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read 10303 vote 0 2008.03.14 (22:30:42)



꽃은 완전하다.

수정이 이루어지면 그 뿐

 

이미 소통은 이루어졌다.

존재의 1사이클은 완성되었다.

 

꽃의 임무는 달성되었다.

남는 자원은 무한정 소비한다.


꽃잎은 저리도 총총하다.

조금의 빈 공간도 두지 않는다.


단 한번 암술과 수술의 만남에

저 많은 꽃잎들의 갈채가 있는 거다.


단 한 번의 절정을 위하여

저리도 많은 축복과 환호성이 쏟아지는 거다.


봄에 돋은 싹이 여름에 자라

그 오랜 동안의 시련을 극복하고

  

가을에 기어이 꽃 피울 때는

작은 꽃가루의 만남 한 번으로 충분하지만


농부가 정월 대보름을 맞아 파종할 종자를 선별해두고

남는 곡식을 뻑적지근한 잔치로 처분해 버리듯이


꽃에게는 마음껏 퍼주는 미덕이 있다.

나비나 벌에게도 퍼주고


지나가는 길손에게도 향을 퍼준다.

어머니가 밥을 고봉으로 담아주듯이 최대한 베풀어준다.


자연의 모든 이치가

아슬아슬하게 들어맞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꽃은 철철 넘치게 피어난다.

꽃은 마음껏 자원을 낭비한다.


과연 저렇게 많이 필 이유가 있을까 싶도록

과연 저렇게 많은 꽃잎이 필요할까 싶도록


그 사랑을 퍼주고

그 향기를 퍼주고


그 아름다움이 흘러넘치고

미인이 만인에게 그 아름다움을 과시하듯


꽃은 모두에게 나눠준다.

그것이 사랑의 진짜 의미가 아닐까.


그것이 완전의 진짜 의미가 아닐까.

진리와 깨달음의 진짜 의미가 아닐까.

www.drkimz.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51 사랑을 말한다 4 김동렬 2008-12-22 11086
350 사랑과 깨달음 1 김동렬 2008-07-31 10663
349 어떻게 살 것인가? 1 김동렬 2008-06-03 14648
348 나는 10년 쯤 걸었다 김동렬 2008-04-14 12558
347 어디로 가시나이까 김동렬 2008-03-21 11138
346 질문 1 김동렬 2008-03-20 10180
» 꽃, 우주, 완전성 image 김동렬 2008-03-14 10303
344 변신 image 김동렬 2008-03-11 11073
343 공백 image 1 김동렬 2008-03-06 8741
342 짐짓 지나가는 말로 김동렬 2008-02-15 10157
341 사람과 사람 image 김동렬 2008-02-12 10902
340 깨달음은 미학이다 김동렬 2008-01-10 9814
339 김기덕의 활에 대해서 김동렬 2007-12-21 13016
338 김기덕의 신작 image 김동렬 2007-12-21 10585
337 깨달음은 뇌에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김동렬 2007-11-16 11057
336 사랑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0-11 27375
335 아래에 이어집니다. 김동렬 2007-10-01 9456
334 나는 누구인가? 1 김동렬 2007-10-01 12240
333 왜 완성을 꿈 꾸지 않나? 김동렬 2007-09-24 10073
332 열암곡 부처님이 일어서는 날 image 김동렬 2007-09-10 9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