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김동렬*
read 9059 vote 0 2012.10.21 (18:40:54)

 

    깨달음은 영성계발이다. 영성은 관계를 포착하고 반응하는 능력이다. 그것은 직관력이며 모든 영감과 아이디어의 원천이다. 그것은 천하의 슬픔을 함께 슬퍼하고 천하의 기쁨을 함께 기뻐하게 하는 예민한 반응성을 계발하는 것이다.

 

    그 방법은 서술을 묘사로, 장편극화를 한컷만화로, 시간 상에 늘어져 있는 인과관계를 공간의 상부구조-하부구조 관계로 집약하는 것이다. 그것은 일을 해서 조금씩 소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물꼬를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돌려놓는 것이다. 그것은 친구관계에서 연인관계로 단번에 올라서는 것이다.

 

    그것은 다람쥐 쳇바퀴처럼 돌아가는 일상에서 작은 행복의 파편들을 모아는 것이 아니라 신과의 첫 대면처럼 빛나는 존엄을 추구하는 것이다.

 

    Spirit은 더 큰 실재와 합일되는 경험 혹은 공동체나 자연, 우주, 신과 합일되는 경험에 기초한다. 그것은 자신이 어떤 관계 속의 존재임을 느끼는 것이다. 세상이라는 거대한 그물 안에서 자신이 하나의 그물코임을 아는 것이다.

 

    파르르 떠는 거미줄처럼 전체에 영향이 파급됨을 알아채는 것이다. 그것은 느낌이지만 감정이 아니다. 감정은 기쁨과 슬픔처럼 신체에 직접 반응한다. 영성은 뇌에 반응한다. 다만 그것이 언어로 표현되지 않기에 느낌이라고 할 뿐이다.

 

    이성은 주어진 둘 사이에서 분별하여 판단한다. 이때 하나를 얻으면 하나는 버려진다. 영성은 둘을 통섭한다. 하나를 버리면 나머지 하나도 함께 버려진다. 내가 친구를 잃으면 친구도 나를 잃는다.

 

    내가 전화를 끊으면 동시에 상대방의 전화도 끊긴다. 둘은 동시에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관계를 느끼는 것이 영성이다. 인간은 관계 속의 존재이다. 그 관계는 명명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름이 없다.

 

    그러므로 이성 혹은 지성의 방법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언어적인 설명보다 직접적인 경험이 중요하다. 선사의 선문답은 그것을 경험하게 하는 방편이다. spirt이나 soul은 그러한 경험에 의해 추측된 불완전한 이름들이다. 실존이니 실재니 하는 철학용어들도 그것이 어설프게 명명된 것이다.

 

    지성은 분석이다. 해체하여 아는 것이다. 이성은 종합이다. 통합하여 안다. 영성은 통하여 아는 것이다. 그것은 총을 낱낱이 뜯어보는 것도 아니요, 총을 조립하여 보는 것도 아니요 총을 쏘아보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총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들을 통합한다. 방아쇠부터 총구까지 정보가 관통하여 가는 것이다.

 

    그것은 관계다. 그것은 이면에서 작동하는 상부구조다. 그것은 보이지 않는 손을 보는 것이다. 지성이 발달한 사람은 사과를 쪼개볼 것이요 이성이 발달한 사람은 사과를 먹어볼 것이다.

 

    영성이 발달한 사람은 누가 내게 사과를 건네주었는지를 볼 것이다. 보이는대로 보면 지성이다. 한 번 뒤집어 생각하면 이성이다. 두 번 뒤집어 생각하면 영성이다. 거미줄에 잡힌 나방을 보지 말고, 그 나방을 잡은 거미를 보지 말며, 둘을 연결시킨 거미줄을 보라는 것이다.

 

    가리키는 손가락이 아니라 가리켜지는 달을 바라보면 한 번 뒤집어 생각하는 것이다. 가리키는 손가락과 가리켜지는 달과의 관계를 바라보면 두 번 뒤집어 생각하는 것이다. 그럴 때 가리키는 사람과 가리켜지는 대상과 그것을 지켜보는 사람으로 이루어진 전체가 한 줄에 꿰어진다.

 

    그 꿰어진 줄의 끝에 소실점이 있다. 소실점에 의해 ‘이게 이렇게 되면 저게 저렇게 된다’는 상호작용의 관계가 포착된다. 가리켜지는 달도 가리키는 손가락도 이름이 있다. 그 소실점은 이름이 없다. 그러므로 학습될 수 없다. 다만 깨달아야 한다.

 

    깨달음은 관계를 포착하는 것이다. 그 관계를 바꿈으로써 존엄을 얻고 삶을 바꿀 수 있다. 삶 전체를 관통하는 소실점을 포착함으로써 삶을 바꿀 수 있다. 그것이 스타일이다.

 

    스타일을 바꾸면 관계가 바뀌고 관계가 바뀌면 삶이 바뀐다.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소실점이 있다. 하나가 바뀌면 모두가 바뀌는 급소가 있다. 타이밍이 있다. 포지션이 있다.

 

   

 

   

 0.JPG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12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885
6803 방시혁 민희진 전쟁 중간점검 김동렬 2024-05-31 1327
6802 처음의 처음 김동렬 2024-03-12 1333
6801 힘의 힘 김동렬 2024-02-19 1336
6800 존재 김동렬 2024-02-23 1339
6799 한깐족과 황깐족 김동렬 2024-04-22 1339
6798 바보가 너무나 많아 김동렬 2024-03-21 1349
6797 인간에게 고함 김동렬 2024-04-20 1349
6796 토리야마 아키라의 드래곤 볼 김동렬 2024-03-10 1357
6795 광개토대왕비의 진실 4 김동렬 2024-05-18 1364
6794 강형욱과 집단 정신병 김동렬 2024-05-23 1369
6793 신의 존재 김동렬 2024-02-26 1376
6792 삼체와 문혁 image 김동렬 2024-04-18 1377
6791 바보들과 논쟁하지마라 김동렬 2024-06-11 1382
6790 야당 찍는게 선거다 2 김동렬 2024-03-18 1387
6789 강형욱 소동과 프레임 정치의 비극 김동렬 2024-05-25 1387
6788 문명과 야만 김동렬 2024-02-29 1392
6787 동이족은 없다 김동렬 2024-03-05 1394
6786 엘리트와 비엘리트 김동렬 2024-05-22 1399
6785 삼체의 진실 1 김동렬 2024-05-28 1401
6784 문화혁명의 진실 김동렬 2024-04-30 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