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관리자*
read 2932 vote 0 2012.10.21 (22:04:05)

일터> 일거리> 일자리> 일하기> 일보기(결과물 보임: 상품, 서비스, 콘텐츠 등등)


한 700억 쯤 살아야 한다면 어쩔건가.

세계 인구는 70억을 넘었고, 35년 마다 두배로 증가는 추세라 한다. 인구 과잉이 염려되어 증가 추세를 꺽으려 한다면, 세계는 반드시 대재앙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아래 기사는 관련한 내용.

인구와 관련하여 겪어야만 할 난리라면 그리고 난리 중 한쪽을 택할 수 있다면, 과잉을 택하겠다. 한 700억 쯤 살아가면 안되는가 말이다. 세계가 산업화를 시작하던 1800년대 인구는 10억명 정도였다. 맬서스의 인구론이 나온 것이 1798년(강일동 모임에서 1억명 대 70억으로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1800년대 세계 인구는 10억으로 바로잡습니다. --;;).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세계는 진보했다. 정보화까지 겹쳐 진보를 가속하고 있다. 한 700억명 쯤은 넉넉히 살 수 있는 기획이 나와줘야 한다. "일하는 방식을 진보시키는 일"이 일상화된다면 안 될 것도 없다.

우주는 팽창하고, 생명도 팽창하고, 인류도 팽창한다. 이건 자연법칙이다. 생명의 팽창은 번식이라 하고, 인류의 팽창은 증가 등으로 칭하지만 본질은 같다. 이 결을 타야 한다. 좌충우돌하더라도 이 결을 타고 가야 한다.

인류 팽창을 기본으로 해야 일거리가 보이고, 일거리가 보여야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 2050년 60세 이상의 인구가 20억이 되는 것은 막을 수 없다. 그러나 이 20억이 22%가 되는 것을 막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일 하는 방식"은 300년 전 산업화 초기에 기획된 것을 상황에 따라 두들겨 가며 쓰고 있는 것이다. 정보화로 촉발된 진보에는 맞지 않는 부분이 많다. 경우에 따라 완전히 다른 OS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인류가 700억사는 모습을 그려 보는 것은, 그 그림에 맞는 일하는 방식을 발견하는 데 방해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한 700억명 쯤이 넉넉히 살고 있는 지구는 지금 보다 훨 아름다울 수도 있다. 개인은 훨 한가할 수도 있다.

문캠프에서 한반도 인구 8000만을 제시한 것은 좋다. 증가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 40대 이하가 우리나라 진보의 기반이다. 출산과 육아는 국방과 외교 만큼이나 중요하다. 또한 출산과 육아에 소집 되어있는 청장년층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진보 정치세력이 40대 이하와 관계의 밀도를 높이면 정치적 퇴행은 이명박이 마지막이 될 수 있다. 출산과 육아와 관련한 지원은 아낌없이 해야 한다.

정보화 결을 따라 "일하는 방식"을 진보시키면, 한반도에 한 70억 쯤 넉넉히 살 수도 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0022143475&code=970100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02
495 진화의 목적은 없는가? 9 김동렬 2013-12-29 5004
494 시스템에서 감각으로 5 양을 쫓는 모험 2009-06-04 5006
493 본격 변희재 때리는 만화 image 7 김동렬 2016-10-10 5007
492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5009
491 쉬어가며 읽는 글: 우리는 왜 자본주의를 해야하는 거죠? 기준님하 2009-07-23 5017
490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5028
489 노무현이 죽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필승하는 방법 4 이기준 2009-07-22 5030
488 이 거짓말에 대해 논해보시오. 7 김동렬 2013-08-18 5030
487 뇌에 ‘유령 신경세포’ 많다 2 김동렬 2011-01-18 5038
486 답이 나온 문제 18 김동렬 2013-02-27 5044
485 요즘 초딩들은 무서워. image 김동렬 2015-05-06 5048
484 여전한 서구의 인종주의 6 김동렬 2013-08-25 5052
483 시선의 방향 4 lpet 2010-10-27 5057
482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 1 김동렬 2013-10-21 5057
481 집 한 채의 미학. 6 아제 2010-02-04 5058
480 남녀간의 사랑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자유 2008-11-09 5065
479 김동렬을 대신해서 씀 2 기준님하 2009-07-21 5081
478 마인드맵의 진화단계 7 juseen 2011-04-26 5084
477 지금 딴나라당이 잘못하고있는건가요?? image 1 가혹한너 2009-02-28 5088
476 창의성의 진화 image 7 김동렬 2015-01-05 5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