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read 2439 vote 0 2013.02.05 (19:35:40)

태어나면서 인간 머리속에 축적되는 데이터들의 출저는 자신 이외의 것들에서 부터 이고

 

그 축적된 데이터들을 통해 새로운 것을 생각해내는 것을 진정한 창의라고 할 수 있을까요?

 

 

자신 이외의 것이, 굳이 타인이나 사회를 말하는 것이아니라, 자연이라고 한다면

 

그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무엇인가를 생각해내는 것은 '발견' 이므로 진정한 창의라고 할 수 있는 걸까요?

 

 

아니면 인간과 사회와 자연과 모두 소통할 수 있는 그 자체가 이미 창의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기 때문에

진정한 창의인 것일까요?

 

 

데이터를 해석하는 도구 자체도 그 출저가,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일텐데요.

 

아니면 이미 '자신' 이 개입되어 있어 실패일까요?

 

 

자연에서의 발견이 위냐

 

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해석이 위냐

 

불을 가장 먼저 발견한 사람이 대장이냐

 

최초로 신을 말한 사람이 대장이냐

 

 

자연을 해석하고 표현할 수 있는 구조 자체가 일단 되어야 한다고 느끼지만

 

아무튼 진정한 창의, 창조가 무엇인지, 아시는 분 알려주삼.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2.05 (20:04:54)

축적된 데이터로 뭔가 해낸 사람이 있습니까?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3.02.05 (21:21:57)

' 해냄' 이라면 '해내야' 를 말하는 것입니까?

 

해낸다는 것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되는데 곧,

 

진정한 소통을 이룬 사람이 있느냐? 라는 건가요?

 

확실히 모르겠군요. 감이 딸리는듯.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2.05 (21:33:15)

질문의 요지를 모르겠소.

대충 뭘 묻고 싶으신지 느낌은 오는데

문장이 앞뒤가 안 맞는거 같소.

질문이 구체적이어야 구체적인 답변이 가능하오.

 

 

1) 자연에서의 발견이 위냐

2) 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해석이 위냐

3) 불을 가장 먼저 발견한 사람이 대장이냐

4) 최초로 신을 말한 사람이 대장이냐

 

위 네가지가 서로 다릅니까?

 

1번과 2번 중에 택일입니까?

혹은 3번과 4번 중에 택일입니까?

1, 2번과 3, 4번 중에 택일입니까?

아니면 1, 2, 3, 4 중에 택일입니까?

왜 택일되어야 합니까?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3.02.05 (21:37:06)

내가 무엇이 궁금한지 나도 궁금함.

 

확실히 안다면 질문이 불필요할텐데

 

아무튼 좀 더 깊게 생각해볼께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02.05 (21:55:16)

진정한 창의는 발견입니다.

그것은 자연을 복제하는 것입니다.

 

기계적으로 복사됩니다.

도장 찍듯이 자연이 그대로 뇌에 찍혀져 나오는 거지요.

 

자연이 뇌를 때리면 뇌도 뭔가를 때리는데 쓰리쿠션이지요.

데이터 해석.. 이런 표현이 왜 나오는지 모르겠지만

 

그건 창의가 아니고 해석입니다.

데이터 들어가면 일단 창의는 아닙니다.

 

창의는 모형이고 이미지입니다.

굳이 말하자면 메커니즘입니다.

 

데이터는 그걸 2차적으로 가공한 부산물이지요.

이 내용은 질문과 상관없이 하는 말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 진정한 창의는 무엇입니까 5 니치 2013-02-05 2439
1971 간단한 질문 2 별돌이 2013-02-05 2372
1970 폭풍전야처럼 조용하군요 1 배태현 2013-02-03 4069
1969 김시습은 누구인가? image 8 김동렬 2013-02-03 7000
1968 쇼생크 탈출에서 엿본 끽다거 스타일 2 15門 2013-02-03 3201
1967 bittersweet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13-02-02 5575
1966 전세계 어머니들의 노래 5 pinkwalking 2013-02-01 8207
1965 뽐뿌까지.. 이넘들 활동안하는 곳이 어디냐를 찾는게 더 빠를 듯 image 난너부리 2013-02-01 2613
1964 이분 60대 남성 맞나요? image 4 곱슬이 2013-02-01 7981
1963 재미와 스타일 6 아란도 2013-02-01 2682
1962 무릎 걷어 올리고... 7 아란도 2013-01-31 4262
1961 이방인을 읽고 느낀 점 2 스마일 2013-01-31 4170
1960 역장님의 센스 image 곱슬이 2013-01-31 2441
1959 경쟁이 너무해 1 김동렬 2013-01-31 2553
1958 californication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13-01-31 2950
1957 상식의 허실 image 2 김동렬 2013-01-30 3347
1956 Life of pi(라이프 오브 파이) 1 아란도 2013-01-30 2967
1955 순서 4 mrchang 2013-01-30 2160
1954 대화법은 교사가 학급을 운영하는데 필수조건인가? 1 이상우 2013-01-29 3198
1953 이동흡 김용준 이명박 비교 3 약수동목장갑 2013-01-29 2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