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read 8986 vote 0 2012.10.21 (18:40:54)

 

    깨달음은 영성계발이다. 영성은 관계를 포착하고 반응하는 능력이다. 그것은 직관력이며 모든 영감과 아이디어의 원천이다. 그것은 천하의 슬픔을 함께 슬퍼하고 천하의 기쁨을 함께 기뻐하게 하는 예민한 반응성을 계발하는 것이다.

 

    그 방법은 서술을 묘사로, 장편극화를 한컷만화로, 시간 상에 늘어져 있는 인과관계를 공간의 상부구조-하부구조 관계로 집약하는 것이다. 그것은 일을 해서 조금씩 소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물꼬를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돌려놓는 것이다. 그것은 친구관계에서 연인관계로 단번에 올라서는 것이다.

 

    그것은 다람쥐 쳇바퀴처럼 돌아가는 일상에서 작은 행복의 파편들을 모아는 것이 아니라 신과의 첫 대면처럼 빛나는 존엄을 추구하는 것이다.

 

    Spirit은 더 큰 실재와 합일되는 경험 혹은 공동체나 자연, 우주, 신과 합일되는 경험에 기초한다. 그것은 자신이 어떤 관계 속의 존재임을 느끼는 것이다. 세상이라는 거대한 그물 안에서 자신이 하나의 그물코임을 아는 것이다.

 

    파르르 떠는 거미줄처럼 전체에 영향이 파급됨을 알아채는 것이다. 그것은 느낌이지만 감정이 아니다. 감정은 기쁨과 슬픔처럼 신체에 직접 반응한다. 영성은 뇌에 반응한다. 다만 그것이 언어로 표현되지 않기에 느낌이라고 할 뿐이다.

 

    이성은 주어진 둘 사이에서 분별하여 판단한다. 이때 하나를 얻으면 하나는 버려진다. 영성은 둘을 통섭한다. 하나를 버리면 나머지 하나도 함께 버려진다. 내가 친구를 잃으면 친구도 나를 잃는다.

 

    내가 전화를 끊으면 동시에 상대방의 전화도 끊긴다. 둘은 동시에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관계를 느끼는 것이 영성이다. 인간은 관계 속의 존재이다. 그 관계는 명명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름이 없다.

 

    그러므로 이성 혹은 지성의 방법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언어적인 설명보다 직접적인 경험이 중요하다. 선사의 선문답은 그것을 경험하게 하는 방편이다. spirt이나 soul은 그러한 경험에 의해 추측된 불완전한 이름들이다. 실존이니 실재니 하는 철학용어들도 그것이 어설프게 명명된 것이다.

 

    지성은 분석이다. 해체하여 아는 것이다. 이성은 종합이다. 통합하여 안다. 영성은 통하여 아는 것이다. 그것은 총을 낱낱이 뜯어보는 것도 아니요, 총을 조립하여 보는 것도 아니요 총을 쏘아보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총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들을 통합한다. 방아쇠부터 총구까지 정보가 관통하여 가는 것이다.

 

    그것은 관계다. 그것은 이면에서 작동하는 상부구조다. 그것은 보이지 않는 손을 보는 것이다. 지성이 발달한 사람은 사과를 쪼개볼 것이요 이성이 발달한 사람은 사과를 먹어볼 것이다.

 

    영성이 발달한 사람은 누가 내게 사과를 건네주었는지를 볼 것이다. 보이는대로 보면 지성이다. 한 번 뒤집어 생각하면 이성이다. 두 번 뒤집어 생각하면 영성이다. 거미줄에 잡힌 나방을 보지 말고, 그 나방을 잡은 거미를 보지 말며, 둘을 연결시킨 거미줄을 보라는 것이다.

 

    가리키는 손가락이 아니라 가리켜지는 달을 바라보면 한 번 뒤집어 생각하는 것이다. 가리키는 손가락과 가리켜지는 달과의 관계를 바라보면 두 번 뒤집어 생각하는 것이다. 그럴 때 가리키는 사람과 가리켜지는 대상과 그것을 지켜보는 사람으로 이루어진 전체가 한 줄에 꿰어진다.

 

    그 꿰어진 줄의 끝에 소실점이 있다. 소실점에 의해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된다’는 상호작용의 관계가 포착된다. 가리켜지는 달도 가리키는 손가락도 이름이 있다. 그 소실점은 이름이 없다. 그러므로 학습될 수 없다. 다만 깨달아야 한다.

 

    깨달음은 관계를 포착하는 것이다. 그 관계를 바꿈으로써 존엄을 얻고 삶을 바꿀 수 있다. 삶 전체를 관통하는 소실점을 포착함으로써 삶을 바꿀 수 있다. 그것이 스타일이다.

 

    스타일을 바꾸면 관계가 바뀌고 관계가 바뀌면 삶이 바뀐다.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소실점이 있다. 하나가 바뀌면 모두가 바뀌는 급소가 있다. 타이밍이 있다. 포지션이 있다.

 

   

 

   

 0.JPG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5053
6783 개구리소년 얼어죽은 것이 확실한 듯 김동렬 2002-09-28 20375
6782 베르누이 효과 image 4 김동렬 2010-07-28 20329
6781 인생의 성공 11 김동렬 2011-08-30 20196
6780 유시민/노무현 김동렬 2003-05-22 20143
6779 일의 원리 image 김동렬 2011-10-03 20114
6778 8등신은 미녀 6등신은 ? image 김동렬 2003-06-11 20107
6777 박근혜는 미국의 간첩인가? 김동렬 2005-10-20 20089
6776 차원의 정의 image 김동렬 2011-09-28 20015
6775 “인간쓰레기 박근혜” image 김동렬 2004-12-30 19979
6774 800만원으로 박항서 등쳐먹으려 드는 정몽준 김동렬 2002-09-10 19963
6773 이현세라는 인간에 대한 환멸 김동렬 2002-12-06 19839
6772 탑 포지션을 차지하라. image 2 김동렬 2011-08-10 19830
6771 왜 사는가? 7 김동렬 2009-07-31 19829
6770 해방 50년사를 돌아보며 김동렬 2003-05-15 19825
6769 오자병법과 손자병법 김동렬 2011-10-24 19821
6768 눈치보기 image 김동렬 2003-05-25 19792
6767 Re..위 사진에서 손의 높이는 몇미터쯤? image 김동렬 2002-09-15 19752
6766 된장녀와 한류녀 그리고 왜색녀 김동렬 2006-08-07 19734
6765 손호철, 임지현, 문부식, 진중권들과 변절의 공식 김동렬 2003-06-08 19680
6764 탤런트 이유진의 고백 김동렬 2003-05-30 19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