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read 11421 vote 0 2012.10.21 (21:08:48)


c1.JPG  

   

어떤 둘이 하나의 토대를 공유할 때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되는’ 상호작용의 구조가 작동한다. 그것이 관계다.

 

 c2.JPG

 

   관계는 서로 떨어져 있다가 어떤 상황이 발생하면 갑자기 소집된다. 사랑이라는 보이지 않는 토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c3.JPG

 

  네가 아프면 나도 아프다. 네가 기쁘면 나도 기쁘다. 네가 성공하면 나도 성공이다.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된다. 보이지 않는 끈에 의해 서로는 묶여있었던 거다. 모든 예술은 그 숨은관계찾기 게임이다.

 

c4.JPG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닮아간다.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치유된다.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위대해진다.

 

c5.JPG

 

    모르고 있지만 우리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있다. 소립자들이 이온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을 하듯이. 우리는 거대한 관계의 장 안에서 호흡하고 있다. 그 관계의 토대는 보호되어야 한다. 보이지 않기에 위태롭다.

 

c6.JPG

 

   관계는 예기치 못하는 순간에 문득 끼어들어 스위치를 켠다. 그리고 그대의 존엄을 묻는다. 그러므로 위태롭다. 그 관계의 급소를 보호하는 데서 인류는 진보한다. 그 보호의 수준을 높여가는 것이 스타일이다.

 

c7.JPG

 

   서로 붙어있지 않고 서로 침범하지 않고 서로를 통제하지 않고 서로에게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서로를 도울 수 있고 얼마든지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은 관계다그 관계의 문법이 있다. 그 관계의 문법을 지킬 때 스타일은 완성된다.

 

c8.JPG

 

   서로에게 기대고 서로에게 의지하는 것이 관계다. 상대의 영역에 침범하지 않고 서로 다치지 않고 남의 것을 빼앗지 않고 그것을 해내는 것이 예술이다. 이게 이렇게 하면 저게 저렇게 하는 상호작용의 원리를 통하여 그것은 달성된다.

 

c9.JPG

 

   관계는 너무 멀어져도 안 되고 너무 가까워져도 안 된다. 멀어지면 관계는 끊어지고 너무 밀접하면 서로에게 붙잡혀서 소리가 나지 않는다. 관계의 황금률은 있다. 서로간에 딱 알맞은 거리가 있다.

 

c10.JPG

 

   

관계는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견고해진다. 그 관계의 발전과정에서 무수한 위태로움을 겪는다. 그럴때마다 더욱 높은 레벨의 공유하는 토대를 불러내는 방법으로 관계는 진화한다마침내 자연과, 진리와, 역사와, 진보와, 신과 친구가 된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13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997
2832 사랑 63, 개는 깨달을 수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2-29 5236
2831 사랑 76, 스티브 잡스의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3-17 5235
2830 노자와 중국인 image 4 김동렬 2016-02-18 5235
2829 깨달음 5분 요약 image 김동렬 2016-03-25 5233
2828 명절증후군의 이유 image 김동렬 2015-11-10 5229
2827 사랑 94, 좌판 벌이지 말라. image 1 김동렬 2016-04-11 5225
2826 사랑 119, 사랑의 통제권 1 김동렬 2016-06-27 5222
2825 사랑 65, 한국인은 대접받아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2 5217
2824 공자와 제자 image 2 김동렬 2016-01-20 5214
2823 꼰대의 정석 윤석열 image 4 김동렬 2021-08-02 5213
2822 평론하는 비겁자는 되지 마라 김동렬 2016-07-09 5213
2821 이재명 까는 사람의 심리 김동렬 2021-08-20 5208
2820 503 김건희 맞교환 3 김동렬 2021-12-25 5206
2819 노자 2, 성인은 하지 않는다 image 김동렬 2016-02-05 5206
2818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9-19 5204
2817 사랑 100, 팀은 복제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4-25 5202
2816 사랑 77, 인류의 프로젝트 image 2 김동렬 2016-03-18 5200
2815 창조냐 구조냐? image 1 김동렬 2015-04-12 5200
2814 사랑 86, 역사자랑은 수치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5199
2813 호기심테스트 김동렬 2003-06-21 5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