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read 8720 vote 0 2012.10.21 (20:56:46)

  인류의 족보는 아담과 이브로부터 시작된다. 현대성의 족보는 그리스의 이상주의로부터 시작된다. 정확하게는 밀로의 비너스상이다. 처음으로 미학적 완전성은 제창되었다. 인류문명의 등불이 켜졌다.

 

 a1.JPG

    순수성 - 태양이 솟았다. 그러나 홀로 우뚝할 뿐 아직은 부족하다. 변화에 대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a2.JPG

 

    방향성 – 팀플레이를 통해 약한 고리를 보호함으로써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모자란다. 팀원의 숫자가 늘수록 어수선해지기 때문이다.

 

 a3.JPG

    대칭성 – 원근법이 적용됨으로써 대칭구조를 통한 조직적인 팀플레이가 가능해졌다. 비로소 완전하다. 그러나 여전히 아쉬운 점은 있다. 세력의 확장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대칭구조의 격징성에 갇힌 답답함이 있다.

 

 a4.JPG

 

    소실점 – 밖으로 열린 창을 통하여 점점 커져나가는 조직의 발전방향이 제시됨으로써 어떠한 것도 담아낼 수 있게 되었다. 이 정도면 완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딘가 불안요소가 느껴진다. 그림이 너무 커서 작은 캔버스 안에 전부 담아낼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제자리에서 확장될 뿐 복제되고 전파되지 않는다. 널리 낳아내지 못한다.

 

a5.JPG

 

     스타일 - 비로소 완전성의 자궁이 찾아졌다. 고정된 물체의 소실점이 아니라 변화하는 관계의 추상적 소실점이 찾아진 것이다. 어떠한 상황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이 스타일이다. 아담의 손끝과 하느님의 손끝이 만나는 지점이 찾아야 할 조직의 약한 고리다. 이것 하나면 충분하다. 이제 캔버스의 크기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작은 바늘귀 하나로도 우주를 통째로 담아낼 수 있다.

 

    ◎ 순수성 - 개체의 완전
    ◎ 방향성 - 팀의 완전
    ◎ 대칭성 - 공간의 확장성
    ◎ 소실점 – 시간의 확장성
    ◎ 스타일 - 에너지 순환의 완전성

 

    혼자 완전한 것은 완전하지 않다. 변화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변화가 일어날 때 완전성은 오히려 약점이 된다. 조직의 약한 고리가 된다. 팀을 이루어 약한 고리를 보호해야 한다. 그런데 팀을 이루면 어수선해진다. 대칭구조를 통하여 팀에 질서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역시 부족하다. 소실점으로부터 전개하여 조직이 한 방향으로 점차 커나가는 구조가 제시되어야 한다. 그래도 충분하지 않다. 시공간의 제약 때문이다. 소실점은 위치가 고정되므로 고립될 수 있다. 특정한 시간과 공간의 지점에 고착되기 때문이다. 진정한 것은 관계의 소실점이다. 그것은 낳음의 자궁이다.

 

    깨달음은 관계를 깨닫는 것이며 추상적인 관계 안에서 소실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내 안에 그것을 장착하는 것이 스타일이다. 하나의 스타일에는 순수성-방향성-대칭성-소실점-스타일 이 다섯가지 요소가 모두 갖추어져야 한다.

 

    ###

 

    구조론은 일단 5라야 조가 맞으므로 보티첼리를 두번째에 추가했소. 그러고 보니 이야기가 자연스러워졌소. 부디 관계의 소실점을 찾아내는데 성공하기 바라오. 쉽소. 아슬아슬하게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바로 거기요.

 

103.JPG

104.JPG

 

105.JPG

 

106.JPG

 

107.JPG

 

108.JPG

 

109.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5951
6783 한동훈이 뭔 잘못? 김동렬 2024-04-14 1556
6782 돈 룩 업 윤석열 김동렬 2024-04-13 1690
6781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938
6780 메타영역 김동렬 2024-04-12 1386
6779 노무현을 죽여라 김동렬 2024-04-12 1714
6778 윤석열은 물러나는게 맞다 김동렬 2024-04-12 1676
6777 국민은 반칙을 심판했다 김동렬 2024-04-11 1645
6776 동양은 신이 없다. 김동렬 2024-04-11 1431
6775 총선 총평.. 구조론이 옳다 김동렬 2024-04-11 1758
6774 국민명령 윤한퇴출 김동렬 2024-04-10 1969
6773 국민은 이겨먹으려는 자를 이겨먹는다 김동렬 2024-04-10 1329
6772 대한민국 큰 위기 그리고 기회 김동렬 2024-04-09 1643
6771 국힘이 88석을 해도 놀라지 않는다 3 김동렬 2024-04-09 2051
6770 바보들이 국민을 바보취급 하다 바보된 날 김동렬 2024-04-08 1901
6769 생각의 압박 김동렬 2024-04-08 1027
6768 국힘의 참패 이유 3 김동렬 2024-04-08 1965
6767 윤한정권 멸망공식 김동렬 2024-04-07 1685
6766 이번 총선의 의미 김동렬 2024-04-07 1569
6765 직관의 기술 김동렬 2024-04-06 1026
6764 인간의 비참 김동렬 2024-04-06 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