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read 11325 vote 0 2012.10.21 (21:08:48)


c1.JPG  

   

어떤 둘이 하나의 토대를 공유할 때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되는’ 상호작용의 구조가 작동한다. 그것이 관계다.

 

 c2.JPG

 

   관계는 서로 떨어져 있다가 어떤 상황이 발생하면 갑자기 소집된다. 사랑이라는 보이지 않는 토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c3.JPG

 

  네가 아프면 나도 아프다. 네가 기쁘면 나도 기쁘다. 네가 성공하면 나도 성공이다.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된다. 보이지 않는 끈에 의해 서로는 묶여있었던 거다. 모든 예술은 그 숨은관계찾기 게임이다.

 

c4.JPG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닮아간다.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치유된다.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위대해진다.

 

c5.JPG

 

    모르고 있지만 우리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있다. 소립자들이 이온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을 하듯이. 우리는 거대한 관계의 장 안에서 호흡하고 있다. 그 관계의 토대는 보호되어야 한다. 보이지 않기에 위태롭다.

 

c6.JPG

 

   관계는 예기치 못하는 순간에 문득 끼어들어 스위치를 켠다. 그리고 그대의 존엄을 묻는다. 그러므로 위태롭다. 그 관계의 급소를 보호하는 데서 인류는 진보한다. 그 보호의 수준을 높여가는 것이 스타일이다.

 

c7.JPG

 

   서로 붙어있지 않고 서로 침범하지 않고 서로를 통제하지 않고 서로에게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서로를 도울 수 있고 얼마든지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은 관계다그 관계의 문법이 있다. 그 관계의 문법을 지킬 때 스타일은 완성된다.

 

c8.JPG

 

   서로에게 기대고 서로에게 의지하는 것이 관계다. 상대의 영역에 침범하지 않고 서로 다치지 않고 남의 것을 빼앗지 않고 그것을 해내는 것이 예술이다. 이게 이렇게 하면 저게 저렇게 하는 상호작용의 원리를 통하여 그것은 달성된다.

 

c9.JPG

 

   관계는 너무 멀어져도 안 되고 너무 가까워져도 안 된다. 멀어지면 관계는 끊어지고 너무 밀접하면 서로에게 붙잡혀서 소리가 나지 않는다. 관계의 황금률은 있다. 서로간에 딱 알맞은 거리가 있다.

 

c10.JPG

 

   

관계는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견고해진다. 그 관계의 발전과정에서 무수한 위태로움을 겪는다. 그럴때마다 더욱 높은 레벨의 공유하는 토대를 불러내는 방법으로 관계는 진화한다마침내 자연과, 진리와, 역사와, 진보와, 신과 친구가 된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4994
6782 돈 룩 업 윤석열 김동렬 2024-04-13 1687
6781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933
6780 메타영역 김동렬 2024-04-12 1386
6779 노무현을 죽여라 김동렬 2024-04-12 1709
6778 윤석열은 물러나는게 맞다 김동렬 2024-04-12 1674
6777 국민은 반칙을 심판했다 김동렬 2024-04-11 1642
6776 동양은 신이 없다. 김동렬 2024-04-11 1428
6775 총선 총평.. 구조론이 옳다 김동렬 2024-04-11 1757
6774 국민명령 윤한퇴출 김동렬 2024-04-10 1965
6773 국민은 이겨먹으려는 자를 이겨먹는다 김동렬 2024-04-10 1327
6772 대한민국 큰 위기 그리고 기회 김동렬 2024-04-09 1641
6771 국힘이 88석을 해도 놀라지 않는다 3 김동렬 2024-04-09 2048
6770 바보들이 국민을 바보취급 하다 바보된 날 김동렬 2024-04-08 1899
6769 생각의 압박 김동렬 2024-04-08 1019
6768 국힘의 참패 이유 3 김동렬 2024-04-08 1963
6767 윤한정권 멸망공식 김동렬 2024-04-07 1684
6766 이번 총선의 의미 김동렬 2024-04-07 1566
6765 직관의 기술 김동렬 2024-04-06 1023
6764 인간의 비참 김동렬 2024-04-06 1186
6763 국힘당과 집단사고 김동렬 2024-04-05 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