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Genius is one percent inspiration and ninety-nine percent perspiration
-Thomas Alva Edison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 -에디슨-

 

 

163F21354E91773009D07F

 

 

에디슨 : 전에 나는 신문 취재에서 그 기자에게

         '1퍼센트의 영감이 없으면 99퍼센트의 노력은 소용이 없다'고 말한 거였소.

          그런데 신문에는 1퍼센트의 영감에 대한 중요성이 아니라

          99퍼센트의 노력에 중점을 두고,

          나를 노력하는 사람으로 미화하여 진실을 잘못 전한 것이오.

          정말이지 못말리는 착각이지요.

[출처] 사실은 1퍼센트의 영감이 중요하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거요 (비욘드 더 시크릿 Beyond the secret) |작성자 쿠키

원래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이 없으면 99%의 노력도 소용없다" 라고 말했답니다. 모두들 잘못된 해석으로 잘못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에디슨의 자서전을 보시면 정확히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1%영감 없이는 99% 노력을 해봐야 성공할 수 없다는 말입니다. 노력을 강조한게 아니고 1%영감을 강조한 말 입니다.

여기서 영감이란 천재성이 아니라 무언가를 하려는 열정이나 도전성을 말한다고 합니다. 그냥 무조건 열심히 최선을 다해 청춘을 다 바쳐도, 아무런 영감이 없다면, 진짜 목표가 아니라면 그 허무함이란 말로 표현할 수 없겠지요.


[레벨:12]비랑가

2012.11.17 (12:40:18)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것과는, 새로운 내용이네요!

이런 귀한 정보를...감사합니다.

[레벨:2]하나에하날더하면

2012.11.17 (13:12:01)

에디슨이 말한 영감이란 결국 방향성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뭔가를 시작할 때 이미 지도를 그리고 길을 떠난다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레벨:4]AcDc

2012.11.17 (13:30:32)

99%의 삽질을 선호하는게 현실이지요.

방향성이요?

그런개념은 애초에 없습니다.
애기들 밥먹이는것도 돈아깝다고 하는 사람들 널리고 널렸습니다.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12.11.18 (08:16:58)

발명의 시스템을 만들었고, 영국 국왕에 반대한, '신흥자본주의' 동부 미국에서,

난다 긴다하는 유럽출신 수학자나 물리학자들을 대거 끌어들인 결과입니다.

그중의 한명이 tesla이구요.


미국 전역의 대규모, 전기공사, 토목공사를 위해서는, 전자기 혁명이 필수였고,

에디슨 전기회사는 그 시대적 질문에 '응답'했던거죠.

시대적 질문에 응답하는 일은 대체적으로 많은 노동을 요구하죠!


그후로, '벨'이라든가, 'GE'같은 회사들이 탄생하게 됩니다. '

IBM은 좀 나중 이야기구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712 달빛 아이디로 최근에 올라온 글들은 (구조론 연구소 운영자님께...) Ra.D 2014-03-23 2359
1711 본질을 잊지마시길... 정청와 2011-12-30 2359
1710 청주 구조론 모임(1회차) 공지 image 2 아나키 2016-01-13 2358
1709 출석부 2 생글방글 2017-05-10 2357
1708 질을 구분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1 해저생물 2013-03-07 2357
1707 야당 총선승리 이유들-내 생각!! 해안 2016-04-14 2354
1706 범 충청권(청주,대전,천안,세종,충주)구조론 모임(2월4일_목_12시)_2회차 image 1 아나키 2016-01-26 2354
1705 세계화 스마일 2014-01-20 2354
1704 정부는 조문을 전면 허용하라. 1 노매드 2011-12-24 2353
1703 낙동강 상류 봉화구간 도보여행 제안 6 수원나그네 2014-06-02 2352
1702 대략...난감 그자체... 7 아란도 2015-01-17 2351
1701 히어로즈의 현금트레이드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1-01-17 2350
1700 영월모임 재공지 image 16 김동렬 2016-10-14 2349
1699 관심. 3 아제 2011-01-23 2349
1698 보수? image 2 홍신 2015-01-25 2348
1697 만난 지 엊그제인 듯 image 6 생글방글 2017-04-07 2347
1696 왜 대왕카스테라 인가? image 4 아나키 2017-03-21 2347
1695 오늘 체르노빌 30주기 - 만화소개 3 수원나그네 2016-04-26 2347
1694 인터스텔라를 보았소. 1 까뮈 2014-11-25 2347
1693 사건과 사물의 분리 2 큰바위 2013-04-16 2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