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스마일
read 2790 vote 0 2013.01.20 (20:55:10)

어미의 죽음도 내 얘기가 아니라 남의 일인들 말하는 ‘뫼르소(주인공)
감정이 거세되어
어미의 죽음
무어인의 죽음 (주인공이 죽임)에서는
자기의 의견을 피력한 적이 없는 뫼르소가
자기의 죽음(사형선고를 받음) 앞에서만은 감정이 살아난다
말이 많아진다.
그러나 삶을 구걸하는 말은 아니다.
사람은 모두 다 사형수이다.

 

나도 그럴 때가 작년에 있었다.
입사 이후로 나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가장 많은 말을 한 해가 2012년이 아니었던가?

초등학교를 나오신 어르신부터, 대학원에서 박사를 마친 교수까지
다양한 학력과 다양한 직종, 그 곳에 가로막힌 보이지 않는 장벽
그 장벽을 넘었을 때 가차없이 제재해 오는 힘
이 곳에서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잊혀진 존재로 살아갈 것인가?
점 하나를 찍고 사라질 것인가?
이런 생각은 첫 입사 때 한 것이 아니라 입사하고 한 참이 지난
직원 승진평가 때였다.

 

계단의 끝을 알 수 없는 서열과 나도 모르는 내 이야기가 흘러 다닌 곳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심히 지내는 것 이었다.
그러다가 생각했다. 능력을 키우자고
어려서부터 남에게 뭘 배우는 것이 아니라
궁금한 것을 찾아보면서 스스로 깨우치는 성격이라
업무에 필요한 책을 사다 놓고
일을 헤쳐나가다가
문득 입사해서 시간이 흐르고
승진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는
10년의 시간이 흘러 있었다.
내 가까이에서 나를 인정해 주는 사람들이 있고
학력과 남에게 잘 표현하지 못하는 성격은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나의 큰 착각이었다.

250명의 부서원 중
50명의 팀원 중
8명의 소팀원
나의 욕망이 수면아래에서 잠자고 있을 때는
아무런 반응이 없던 주위에서
내가 승진에 욕망을 가졌을 때
쏟아지는 말 말 말들

 

그러나 그 허무한 말들은 내 곁의 사람들 말이 아니라
나를 잘 모르는 사람들의 말들이었다.

 

대학을 끝까지 마치지 않았다고 하기에.
저는 학부를 마치지 않았지만, 학부를 마칠 생각도 없습니다.
의학도가 아니면 공학도가 아니면 굳이 대학에서 배울 것은 많지 않습니다.
책을 읽을 수 있는 눈이 있고 생각할 수 있는 힘만 있으면 독학 할 수 있습니다.
(구조론은 예외, 서른 넘어서 지난 30년이 넘게한 생각하는 방법을 1년 안에 바꾸는 것은 어려워요. ㅠ.ㅠ;;.)
그러나 이 생각은 단 나 하나만의 생각
그들이 원하는 것은 학부를 마친 종이

 

토익점수가 없다고 하기에
영어는 의사소통 아닙니까?
그간의 영어편지를 첨부해서 냈더니, 또 요구하는 종이

 

마지막 말은 더 한숨 나오게 한다
직장에서는 누구든 다 일을 할 수 있소

 

“직장은 인간관계가 전부요”

 

이것은 내 주위에서 나를 지켜봐 준 사람들을
한숨짓게 하는 소리였고
더 잘 하고 싶은 내 욕구를 꺾는 한마디 였고
어떻게 하면 업무 시간에 합법적으로 놀 수 있을까?를 생각해보는게하는 소리였다.
업무시간에 합법적으로 노는 것,
그리고 이제는 방법도 찾았다.


[레벨:10]하나로

2013.01.20 (21:16:46)

저도 최근에 이방인을 봤는데 아직 무엇을 전달받은 느낌이 없어 몇번더 찬찬이 봐야할것 같아요.  살해 장면은 이해가 잘 안되고 재판과정도 그냥 그렇고 간단치않은 책같네요 .  내가 멍청이인가?  하하 기대가커서 아쉬움도 큰책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3.01.20 (21:23:10)

지금도 퇴근 시간이 없는 한국회사들 조직들  제 정신인가 돌아볼 기회라 보오.

모든 회사는 3년만 버틸 힘(돈 또는 꿀 능력)이 있다면 직원들 모두 일주 35시간만 일시켜도 된다 생각하오.

그리고 3년 버텨내면 30년 300백년 버틸 힘 나오는거 아이가!? 당최 세계 최고 일시간 놓치지 않는 비결이 뭔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952 책으로 보는 흐름 2 아란도 2013-03-07 2467
1951 여론조사 직접 .. 평소공부 하기오 1 지여 2011-01-14 2467
1950 권세와 아들러 심리학(미움받을 용기) 4 챠우 2015-08-04 2466
1949 드러나는 진실, 침몰하는 수첩 냥모 2014-04-22 2466
1948 이게 술술 풀리면 당신도 프로그래머 image 18 차우 2014-10-16 2466
1947 원세훈의 #을 쳐야 합니다. 해안 2017-08-04 2465
1946 1990년 콜롬비아 보고타 좌파 클럽에서 1 까뮈 2013-12-12 2465
1945 맥이 생겼다면 나 좀 도와주시오.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2-05-11 2465
1944 공동 정범[共同正犯] 4 생글방글 2017-04-23 2464
1943 16일(토) 모임 안내 image 5 불그스레(旦) 2015-05-12 2464
1942 네가 싸인 안했나? 이 등신아! 2 해안 2014-07-22 2464
1941 구조강론 20130516 영상 냥모 2013-05-20 2464
1940 조연은 뒤로 빠져! 12 노매드 2012-04-07 2464
1939 sbs 지지율 의문점 image 6 스마일 2012-12-06 2463
1938 생명의 탄생은 우연이 아니라 수학적으로 필연적인 사건 image 2 오리 2016-09-09 2462
1937 구조론의 방법 (두번째) 18 일반이론 2011-12-07 2462
1936 신 vs 인간 9 큰바위 2014-03-12 2461
1935 순위가 꽤 높소 image 4 솔숲길 2012-11-05 2461
1934 구조론 목요모임(3층) image 오리 2020-05-07 2460
1933 [김종철] 성장시대의 종언과 기본소득 1 수원나그네 2016-02-03 2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