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read 2930 vote 0 2012.12.28 (22:03:26)

'절대 지지않는다.'

 

'지킨다.'

'무엇인가를 지킨다.'

 

 

절대 지지않겠다는 마음은, 이미 상대를 의식하고 있으므로 패배라고 할 수 있겠지만

반드시 그 상대가 사람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절대 지지않겠다는 마음은, 무엇인가를 지켜내기 위함이며, 위하여가 들어갔으므로 무효라고 할 수 있겠지만

나아감 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절대 지지않겠다, 않도록 ~ 하겠다. 라는 마인드에 대해 생각을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꼭 영상강의가 아니더라도 상관은 없겠지만, 아저씨 말하는게 잼있어서 영상으로 해주심 ㄳ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28 (22:32:11)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소.

가끔 져주기도 해야지 왜 지지 않으려고 하시는지?

정치적인 건지, 경제적인 건지, 친구관계인지, 

무언가 아름답게 완성하려고 해야지 이기려고 하면 피곤하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28 (22:41:04)

지지않겠다는 말이 말 그대로 정말 지지않고 이기겠다, 승부를 나타나내는 뜻으로 한 말은 아니고,

 

전체적으로 인생의 방향성이나 삶을 살아가는 마인드의 관점으로,

 

지지않겠다 라는 말로  풀어낼 수 있고, 이 말에 들어있고 감춰져있던 관계들에 대해 보다 깊이 알고 싶어서 말씀드렸습니다.

 

단지 이 말이 승부를 나타나는 말로만 쓰여지기에는 좀 더 다른 무언가를 느꼈기때문에 질문한거임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12.28 (23:38:32)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배경에서 왜 그런 말씀을 했는지 알아야 뭐든 말할 수 있겠소이다.

그냥 지지 않겠다고 하면 뭐 오기로 그러는지 하여간 알 수가 없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28 (23:46:52)

좀 더 생각을 정리해서 질문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죄송 (_ _)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30 (00:47:22)

절대 지지 않는다 라는 말은, 단순히 상대주의 적인 관점에서 해석할 수 도있고

 

절대적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럼 절대 지지 않는 상황은?  동렬 아저씨가 쓰는 단어로 표현하면 신이거나, 하나 이거나, 존엄 할때.

 

누가 뭔짓을 하건, 자기가 감당해낼 수 있다고 느끼는 순간,

 

나와 상대방 이외, 링 전체가 보이고, 심판이 보이고 관중이 나타남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함.

 

그리고, 신과의 승부, 절대성과 존엄과의 승부에서 절대 지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무엇이 보일지가 궁금했던거라 생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id: 니치니치

2012.12.30 (21:59:01)

질문이 잘 이해가 안됨; 좀 풀어주심 ㄳ

 

그리고 '신' 이라는 것은 늙은 할아버지를 말한다거나, 언어로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절대 지지않는다 라는 말은, 이기고 지고, 싸우고 다투고가 아니라, '나와 마주보고 있는 것과의 관계'  이며

 

그 관계속에서 나의 위치는 어디인가? 를 묻는 말이라고 느꼇습니다.

 

동렬 아저씨가 말한데로, ' 왜 지지 않을려고 하냐? ' 라는 것이 그 위치를 묻는 말이라고 생각했는데,

 

반대로 말해보면, '신, 절대적인, 유일한' 과 마주보고 있고 그것과의 절대 지지 않는 관계, 즉

 

절대적인 것 앞에서의 나의 위치는 어느 정도냐, 어디냐, 하는 것입니다.

 

절대적인 것 앞에서 절대 지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무엇을 느낄 수 있을지, 세상이 어떻게 보일지가 궁금했던 것이고

 

동렬 아저씨가 그런 것을 알고 있을 것 같았기  때문에 물어봤습니다.

 

단순히 신과 한판 붙어서, 이겨서 뭘할려고 이런 질문을 하겠나요...그렇게 이긴들

 

자신이 절대적인 존재가 되는 걸까요? 되서 뭐하나영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912 정권을 잡았다고 생각해야 할 듯 합니다. 6 LBori 2012-12-21 3124
1911 마이클 쉘렌버거들의 도발에 대해 2 수원나그네 2017-07-06 3124
1910 마음의 구조 리뷰 image 6 아란도 2011-02-17 3127
1909 어른들이 아이들을 혼낼 때 자주 사용하는 세가지 표현 1 이상우 2012-03-29 3129
1908 서울(Seoul)이 남한(South Korea)의 수도라고 한 것이 뭐가 어때서? 4 노매드 2013-02-16 3129
1907 나는 영어를 계산한다 3회 - 셀 수 없는 명사 1 조영민 2013-12-16 3130
1906 죽음의 공포? 13 아나키 2015-11-09 3130
1905 넥스트 The Ocean 불멸에 관하여 4 차우 2014-10-27 3131
1904 머신러닝의 구조론적 분류 image 1 챠우 2019-12-30 3131
1903 안녕하세요 1 발데라마 2008-11-27 3132
1902 음성에 나이가 깃들다 눈내리는 마을 2011-07-01 3132
1901 인사 올립니다. 6 일벌 2012-12-18 3133
1900 don jon 2013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13-09-28 3133
1899 이세돌 "바둑은 예술 혹은 도" 2 락에이지 2016-03-03 3133
1898 부암동 소소한파티 image 3 이산 2017-06-23 3133
1897 미쿡 교육의 방향 7 오리 2011-08-11 3134
1896 제발 말좀 쉽게 하란 말이야! 3 노매드 2010-05-26 3135
1895 2014 대망의 새해 맞이 번개 image 6 ahmoo 2013-12-30 3136
1894 나이 들어간다는것..... 2 폴라리스 2010-05-05 3137
1893 대화법을 가지고 아이들이 성장하는 학교 모델 만드실 분 없나요? 3 이상우 2013-06-24 3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