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냥모
read 6074 vote 1 2013.03.18 (01:41:10)



학교에서 배운 것 중에 지금까지 삶에 도움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고교시절 영어시간에 들은 이야기는 지금까지도 내게 영감을 주고 있다. 기억이 많이 흐려졌긴 하지만 아마도 교과서나 부교재의 스크립트에 나온 이야기였을 것이다.

내용은 이렇다. 어느 아버지와 아들이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보고 아들이 말했다. 

"아버지, 피라미드는 어느방형으로 봐도 삼각형이예요." 

그러자 아버지가 말했다. 

"꼭대기에 오르면 사각형이란다." 


pyramid.jpg


어떤 사람은 피라미드가 삼각형이라는 사실과 논거를 100만가지는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삼각형은 내각의 합이 180도 어쩌구 하는 정의에서부터, 피라미드가 삼각형인 증거따위를 늘어놓을 것이다. 

그런데 공중에서 바라보는 관점이 없다면 전혀 피라미드의 사각형을 볼 수도, 보여줄 수도, 설득할 수도 없을 것이다. 어떤 관점에서 바라본다는 것은 완전히 다른 세계의 깨달음과 같다. 

기업이라고 가정하면 같은 회사에서도 사원 입장에서 바라보는 회사와 사장 입장에서 바라보는 회사는 다르다. 만약에 '피라미드A'라는 상품이 삼각형이면 실패하고, 사각형이면 성공한다고 한다면, 삼각형으로만 보이는 사람은 "이 상품은 분명 실패할거야." 라고 말하고 실패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100만가지를 말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각형을 발견한 사람이라면 성공을 확신하고, 그것이 가능한 구조를 세팅할 것이다.

인간이 비행기를 만들기 훨씬 전부터 과학자들은 양력의 존재를 알고있었지만, 인간을 날아오르게 한 것은 과학자가 아니라 라이트 형제의 도전이었다. 과학자들은 [날다 = 뜬다 > 간다] 라고 생각해서 인간은 날 수 없다는 결론에 닿았지만, 라이트형제는 [날다 = 간다 > 뜬다] 라고 생각했기에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 

고수의 관점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했다면, 절대적인 믿음이 생기고, 선순환 구조를 세팅하고, 실제로 도전과 행동에 들어가고, 결국 성공으로 이끌어낸다. 

발견(접촉) > 믿음(인지) > 구조세팅(판단) > 도전(행동) > 성공(결과)

발견하지 못한 사람은 발견한 사람의 충실한 노예가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275
2009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09
2008 구조론에 기반한 메모1 5 오세 2010-01-07 4556
2007 구조론 메모2 -상담계, 2 오세 2010-01-07 4552
2006 사람 노무현 한 결 족보 ░담 2010-01-08 7090
2005 털 없는 인간의 탈모사 2 LPET 2010-01-09 7019
2004 구글, 오바마 효과? image 1 ░담 2010-01-15 4814
2003 리플대박 관련공지 11 김동렬 2010-01-15 5559
2002 노무현, 님의 설정을 권하오. ░담 2010-01-15 5393
2001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762
2000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첫 번째 image 1 ahmoo 2010-01-18 14456
1999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163
1998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402
1997 아이패드와 eBook 혁명 image 5 양을 쫓는 모험 2010-01-31 6406
1996 밸런스의 중요성. 3 오세 2010-01-31 4411
1995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4980
1994 앞날 생각할 때 자세 앞으로 쏠려 1 김동렬 2010-02-01 4852
1993 과거를 생각하면 눈알을 위로 굴리고 뒷머리를 긁적인다? 기준님하 2010-02-02 5850
1992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905
1991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691
1990 구조론 옷입히기. 3 아제 2010-02-02 4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