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이성광이성광
read 3490 vote 0 2012.12.23 (15:07:34)

일의 전모, 성패의 차원 : 생멸 > 성쇠 > 흥망 > 승패 > 선후

일의 전모, 집단의 차원 : 정보 > 우주 > 생명 > 인류 > 개인

                                           인류 > 국가 > 지역 > 동네 > 개인

일의 전모, 개인의 차원 : 전아(완전함) > 각아(깨달음) > 사아(사유함) > 경아(겪음) > 행아(움직임)


난리가 났다. 국가가 퇴행했다. 인류의 진보에 맞서는 국가는 난리가 난다. 하극상이기 때문이다. 국가의 역행에 맞서야만 하는 지역과 동네와 개인은 난리를 만난다. 국가와 지역과 동네에 맞서야만 하는 개인이라면 난리 중에 난리를 만난 것이다.


국가의 영향력을 벗어나는 것이 쉽지 않지만, 가능하다. 패하였을지라도 망하지 말하야 한다. 쇠하지 말아야 한다. 멸하지 말아야 한다. 인류를 봐야 하다. 생명을 봐야 한다. 우주를 봐야 한다. 정보를 봐야 한다. 하극상에 휘말리지 말아야 한다.


더 높은 곳을 봐야 한다. 국가가 역중행하면 인류를 봐야 한다. 70억 인류를 넘어 7,000억 인류를 봐야 한다. 인류라는 집단을 본다면, 현재 인류 넘어에 도도하게 너울거리는 과거 현재 미래까지 포괄하는 완전한 인류 7,000억의 7,000억배 넘어 갈 인류를 봐야 한다. 


개인은 집단이다. 집단의 차원을 발견해야 한다. 완전해야 한다. 각성해야 한다. 사유해야 한다. 경험해야 한다. 행동해야 한다. 1,500만의 집단이 역행해도, 맞설 수 있다. 5,000만이 역행해도 맞설 수 있다. 완전한 개인은 국가의 퇴행과 맞설 수 있는 집단이다. 인류의 퇴행과도 맞설 수 있는 집단이다.


완전함이 중심이다. 중심을 잡아야 한다. 모든 집단은 중심이 있다. 정보도 우주도 생명도 인류도 개인도 중심이 있다. 완전함이 있다. 중심과 중심이 만날 때 집단은 차원의 한계를 넘어 대등할 수 있다. 그 찰나에 사건이 터진다. 일이 난다. 우주가 나고, 생명이 나고, 인류가 나고. 개인이 난다. 모든 퇴행과 역주행을 일소한다. 진리는 그렇게 일한다. 신은 그렇게 일한다. 완전함은 그렇게 일한다.


완전함으로 일한다. 우주를 낳은 정보는 그렇게 일했다. 생명을 낳은 우주는 그렇게 일했다. 인류를 낳은 생명은 그렇게 일했다. 개인을 낳은 인류는 그렇게 일했다. 그러함으로 낱개인 개체 사람은 부모가 낳을 수 있어도, 집단인 개인 사람은 부모가 낳을 수 없다.


잡스러운 집단에 휘쓸리지 말아야 한다. 시간이 아깝기 때문이다. 잡스러운 선후, 승패, 흥망, 성쇠, 생멸에 연연하지 말아야 한다. 완전함에서 멀어지기 때문이다. 완전함으로 바룰 수 있어야 진짜다. 진짜 앞서고, 이기고, 흥하고, 성하고, 생하는 것이다.


동네나 지역이나 국가나 인류는 그리 크지 않다. 크게 보이는 것은 착시다. 그리 세지도 않다. 세게 느껴지는 것은 착각이다. 퇴행이나 역주행으로는 망하고, 쇠하고, 멸하게 될 뿐이다. 단호히 끊어 내야 한다. 멀리해야 한다.


진리와 연결하고, 중심과 연결하고, 완전함과 연결하면 된다. 당당히 퇴행과 맞설 수 있다.


나를 낳은 인류의 편에 설 수 있다. 나를 낳은 생명에 편에 설 수 있다. 나를 낳은 우주의 편에 설 수 있다. 나를 낳은 정보의 편에 설 수 있다. 완전함으로 바룰 수 있다.


난리가 났다. 그러나 동요마시라. 난라는 인류 생활의 일상일 뿐이다. 사람이거든 구조하라!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68
533 스타일에 구속당하는가? 스타일을 주도하는가? 1 양을 쫓는 모험 2009-06-10 4884
532 공자의 정명사상 1 김동렬 2017-03-02 4896
531 한국어와 마오리어 김동렬 2015-03-26 4897
530 짜증나는 지하철 시 image 10 김동렬 2014-02-19 4899
529 질문 -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지식 30 김동렬 2013-01-13 4900
528 초파리의 위장술 image 4 김동렬 2013-11-11 4900
527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김동렬 2023-04-13 4902
526 야구의 구조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5-03 4903
525 구조론 시 아제 2010-02-08 4905
524 월터교수의 마지막 강의 5 김동렬 2016-07-18 4906
523 생각의 정석 8회 (충격대예언-박근혜의 운명에서 2013년 하반기 트렌드로 변경) 2 오세 2013-08-14 4908
522 뒤를 돌아보라. 1 아제 2010-02-12 4909
521 북미 관계 어떻게 볼것인가 4 눈내리는 마을 2009-02-24 4911
520 아이의 문제에 교사가 휘말릴 때 image 2 이상우 2023-06-13 4911
519 여자의 19금 발언 2 김동렬 2014-11-07 4912
518 최악의 디자인은 이런 거. image 3 김동렬 2012-11-04 4913
517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914
516 질이라 함은.. 9 도플솔드너 2009-01-20 4914
515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18
514 인간이 원하는것 image dksnow 2022-08-04 4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