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726 vote 0 2012.07.06 (14:42:40)

구조론은 진화론이다. 동시에 창조론이다. 모든 아이디어와 예술과 기계와 장치와 조직과 시스템을 창조하는데 구조론이 사용된다. 하느님이 세상을 창조해도 구조론을 쓸 수 밖에 없다.

한편으로 구조론은 진화론이다. 왜냐하면 모든 존재는 에너지에 의해서만 의미를 획득하고 독립적인 존재로 완성되며 그 에너지는 상부구조에 의존하고 그 방법으로 망라되기 때문이다.

무엇인가? 창조나 진화의 단위가 되는 구분기준 곧 종은 없다는 이야기다. 그것은 인간의 관념이다. 생명이 처음 출현한 후각자도생한게 아니고 지구생명 전체가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어 진화해온 것이다.

진화의 주체는 종이 아니라 생태계 전체다. 그러므로 창조해도 종이 아닌 생태계가 창조된 것이다. 만약 종이 창조되었다면 애프터 서비스가 따라야 한다. 창조론은 창조후 신종출현 방지론이 되어야 한다.

창조론은 이론적 완결성이 없다. 그러므로 론이 아니다. 진화론 역시 종의 진화가 아닌 생태계 진화가 기준으로 되어야 하며 이에 구조론의 상호작용론이 응답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직관이다. 세네카가 말한 에트루리아인의 사고방식이 창조론과 유사하다는 말씀. 그리고 보수꼴통의 사고방식 역시 창조론과 유사하다. 현재진행 개념이 없다.

전체가 아닌 파편화된 부분으로본다는 거. 생각할거 없다. 세상 모든 머저리들은 에트루리아인의 사고에. 빠져 있다. 패턴이 같다. 이천 년 전에 세네카는 이미 구조론적인 사고를 했던 것이다.

연역으로 말하면 메커니즘이 없으면 무조건 가짜다. 현재진행이 없으면 가짜다. 전체가 아니면 가짜다. 특정 시공간의 지점을 찍으면 가짜다. 예컨대 언제 어디서 깨달았다면 가짜다.

연역이 안 되면 가짜다. 하부구조 없고 다음 단계가 없으면 가짜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를 직관적으로 안다. 반응하기 때문이다. 물론 반응하도록 게임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것은 우리 몫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3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5
6720 엔트로피가 어렵다고? 김동렬 2024-03-15 1149
6719 국혐 포기는 이르다 김동렬 2024-03-14 1941
6718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1118
6717 구조론 대강 김동렬 2024-03-13 1205
6716 교언영색 한동훈 image 김동렬 2024-03-13 1526
6715 처음의 처음 김동렬 2024-03-12 1324
6714 그림은 완성되었다. 1 김동렬 2024-03-12 1607
6713 정치란 이렇게 하는 것이란다 김동렬 2024-03-12 1543
6712 다음의 다음 김동렬 2024-03-11 1311
6711 총선이 한 달 앞이다 김동렬 2024-03-11 1616
6710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1127
6709 토리야마 아키라의 드래곤 볼 김동렬 2024-03-10 1338
6708 지구가 둥근 이유 image 김동렬 2024-03-10 1216
6707 자기 자신에게 투표하라. 김동렬 2024-03-10 1259
6706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1071
6705 마음의 전략 김동렬 2024-03-09 1266
6704 영화 파묘와 쇠말뚝 해프닝 image 김동렬 2024-03-08 2009
6703 주체적 사고 김동렬 2024-03-07 1233
6702 한동훈 패션안경의 비밀 김동렬 2024-03-07 1628
6701 직관적 사고 김동렬 2024-03-06 1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