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404 vote 0 2013.02.09 (11:14:06)

12345.JPG

 

 

삼국지 인물의 혈액형을 논한다면 나관중에 왜곡된 소설 속의 인물을 논하는 것이 맞다. 여기서 아는 사람

이 별로 없는 정사 삼국지를 꺼내는 것은 이상하다. 그러나 소설 속의 왜곡된 캐릭터는 혈액형과 맞지 않다.

소설 삼국지연의는 비과학적이므로 논외로 하고, 정사 삼국지를 토대로 보는게 맞다.

 

정사로 보면 유비는 큰 흐름을 잘 타고 백년대계를 세우지만 단기적인 결단력이 없다. 승부처에서 소심한

행동을 한다. 대신 큰 방향을 잘 잡는다. 이는 AB형의 특징이다. 유비가 예의바르다는 평은 유비가 유가의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생겨난 말일뿐 사실이 아니다. 유비는 관우나 장비보다 학문적인 지식이 없었다.

 

관우는 스스로 우월하게 여겨 누가 칭찬해주면 좋아했는데 이 점은 여포와 비슷하다. 피아구분이 분명하여

적이면 아주 벌레취급을 하고 자기편은 떠받든다. 전형적인 O형이다. 장비는 기발한 아이디어가 많았는데

삼국지연의에서 우스꽝스러운 캐릭터를 씌우는 바람에 최대의 치해자가 되었다.

 

조조는 전형적인 A형이다. 그는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꼼꼼하게 챙기는데 부하들을 잘 컨트롤 했다. 부하들

간의 밸런스를 잡는데 매우 공을 들였다. 모든 전투에 조씨+하후씨와 다른 성씨를 하나씩 짝지어 보낸 것이

A형의 꼼꼼한 특징이다. 조조가 성공한 이유는 많은 부하들 간에 세력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게 밸런스

를 잡았기 때문이다. 보통 부하 중에 특출한 자가 나타나 휘어잡기 마련인데 조조는 묘한 균형을 이루었다.

 


[레벨:15]오세

2013.02.09 (14:52:48)

전송됨 : 트위터

이럴수가 내가 장비라니. 내가 장비라니!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2.09 (20:09:17)

소설 삼국지가 너무 캐릭터를 왜곡해놓아서 진실을 밝히기가 쉽지 않소.

도원결의부터 가짜라는뎅. 


정사 삼국지로 보면 


유비 - 엉큼한 놈(속에 구렁이가 아홉마리)

관우 - 명성을 탐하는 놈(칭찬해주면 불에도 뛰어들 기세)

장비 - 유쾌한 아이디어맨.(즐거운 분위기 메이커) 


삼국지 삼대 미남은 


- 장비(동이족 출신)

- 여포(위구르계 백인혼혈) 

- 원소(이회창 닮은 귀공자. 귀족 자제.)


장비 얼굴이 저렇게 된건 장비가 연인(동이족) 이라서 

한국인의 광대뼈 나온 얼굴에 대한 중국인의 편견이 작용한 것이라고 추측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980
2152 질문)구조론을 읽다가..질. 량. 아시는분? 2 x맨의 비극 2007-11-30 5301
2151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35
2150 구조론 질문 1 피갈회옥 2008-07-18 5332
2149 하늘 만지기 1 필부 2008-08-20 5359
2148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3 6278
2147 [re]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5 5155
2146 당신들이 밉습니다. 10 가혹한너 2008-08-28 6630
2145 어휴...좀 어처구니없는 질문 드려보아요. 1 지구인 2008-09-24 5887
2144 '신과 나' 정말 큰 깨달음인 것 같습니다 1 자유인 2008-10-06 4567
2143 공간이란 뭘 까요? 8 율리 2008-10-07 5627
2142 생각하기 힘든생각을 대신 생각해주시는 수고로움 image 1 가혹한너 2008-10-14 4966
2141 조경란과 주이란 1 엘보우 2008-10-25 5364
2140 kbs 심야토론 정관용진행자의 하차에 대해서 1 가혹한너 2008-11-01 5745
2139 남녀간의 사랑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자유 2008-11-09 5055
2138 경제문제에 대해서는 한말씀도 안하시네요... 2 지구인 2008-11-18 4535
2137 구조론에 대한 질문 4 자유 2008-11-26 4098
2136 구조론에 도전해 보고 싶습니다 1 일리 2008-11-28 4493
2135 묻습니다... 2 새벽이슬2 2008-12-09 4377
2134 만유척력에 관하여.. 1 노란고양이 2008-12-10 6043
2133 퇴계에 관한 글을 읽으며... image 1 푸른호수 2008-12-26 4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