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363 vote 0 2013.02.09 (11:14:06)

12345.JPG

 

 

삼국지 인물의 혈액형을 논한다면 나관중에 왜곡된 소설 속의 인물을 논하는 것이 맞다. 여기서 아는 사람

이 별로 없는 정사 삼국지를 꺼내는 것은 이상하다. 그러나 소설 속의 왜곡된 캐릭터는 혈액형과 맞지 않다.

소설 삼국지연의는 비과학적이므로 논외로 하고, 정사 삼국지를 토대로 보는게 맞다.

 

정사로 보면 유비는 큰 흐름을 잘 타고 백년대계를 세우지만 단기적인 결단력이 없다. 승부처에서 소심한

행동을 한다. 대신 큰 방향을 잘 잡는다. 이는 AB형의 특징이다. 유비가 예의바르다는 평은 유비가 유가의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생겨난 말일뿐 사실이 아니다. 유비는 관우나 장비보다 학문적인 지식이 없었다.

 

관우는 스스로 우월하게 여겨 누가 칭찬해주면 좋아했는데 이 점은 여포와 비슷하다. 피아구분이 분명하여

적이면 아주 벌레취급을 하고 자기편은 떠받든다. 전형적인 O형이다. 장비는 기발한 아이디어가 많았는데

삼국지연의에서 우스꽝스러운 캐릭터를 씌우는 바람에 최대의 치해자가 되었다.

 

조조는 전형적인 A형이다. 그는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꼼꼼하게 챙기는데 부하들을 잘 컨트롤 했다. 부하들

간의 밸런스를 잡는데 매우 공을 들였다. 모든 전투에 조씨+하후씨와 다른 성씨를 하나씩 짝지어 보낸 것이

A형의 꼼꼼한 특징이다. 조조가 성공한 이유는 많은 부하들 간에 세력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게 밸런스

를 잡았기 때문이다. 보통 부하 중에 특출한 자가 나타나 휘어잡기 마련인데 조조는 묘한 균형을 이루었다.

 


[레벨:15]오세

2013.02.09 (14:52:48)

전송됨 : 트위터

이럴수가 내가 장비라니. 내가 장비라니!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2.09 (20:09:17)

소설 삼국지가 너무 캐릭터를 왜곡해놓아서 진실을 밝히기가 쉽지 않소.

도원결의부터 가짜라는뎅. 


정사 삼국지로 보면 


유비 - 엉큼한 놈(속에 구렁이가 아홉마리)

관우 - 명성을 탐하는 놈(칭찬해주면 불에도 뛰어들 기세)

장비 - 유쾌한 아이디어맨.(즐거운 분위기 메이커) 


삼국지 삼대 미남은 


- 장비(동이족 출신)

- 여포(위구르계 백인혼혈) 

- 원소(이회창 닮은 귀공자. 귀족 자제.)


장비 얼굴이 저렇게 된건 장비가 연인(동이족) 이라서 

한국인의 광대뼈 나온 얼굴에 대한 중국인의 편견이 작용한 것이라고 추측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676
167 척력. 2 아제 2010-07-14 7291
166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14
165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317
164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333
163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334
162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357
» 혈액형 삼국지 image 2 김동렬 2013-02-09 7363
160 문제해결능력 - 고부간의 갈등 편 image 21 양을 쫓는 모험 2010-01-19 7393
159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00
158 원인과 결과 그리고 판단. image 3 아란도 2010-08-10 7415
157 진화와 인간.. 아제 2010-08-31 7429
156 인류의 기원 김동렬 2013-05-15 7451
155 대중의 한계와 인터넷 2 송파노을 2006-02-27 7452
154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image 33 김동렬 2014-01-15 7454
153 저장강박증? image 1 김동렬 2011-09-02 7456
152 진.선.미.주.성에 대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7 아란도 2010-08-03 7483
151 대칭에 의한 비대칭의 예 image 2 김동렬 2013-06-24 7507
150 엄지손가락 1 양을 쫓는 모험 2009-11-17 7538
149 질문 - 이 사람의 잘못은? image 16 김동렬 2013-07-03 7540
148 기술결정론 vs 도구주의 1 오세 2012-02-12 7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