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read 9057 vote 0 2012.10.21 (18:41:38)


◎ 
세상은 인과다.

◎ 인과는 시간의 법칙이다.

◎ 공간의 인과로 보면 상부구조다.

◎ 상부구조는 관계의 형태로 존재한다.

◎ 관계를 바꿈으로써 모든 문제는 해결된다.

◎ 관계는 상부구조이며 하부구조에서 보이지 않는다.

◎ 자기만의 스타일을 창의할 때 숨겨진 관계가 드러난다.

◎ 전체를 한 줄에 꿰는 소실점의 포착으로 스타일은 창의된다.

◎ 하나가 바뀌면 전체가 다 바뀌게 되는 원리의 반영이 스타일이다.

◎ 계에 강한 긴장이 걸려서 곧바로 반응하는 급소가 그 소실점이다.

 

 

◎ 인과는 사슬이다.

◎ 사슬은 약한 고리에서 끊어진다.

◎ 조직의 약한 고리는 적의 집중적인 타격대상이 된다.

◎ 조직의 구성원들이 약한 고리를 보호할 때 조직은 견고해진다.

◎ 깨달음은 상부구조-관계-스타일-소실점-약한 고리를 보는 능력이다.

◎ 장편소설을 단편소설로 바꿀 때 약한 고리는 드러난다.

◎ 장편극화를 한컷 만평으로 바꿀 때 그 급소가 드러난다.

◎ 하나가 바뀌면 전체가 바뀌어야 하는 원리가 조직의 약한 고리다.

◎ 하나를 바꿈으로써 전체가 다 바뀌는 스타일의 창의가 인상주의다.

◎ 관측의 상대성에 따른 관점의 이동을 훈련하여 급소를 볼 수 있다.

◎ 가리키는 손이나 가리켜지는 달이 아니라 둘의 관계를 보아야 한다.

◎ 지성에서 이성을 거쳐 영성으로 올라설 때 관계가 보인다.

◎ 두 번 뒤집어보는 훈련으로 소실점을 볼 수 있다.

◎ 신과 인간의 관계를 바꾸는 것이 깨달음이다.

 

    서태지와 아이들 중에서 서태지가 가장 춤을 못 춘다그래서 서태지와 아이들의 팀플레이가 유지된다김기덕 감독의 얼굴이 못생겼기 때문에 그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구겨진 한복에 구겨진 신발로 스타일을 맞춘다

 

    ###

 

   도교가 무엇인가? 동양인이 쓴 책은 그 책이 중국의 책이든, 일본의 책이든, 한국의 책이든 도교의 핵심을 전혀 짚어내지 못하고 있었다. 전부 뜬구름 잡는 소리만 써놨더라. 이건 필자의 경험이다. 그런데 어떤 서양인이 쓴 책을 보니 도교의 핵심을 정확히 짚어냈더라. 그것은 '부정적 사고의 힘'이다.

 

    김기덕 영화를 서구인이 먼저 알아보는 것도 같다. 그들은 훈련되어 있었던 것이다.

 

    구조론은 마이너스다. 곧 부정이다. 그러므로 부정적 사고의 힘이 무엇을 뜻하는지 필자는 단박에 알아챈다. 부정은 상부구조의 작동원리다. 조직은 마이너스에 의해 발전한다. 조직의 약점이야말로 그 조직이 발전하게 하는 근본이다. 반대로 조직의 강점은 그 조직이 깨지는 원인이 된다. 프랑스의 외인구단이 월드컵 우승은 커녕 곧바로 망하고 말듯이. 도교가 말하는 도라는 것, 곧 부정적 사고의 힘이라는 것은 바로 사슬의 약한 고리를 보완하려는 노력에 의해 조직이 발전함을 말하는 것이다.

 

    어떤 조직이든 하나가 바뀌면 전체가 다 바뀌어야 하는 지점이 있다. 바로 그 지점이 적군의 집중적인 타격대상이 된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를 쏴버리면 그 연주회는 무너진다. 소대장을 쏴버리면 그 부대는 패퇴한다. 반드시 약한 고리가 있다.

 

    척계광의 원앙진은 보통 12명이 한 조가 되는데 조장이 있다. 분대원은 맨 뒤에서 분대를 지휘하는 조장을 보호하게 되어 있으며, 조장이 죽으면 분대원 전원이 사형에 처해진다. 병사들은 필사적으로 조장을 보호하게 되며 그 원리에 의해 원앙진은 무적이 되었고 강남의 왜구를 모두 소탕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임진왜란의 평양성 전투에서도 크게 공을 세웠다.  

 

    조직의 약한 고리를 보호하는 것, 사회의 약자를 보호하는 것, 그 원리에 의해 사회는 진보하고 조직은 발전한다. 하나가 변하면 전체가 변해야 하는 지점이 있다. 그곳이 약한 고리다. 인생에도 우주에도 그것은 있다. 바로 그것을 깨닫는 것이 깨닫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65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333
6749 마이너스가 정답이다. 김동렬 2011-10-27 18952
6748 정몽준 최악의 시나리오 김동렬 2002-11-07 18952
6747 각주구검의 오류 image 3 김동렬 2010-06-10 18945
6746 김동길의 기구한 팔자 김동렬 2002-12-18 18936
6745 저항을 넘어서 자유를 바라보기 2005-08-05 18903
6744 김두관, 참여정부가 암흑기였다? 김동렬 2007-06-28 18851
6743 소통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2 18849
6742 신과 인간의 관계 김동렬 2009-02-18 18829
6741 진중권을 불신하게 된 이유 김동렬 2003-05-25 18780
6740 럭스와 카우치 2005-08-03 18778
6739 반갑습니다. 손님이 많아졌네요-.-;;(ㅁㅜ) 김동렬 2002-09-16 18761
6738 김대중 전 대통령 CBS창사 50주년 대담 김동렬 2004-10-22 18750
6737 엘 고어 감독의 불편한 진실 image 11 김동렬 2010-02-17 18735
6736 단일화충격 - 이것이 노무현식 정치다 image 김동렬 2002-11-11 18729
6735 에너지는 1을 따라간다. image 김동렬 2011-08-27 18728
6734 내가 진중권을 고소하는 이유 김동렬 2003-05-24 18726
6733 먹는거 가지고 장난치지 맙시다. image 김동렬 2003-12-02 18712
6732 미녀 응원단을 환영하며 image 김동렬 2003-08-20 18704
6731 몽준을 조질 것인가? 김동렬 2002-10-23 18696
6730 칼기 사건의 진실은? image 김동렬 2003-11-20 18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