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read 11432 vote 0 2012.10.21 (21:08:48)


c1.JPG  

   

어떤 둘이 하나의 토대를 공유할 때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되는’ 상호작용의 구조가 작동한다. 그것이 관계다.

 

 c2.JPG

 

   관계는 서로 떨어져 있다가 어떤 상황이 발생하면 갑자기 소집된다. 사랑이라는 보이지 않는 토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c3.JPG

 

  네가 아프면 나도 아프다. 네가 기쁘면 나도 기쁘다. 네가 성공하면 나도 성공이다.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된다. 보이지 않는 끈에 의해 서로는 묶여있었던 거다. 모든 예술은 그 숨은관계찾기 게임이다.

 

c4.JPG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닮아간다.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치유된다. 관계에 의해 서로는 조금씩 위대해진다.

 

c5.JPG

 

    모르고 있지만 우리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고 있다. 소립자들이 이온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을 하듯이. 우리는 거대한 관계의 장 안에서 호흡하고 있다. 그 관계의 토대는 보호되어야 한다. 보이지 않기에 위태롭다.

 

c6.JPG

 

   관계는 예기치 못하는 순간에 문득 끼어들어 스위치를 켠다. 그리고 그대의 존엄을 묻는다. 그러므로 위태롭다. 그 관계의 급소를 보호하는 데서 인류는 진보한다. 그 보호의 수준을 높여가는 것이 스타일이다.

 

c7.JPG

 

   서로 붙어있지 않고 서로 침범하지 않고 서로를 통제하지 않고 서로에게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서로를 도울 수 있고 얼마든지 아름다울 수 있는 것은 관계다그 관계의 문법이 있다. 그 관계의 문법을 지킬 때 스타일은 완성된다.

 

c8.JPG

 

   서로에게 기대고 서로에게 의지하는 것이 관계다. 상대의 영역에 침범하지 않고 서로 다치지 않고 남의 것을 빼앗지 않고 그것을 해내는 것이 예술이다. 이게 이렇게 하면 저게 저렇게 하는 상호작용의 원리를 통하여 그것은 달성된다.

 

c9.JPG

 

   관계는 너무 멀어져도 안 되고 너무 가까워져도 안 된다. 멀어지면 관계는 끊어지고 너무 밀접하면 서로에게 붙잡혀서 소리가 나지 않는다. 관계의 황금률은 있다. 서로간에 딱 알맞은 거리가 있다.

 

c10.JPG

 

   

관계는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견고해진다. 그 관계의 발전과정에서 무수한 위태로움을 겪는다. 그럴때마다 더욱 높은 레벨의 공유하는 토대를 불러내는 방법으로 관계는 진화한다마침내 자연과, 진리와, 역사와, 진보와, 신과 친구가 된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09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071
2835 일본문화개방, 스크린쿼터 폐지, FTA image 3 김동렬 2018-04-03 11732
2834 지구는 돌지 않는다 image 2 김동렬 2018-04-04 11809
2833 화폐가 먼저다 image 2 김동렬 2018-04-05 11920
2832 신은 이렇게 말했다 image 2 김동렬 2018-04-07 11825
2831 천하인의 기개를 배우라 image 2 김동렬 2018-04-08 11908
2830 신은 권력이다 image 3 김동렬 2018-04-09 11713
2829 신의 입장 image 1 김동렬 2018-04-10 11476
2828 신과 인간 사이에 친함이 있다 image 3 김동렬 2018-04-11 12065
2827 신은 꽤 똑똑하다 image 2 김동렬 2018-04-12 12026
2826 선택하지 말고 대응하라 image 6 김동렬 2018-04-13 12166
2825 구조론적 사유의 예 image 김동렬 2018-04-15 10979
2824 홍준표는 선택하고 문재인은 대응한다 image 김동렬 2018-04-15 11339
2823 역사의 원동력은 무엇인가? image 5 김동렬 2018-04-15 11968
2822 신의 방법 image 김동렬 2018-04-16 11488
2821 나를 이해하라 image 9 김동렬 2018-04-17 12261
2820 나의 입장 image 김동렬 2018-04-18 11768
2819 장자와 플라톤 image 1 김동렬 2018-04-19 11537
2818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김동렬 2018-04-20 11644
2817 이데아의 의미 image 4 김동렬 2018-04-20 11901
2816 노자와 디오게네스 image 김동렬 2018-04-22 11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