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read 2928 vote 0 2012.12.28 (22:03:26)

'절대 지지않는다.'

 

'지킨다.'

'무엇인가를 지킨다.'

 

 

절대 지지않겠다는 마음은, 이미 상대를 의식하고 있으므로 패배라고 할 수 있겠지만

반드시 그 상대가 사람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절대 지지않겠다는 마음은, 무엇인가를 지켜내기 위함이며, 위하여가 들어갔으므로 무효라고 할 수 있겠지만

나아감 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절대 지지않겠다, 않도록 ~ 하겠다. 라는 마인드에 대해 생각을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꼭 영상강의가 아니더라도 상관은 없겠지만, 아저씨 말하는게 잼있어서 영상으로 해주심 ㄳ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28 (22:32:11)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소.

가끔 져주기도 해야지 왜 지지 않으려고 하시는지?

정치적인 건지, 경제적인 건지, 친구관계인지, 

무언가 아름답게 완성하려고 해야지 이기려고 하면 피곤하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28 (22:41:04)

지지않겠다는 말이 말 그대로 정말 지지않고 이기겠다, 승부를 나타나내는 뜻으로 한 말은 아니고,

 

전체적으로 인생의 방향성이나 삶을 살아가는 마인드의 관점으로,

 

지지않겠다 라는 말로  풀어낼 수 있고, 이 말에 들어있고 감춰져있던 관계들에 대해 보다 깊이 알고 싶어서 말씀드렸습니다.

 

단지 이 말이 승부를 나타나는 말로만 쓰여지기에는 좀 더 다른 무언가를 느꼈기때문에 질문한거임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28 (23:38:32)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배경에서 왜 그런 말씀을 했는지 알아야 뭐든 말할 수 있겠소이다.

그냥 지지 않겠다고 하면 뭐 오기로 그러는지 하여간 알 수가 없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28 (23:46:52)

좀 더 생각을 정리해서 질문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죄송 (_ _)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30 (00:47:22)

절대 지지 않는다 라는 말은, 단순히 상대주의 적인 관점에서 해석할 수 도있고

 

절대적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럼 절대 지지 않는 상황은?  동렬 아저씨가 쓰는 단어로 표현하면 신이거나, 하나 이거나, 존엄 할때.

 

누가 뭔짓을 하건, 자기가 감당해낼 수 있다고 느끼는 순간,

 

나와 상대방 이외, 링 전체가 보이고, 심판이 보이고 관중이 나타남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함.

 

그리고, 신과의 승부, 절대성과 존엄과의 승부에서 절대 지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무엇이 보일지가 궁금했던거라 생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30 (21:59:01)

질문이 잘 이해가 안됨; 좀 풀어주심 ㄳ

 

그리고 '신' 이라는 것은 늙은 할아버지를 말한다거나, 언어로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절대 지지않는다 라는 말은, 이기고 지고, 싸우고 다투고가 아니라, '나와 마주보고 있는 것과의 관계'  이며

 

그 관계속에서 나의 위치는 어디인가? 를 묻는 말이라고 느꼇습니다.

 

동렬 아저씨가 말한데로, ' 왜 지지 않을려고 하냐? ' 라는 것이 그 위치를 묻는 말이라고 생각했는데,

 

반대로 말해보면, '신, 절대적인, 유일한' 과 마주보고 있고 그것과의 절대 지지 않는 관계, 즉

 

절대적인 것 앞에서의 나의 위치는 어느 정도냐, 어디냐, 하는 것입니다.

 

절대적인 것 앞에서 절대 지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무엇을 느낄 수 있을지, 세상이 어떻게 보일지가 궁금했던 것이고

 

동렬 아저씨가 그런 것을 알고 있을 것 같았기  때문에 물어봤습니다.

 

단순히 신과 한판 붙어서, 이겨서 뭘할려고 이런 질문을 하겠나요...그렇게 이긴들

 

자신이 절대적인 존재가 되는 걸까요? 되서 뭐하나영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812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부암동) image 1 ahmoo 2017-06-22 2936
2811 어린이 청소년교육이 중요한 이유 1 지여 2010-11-18 2936
2810 경상도[질문입니다] 6 낙오자 2013-04-15 2935
2809 데자뷰 아제 2011-01-31 2935
2808 어떤 꿈 4 배태현 2012-12-25 2934
2807 바퀴 달린 동물이 없는 이유 2 챠우 2015-07-12 2931
2806 서태지의 소격동을 듣고 5 락에이지 2014-10-04 2931
2805 김수행 강의 2 아란도 2012-12-14 2930
» 셀프강의 6 니치 2012-12-28 2928
2803 <적응과 부적응> image 아란도 2015-05-11 2928
2802 구조론과 감기 5 김동렬 2011-05-23 2928
2801 구조론 정회원이 되고 싶습니다. 1 들풀향기 2008-12-02 2928
2800 노홍철은 가라. 4 까뮈 2014-11-10 2927
2799 닭 요리와 쪼매난 햄버거 2 아란도 2013-06-17 2927
2798 빛의 아들님에게 15 상동 2015-05-03 2925
2797 조선족 보이스피싱 실제 통화 1 momo 2013-06-04 2925
2796 사발님의 주방기구 19 냥모 2013-04-12 2925
2795 무식한 질문 3 낙오자 2013-02-22 2925
2794 노무현 대통령 ,,, 도덕성의 근원 1 일반이론 2011-05-24 2925
2793 전 홍길동이 아니기에 김동렬 선생님이라 호칭하는 것입니다. 6 배태현 2014-05-20 2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