 & 영상_20130509 image 3 냥모 2013-05-14 8631
4941 낙차, 대한민국 무한도전 3 ░담 2010-08-18 8587
4940 대선 포스터 image 9 지명 2012-11-26 8563
4939 서프 글쓰기에 대하여 1 열수 2005-10-03 8520
4938 네안데르탈인의 조각상? image 김동렬 2009-05-14 8519
4937 연주자의 꿈 김동렬 2006-06-27 8510
4936 컴퓨터의 죽음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9-19 8507
4935 화학에서 가역적인 반응과 비가역적인 반응 2 이은지 2014-11-08 8484
4934 운명의 바닥 또는 低點(저점)에 관하여 (2) _ 2010.9.28 (펌글) 7 곱슬이 2010-09-29 8484
4933 시스템을 여는자들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5-08 8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