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781 vote 0 2012.07.06 (14:42:40)

구조론은 진화론이다. 동시에 창조론이다. 모든 아이디어와 예술과 기계와 장치와 조직과 시스템을 창조하는데 구조론이 사용된다. 하느님이 세상을 창조해도 구조론을 쓸 수 밖에 없다.

한편으로 구조론은 진화론이다. 왜냐하면 모든 존재는 에너지에 의해서만 의미를 획득하고 독립적인 존재로 완성되며 그 에너지는 상부구조에 의존하고 그 방법으로 망라되기 때문이다.

무엇인가? 창조나 진화의 단위가 되는 구분기준 곧 종은 없다는 이야기다. 그것은 인간의 관념이다. 생명이 처음 출현한 후각자도생한게 아니고 지구생명 전체가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어 진화해온 것이다.

진화의 주체는 종이 아니라 생태계 전체다. 그러므로 창조해도 종이 아닌 생태계가 창조된 것이다. 만약 종이 창조되었다면 애프터 서비스가 따라야 한다. 창조론은 창조후 신종출현 방지론이 되어야 한다.

창조론은 이론적 완결성이 없다. 그러므로 론이 아니다. 진화론 역시 종의 진화가 아닌 생태계 진화가 기준으로 되어야 하며 이에 구조론의 상호작용론이 응답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직관이다. 세네카가 말한 에트루리아인의 사고방식이 창조론과 유사하다는 말씀. 그리고 보수꼴통의 사고방식 역시 창조론과 유사하다. 현재진행 개념이 없다.

전체가 아닌 파편화된 부분으로본다는 거. 생각할거 없다. 세상 모든 머저리들은 에트루리아인의 사고에. 빠져 있다. 패턴이 같다. 이천 년 전에 세네카는 이미 구조론적인 사고를 했던 것이다.

연역으로 말하면 메커니즘이 없으면 무조건 가짜다. 현재진행이 없으면 가짜다. 전체가 아니면 가짜다. 특정 시공간의 지점을 찍으면 가짜다. 예컨대 언제 어디서 깨달았다면 가짜다.

연역이 안 되면 가짜다. 하부구조 없고 다음 단계가 없으면 가짜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를 직관적으로 안다. 반응하기 때문이다. 물론 반응하도록 게임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것은 우리 몫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3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58
2452 모기는 남자를 문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38
2451 힉스입자의 발견에 대하여 image 김동렬* 2012-10-21 8422
2450 ‘성(性)스러운’ 법정? image 김동렬* 2012-10-21 7898
» 진화 구조 창조 1 김동렬 2012-07-06 10781
2448 구조론이 주문하는 삶의 태도 image 3 김동렬 2012-07-04 9998
2447 구조를 사랑하라 image 3 김동렬 2012-07-04 9942
2446 연역하는 방법 추가 image 1 김동렬 2012-07-02 9752
2445 연역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7-01 10178
2444 구조가 싫은 분들께 19 김동렬 2012-06-30 9603
2443 구조론과 수학 image 6 김동렬 2012-06-29 10468
2442 디테일에 대한 오해와 이해 image 3 김동렬 2012-06-26 12140
2441 결 도 리 법 질서 image 2 김동렬 2012-06-24 10026
2440 죽음의 두려움에 대하여 image 8 김동렬 2012-06-22 16655
2439 성장이냐 복지냐? image 11 김동렬 2012-06-19 11661
2438 믿음이란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2-06-19 13304
2437 미의 기원은 의사결정 원리 image 2 김동렬 2012-06-13 14009
2436 원형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2-06-11 9964
2435 창조론은 없다. image 6 김동렬 2012-06-08 10856
2434 연역적 사고 image 4 김동렬 2012-06-06 16005
2433 존엄이 깨달음이다. image 2 김동렬 2012-06-05 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