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read 11413 vote 0 2012.10.21 (21:08:48)


c1.JPG  

   

어떤 둘이 하나의 토대를 공유할 때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되는’ 상호작용의 구조가 작동한다. 그것이 관계다.

 

 c2.JPG

 

   관계는 서로 떨어져 있다가 어떤 상황이 발생하면 갑자기 소집된다. 사랑이라는 보이지 않는 토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c3.JPG

 

  네가 아프면 나도 아프다. 네가 기쁘면 나도 기쁘다. 네가 성공하면 나도 성공이다.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된다. 보이지 않는 끈에 의해 서로는 묶여있었던 거다. 모든 예술은 그 숨은관계찾기 게임이다.

 

c4.JPG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닮아간다.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치유된다.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위대해진다.

 

c5.JPG

 

    모르고 있지만 우리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있다. 소립자들이 이온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을 하듯이. 우리는 거대한 관계의 장 안에서 호흡하고 있다. 그 관계의 토대는 보호되어야 한다. 보이지 않기에 위태롭다.

 

c6.JPG

 

   관계는 예기치 못하는 순간에 문득 끼어들어 스위치를 켠다. 그리고 그대의 존엄을 묻는다. 그러므로 위태롭다. 그 관계의 급소를 보호하는 데서 인류는 진보한다. 그 보호의 수준을 높여가는 것이 스타일이다.

 

c7.JPG

 

   서로 붙어있지 않고 서로 침범하지 않고 서로를 통제하지 않고 서로에게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서로를 도울 수 있고 얼마든지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은 관계다그 관계의 문법이 있다. 그 관계의 문법을 지킬 때 스타일은 완성된다.

 

c8.JPG

 

   서로에게 기대고 서로에게 의지하는 것이 관계다. 상대의 영역에 침범하지 않고 서로 다치지 않고 남의 것을 빼앗지 않고 그것을 해내는 것이 예술이다. 이게 이렇게 하면 저게 저렇게 하는 상호작용의 원리를 통하여 그것은 달성된다.

 

c9.JPG

 

   관계는 너무 멀어져도 안 되고 너무 가까워져도 안 된다. 멀어지면 관계는 끊어지고 너무 밀접하면 서로에게 붙잡혀서 소리가 나지 않는다. 관계의 황금률은 있다. 서로간에 딱 알맞은 거리가 있다.

 

c10.JPG

 

   

관계는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견고해진다. 그 관계의 발전과정에서 무수한 위태로움을 겪는다. 그럴때마다 더욱 높은 레벨의 공유하는 토대를 불러내는 방법으로 관계는 진화한다마침내 자연과, 진리와, 역사와, 진보와, 신과 친구가 된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81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536
2550 문제 - 어느 가구가 나은가? image 49 김동렬 2013-01-04 24119
2549 조응 -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8 김동렬 2013-01-03 12807
2548 풀이 – 건희들이 개새끼인 증거 image 17 김동렬 2012-12-31 14171
2547 구조론 문제 - 이 그림이 비싼 이유는? image 80 김동렬 2012-12-31 21641
2546 마음은 어디서 나왔는가? image 19 김동렬 2012-12-28 11947
2545 문제 – 마음은 어디서 나왔나? 50 김동렬 2012-12-27 10618
2544 문제 - 종소리는 어디서 나왔나? 44 김동렬 2012-12-26 10821
2543 병맛은 리얼리즘이다 image 7 김동렬 2012-12-24 16237
2542 과연 지구는 멸망할 것인가? 10 김동렬 2012-12-23 14496
2541 동영상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2-12-22 12062
2540 그림으로 이해하기 image 2 김동렬 2012-12-18 11799
2539 기똥찬님의 아홉가지 질문 image 1 김동렬 2012-12-17 10685
2538 점수가 필요한 이유 image 9 김동렬 2012-12-15 10558
2537 돈오돈수가 옳다 image 12 김동렬 2012-12-14 10552
2536 깨달음 27문 27답 image 5 김동렬 2012-12-13 11333
2535 존엄과 경쟁 image 15 김동렬 2012-12-09 11456
2534 깨달음의 여러 스타일은 없다 image 13 김동렬 2012-12-08 11460
2533 손가락과 달 image 7 김동렬 2012-12-08 11544
2532 당신도 작가가 될 수 있다 image 11 김동렬 2012-12-05 12468
2531 금주의 과제 - 부코스키 보고 image 3 김동렬 2012-12-02 1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