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read 2933 vote 0 2012.12.28 (22:03:26)

'절대 지지않는다.'

 

'지킨다.'

'무엇인가를 지킨다.'

 

 

절대 지지않겠다는 마음은, 이미 상대를 의식하고 있으므로 패배라고 할 수 있겠지만

반드시 그 상대가 사람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절대 지지않겠다는 마음은, 무엇인가를 지켜내기 위함이며, 위하여가 들어갔으므로 무효라고 할 수 있겠지만

나아감 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절대 지지않겠다, 않도록 ~ 하겠다. 라는 마인드에 대해 생각을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꼭 영상강의가 아니더라도 상관은 없겠지만, 아저씨 말하는게 잼있어서 영상으로 해주심 ㄳ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28 (22:32:11)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소.

가끔 져주기도 해야지 왜 지지 않으려고 하시는지?

정치적인 건지, 경제적인 건지, 친구관계인지, 

무언가 아름답게 완성하려고 해야지 이기려고 하면 피곤하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28 (22:41:04)

지지않겠다는 말이 말 그대로 정말 지지않고 이기겠다, 승부를 나타나내는 뜻으로 한 말은 아니고,

 

전체적으로 인생의 방향성이나 삶을 살아가는 마인드의 관점으로,

 

지지않겠다 라는 말로  풀어낼 수 있고, 이 말에 들어있고 감춰져있던 관계들에 대해 보다 깊이 알고 싶어서 말씀드렸습니다.

 

단지 이 말이 승부를 나타나는 말로만 쓰여지기에는 좀 더 다른 무언가를 느꼈기때문에 질문한거임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28 (23:38:32)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배경에서 왜 그런 말씀을 했는지 알아야 뭐든 말할 수 있겠소이다.

그냥 지지 않겠다고 하면 뭐 오기로 그러는지 하여간 알 수가 없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28 (23:46:52)

좀 더 생각을 정리해서 질문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죄송 (_ _)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30 (00:47:22)

절대 지지 않는다 라는 말은, 단순히 상대주의 적인 관점에서 해석할 수 도있고

 

절대적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럼 절대 지지 않는 상황은?  동렬 아저씨가 쓰는 단어로 표현하면 신이거나, 하나 이거나, 존엄 할때.

 

누가 뭔짓을 하건, 자기가 감당해낼 수 있다고 느끼는 순간,

 

나와 상대방 이외, 링 전체가 보이고, 심판이 보이고 관중이 나타남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함.

 

그리고, 신과의 승부, 절대성과 존엄과의 승부에서 절대 지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무엇이 보일지가 궁금했던거라 생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30 (21:59:01)

질문이 잘 이해가 안됨; 좀 풀어주심 ㄳ

 

그리고 '신' 이라는 것은 늙은 할아버지를 말한다거나, 언어로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절대 지지않는다 라는 말은, 이기고 지고, 싸우고 다투고가 아니라, '나와 마주보고 있는 것과의 관계'  이며

 

그 관계속에서 나의 위치는 어디인가? 를 묻는 말이라고 느꼇습니다.

 

동렬 아저씨가 말한데로, ' 왜 지지 않을려고 하냐? ' 라는 것이 그 위치를 묻는 말이라고 생각했는데,

 

반대로 말해보면, '신, 절대적인, 유일한' 과 마주보고 있고 그것과의 절대 지지 않는 관계, 즉

 

절대적인 것 앞에서의 나의 위치는 어느 정도냐, 어디냐, 하는 것입니다.

 

절대적인 것 앞에서 절대 지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무엇을 느낄 수 있을지, 세상이 어떻게 보일지가 궁금했던 것이고

 

동렬 아저씨가 그런 것을 알고 있을 것 같았기  때문에 물어봤습니다.

 

단순히 신과 한판 붙어서, 이겨서 뭘할려고 이런 질문을 하겠나요...그렇게 이긴들

 

자신이 절대적인 존재가 되는 걸까요? 되서 뭐하나영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192 김연아 프리 무슨 수로 보나 14 까뮈 2014-02-20 3145
3191 머신러닝의 구조론적 분류 image 1 챠우 2019-12-30 3144
3190 북유럽 가는데요. 조언을 구합니다. 11 이상우 2014-07-28 3144
3189 학원가기 싫은 날 image 5 이상우 2015-05-11 3143
3188 애니 레보비츠 사진.. image 아란도 2014-01-20 3142
3187 이정희 퀴즈 22 새벽강 2012-12-16 3142
3186 꼬리자르기 - 머리자르기 image 아란도 2017-07-06 3141
3185 고 김광석 18 주기를 추모하며... 3 아란도 2014-01-07 3140
3184 인간을 계발하는 방법에 관하여 참고자료를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image 11 이기준 2012-06-20 3140
3183 인공지능, 입력(질)의 단계에서 바라보다. 3 백공팔 2016-03-08 3139
3182 2014 대망의 새해 맞이 번개 image 6 ahmoo 2013-12-30 3139
3181 안철수 단상 4 노매드 2011-09-03 3139
3180 명절이 끝나면 일상으로 돌아가야지요 2 까뮈 2013-09-22 3138
3179 대화법을 가지고 아이들이 성장하는 학교 모델 만드실 분 없나요? 3 이상우 2013-06-24 3138
3178 주말모임 공지 20 뛰뛰빵빵 2016-01-13 3137
3177 나이 들어간다는것..... 2 폴라리스 2010-05-05 3137
3176 제발 말좀 쉽게 하란 말이야! 3 노매드 2010-05-26 3137
3175 미쿡 교육의 방향 7 오리 2011-08-11 3135
3174 부암동 소소한파티 image 3 이산 2017-06-23 3134
3173 이세돌 "바둑은 예술 혹은 도" 2 락에이지 2016-03-03 3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