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어제 회사에서 영화 '호빗: 뜻밖의 여정'을 상영했습니다.

10년전의 '반지의 제왕'과  변한 것이 있다면 주인공이 삼촌으로 바꼈다는 것 말고 캐릭터는 그대로 왔습니다.

10년전에 피터 잭슨감독이 탄생시킨 '반지의 제왕' 캐릭터를 다시 영화속으로 불러들인 것을 보면

피터 잭슨감독은 자기애가 굉장히 강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아래는 영화보다가 문득 생각이 들어서 적어본 시입니다.

 

개인 왕국의 시대

 

벼랑을 돌고 돌아 또 다시 벼랑
구르고 넘어지고
또 다시 구르고 넘어져도
꺾이지 않는 신념, 잃어버린 땅을 찾는 이야기

 

어딘가에 있을
지구 한 귀퉁이의 땅을 찾아 나서는 21세기의 헐리우드
그러나 그것은
영화 속의 이야기
인공위성이 감시하는 21세기의 지구에 숨은 땅은 없다
지구의 살갗에서 총부리 겨누며
한 뼘의 땅을 더 넓힐 수 없는 21세기의 지구
대제국을 건설할 왕국의 땅은 어디에도 없다

 

21세기
이제는
지구에 깃발을 꽂는 시대가 아니라
마음에 깃발을 꽂는 시대
개인이 왕국이 되는 시대
내가
그대가
우리가
왕국이 되어
우주가 되어 만나는 시대

 

벼랑을 돌고 돌아
또 다시 벼랑
구르고 또 구를수록
점점 더 강해지는 보이는 적은 헐리우드의 적
허나 21세기
따사로운 햇볕에 홀로 앉아도
햇볕을 즐기지 못해
허무를 이기지 못해
스스로를 공격하는
21세기의 적은 보이지 않는 적
보이지 않는 적이
나를 공격해
그대를 공격해
우리를 공격해
허니, 21세기
나를 알아야 할 시간
그대를 알아야 할 시간
우리를 알아야 할 시간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3.01.23 (17:37:13)

아래 시적인 글은 돈오 서문으로도 손색이 없는 듯...^^

프로필 이미지 [레벨:6]id: 15門15門

2013.01.24 (16:21:55)

호빗이란 존재가 언뜻 인간을 은유한듯 생각도 들었어요.

드워프에게 약한 존재라고 괄시받지만 그들과의 유대속에서 

점점 강해져 두려움에 맞서는 존재니까요.

호빗을 보셨다면 클라우드 아틀라스를 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그 영화에서 문득 떠오르는 대사가 있네요.

"우리의 삶은 우리들만의 것이 아니다. 우리가 태어나서 부터 죽을 때까지. 

우리는 과거와 현재의 타인들과 엮여있으니까."

[레벨:30]스마일

2013.01.24 (16:36:52)

제가 좋아하는 휴~우 그랜트가 나오네요.

주말에 계획을 잡아봐야 겠습니다.

 

휴~우 잭맨과 성이 같아서 착각했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812 생명의 진화와 소멸 2 양을 쫓는 모험 2010-07-07 7087
4811 넝쿨장미가 담을 넘고 있다... image 11 안단테 2009-05-20 7081
4810 보리수(보리장) image 10 안단테 2009-07-03 7077
4809 도서관에서 생긴 일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16 7058
4808 대칭의 수학 군론 2 똘추 2015-08-05 7032
4807 거리에서 눈내리는 마을 2010-09-15 7027
4806 인생의 방향과 양 image 3 눈내리는 마을 2010-07-24 7022
4805 드디어 미/중의 접점이.. 노란고양이 2010-07-20 7021
4804 김시습은 누구인가? image 8 김동렬 2013-02-03 7009
4803 시뮬라크르와 구조론 6 bttb 2010-07-17 7009
4802 오늘 누군가와 만난다면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9-01 6996
4801 사라지는 황토고원 image 2 김동렬 2014-03-04 6990
4800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내용 업뎃) image 2 챠우 2016-09-05 6982
4799 쿠웨이트에서 내가 먹은 것들 image 9 양을 쫓는 모험 2010-04-12 6973
4798 오늘 누가 당첨될까? 2 노매드 2010-07-26 6965
4797 4 아제 2010-09-13 6952
4796 note 2 1 눈내리는 마을 2010-09-24 6951
4795 2011 더 씽(The Thing) - 영화 image 12 아란도 2012-06-18 6931
4794 18대 대선 예상 투표율 7 새벽강 2012-12-19 6916
4793 수준문제, 한국사람이 일본을 접어 봐도 되는 이유 2 ░담 2010-06-25 6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