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취재 여록]

 

[한국경제] 이고운 기자



"나는 그런 구지레한 곳에서 내 책이 번역되어 나오는 것 바라지 않아요. 메이저급 언어라면 몰라도….그러니 그리 아세요. "

이 거만한 발언은 우리나라 유명 작가의 입에서 나왔다. 우리 정부의 국비장학생으로 공부하고 있는 한 베트남 번역가는 박사 과정 틈틈이 국내 유명 작가의 소설을 베트남어로 번역했다. 이 원고를 현지 대형 출판사에 보냈더니 긍정적인 답변이 돌아왔다. 그런데 그때부터 문제가 생겼다. 원작자에게 출판 허가를 받기 위해 전화를 걸었더니 일언지하에 거절을 당한 것.

난 감해진 베트남 번역가는 지난해 말 문학평론가 권영민 서울대 교수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정성을 다하여 번역을 완료하였으며 더구나 출판까지 할 수 있게 되었는데 거부할 사람이 있을까' 싶었던 권 교수는 직접 작가에게 전화를 걸었다. 그랬더니 돌아온 답변이 "메이저급 언어라면 몰라도 그런 구지레한 곳에서…"였단다. 이 기막힌 사연을 문학 월간지 <문학사상> 6월호에서 소개하며 권 교수는 "서양 사람들이 모두 박수를 치며 읽어 주어야만 할 작품을 베트남과 같은 제3세계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것은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다는 뜻인가?"라고 개탄했다. 권 교수는 또 "이런 작가가 한국문학을 대표한다면서 여기저기 나댄다. 요즘은 노벨상 운동한다는 소문도 있다"면서 번역가 앞에서 괜히 부끄러웠다고 전했다.

외국 출판사가 우리나라의 순수문학을 나서서 소개하고 싶다고 하는 사례는 매우 드물다. 대산문 화재단이나 한국문학번역원 같은 기관이 번역가에게 번역비를 지급하고 해외 출판사에도 출판비를 일부 지원해야 우리 문학의 해외 진출길이 겨우 트인다. 그나마 우리 문학의 인지도가 낮아 열에 아홉은 초판이 다 팔릴동 말동이다. 한국문학을 이해하고 작품을 제대로 옮길 수 있는 원어민 번역가도 적어 쩔쩔매는 상황이다. 문제의 작가 말을 그대로 따오자면 우리야말로 참으로 '구지레한' 처지다.

문학에는 국경이 없다지만 언어의 장벽은 엄연하다.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등을 쓰는 문학 작품에 비해 한국어 같은 소수 언어권 문학에 그 장벽은 높은 게 현실이다. 그럴수록 우리 작가들은 더 고개를 숙여야 하지 않을까. 잠재 독자가 부르는데 말도 안 되는 이유로 외면하는 유명(?) 작가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2009-05-27



프로필 이미지 [레벨:24]꼬치가리

2009.05.31 (08:17:19)

그 번역가가 에시당초 사람과 짐승을 구분하는 데 실패를 했구려.
짐승만도 못한 것들이 글장사를 해먹고 사는 세상이니... 짐승급의 노벨상을 따로 만든다는 속설도 있습디다.
자칫하면 개같은 놈의 글이 구지레한(?) 언어로 번역될뻔 했구랴.
그나마 그 개가 짐승의 정체를 드러냈으니 천만다행이라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09.05.31 (08:45:34)

그 작가 이름이 머요?
[레벨:2]하나에하날더하면

2009.05.31 (10:03:42)

황석영이가 졸지에 거만한 아주 건방진 그무엇이 되었습니다그려...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번역하는 것을 수용 혹은 거부함은 그 작가의 당연한 권리... 
사전에 양해를 구하지않고 모든 것을 진행시켜놓은 후, 작가를 압박한 모양새로 보입니다.
[레벨:15]르페

2009.05.31 (10:36:08)

자신의 작품이 세상의 여러 언어로 번역되는 것은 모든 작가의 꿈입니다.
그런데 영어나 불어같은 '번드레한' 언어가 아니라 베트남어이기 때문에 싫다는겁니다.
번역상의 문제라거나 베트남과 정치적으로 대립한다거나 하는 특별한 이유없이,
'구지레한' 나라의 언어로 번역당하기 싫다는.. 그런 사람, 저는 아주 싫어지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09.05.31 (12:47:45)

오호...
황석영이었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7]꾸이맨

2009.06.03 (16:17:32)

천민들 ㅋㅋㅋ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32 제주 강정마을 평화활동가 탄원서 서명 부탁드립니다 수피아 2020-03-29 1653
5031 노인들이 미통당계열을 지지하는이유가 궁금합니다. 3 승민이 2020-03-28 2045
5030 앨런 그린스펀과 냉전이후의 경제 dksnow 2020-03-28 1777
5029 세월호가 넘어진 방법 이금재. 2020-03-27 1805
5028 양적완화에 대하여(수정) 이금재. 2020-03-26 1733
5027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3-26 1711
5026 문화일보가 만든 나와 딱 맞는 정당 찾기? 2 슈에 2020-03-25 1703
5025 코로나는 사스나 메르스와 다르다 3 이금재. 2020-03-24 1933
5024 sbs의 만행 9 이상우 2020-03-24 2186
5023 오늘 처음 해본 온라인 강의 4 수원나그네 2020-03-23 1713
5022 '사회적 거리두기' 라는 문구가 철학적으로 다가오는 시간 (3) image 아란도 2020-03-22 2271
5021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3-19 1630
5020 민주당이 pk운동권당? 승민이 2020-03-18 1449
5019 코로나 폭증배후에 일본우익들도 개입되어있을가능성에 대해 3 승민이 2020-03-15 2158
5018 뉴욕타임즈 기사 "How Coronavirus Hijacks Your Cells" 요약 1 오세 2020-03-13 2288
5017 사회적 거리두기(2) - 문명과 문화 단상 image 2 아란도 2020-03-13 1835
5016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3-12 1541
5015 콜센터 에어로졸 펄잼 2020-03-10 1873
5014 동렬님께 구조칼럼 '사회주의를 빙자한 정신병 행동' 질문 4 종달새 2020-03-10 2297
5013 사회적 거리두기에 관하여 2 아란도 2020-03-10 1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