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660 vote 0 2012.07.06 (14:42:40)

구조론은 진화론이다. 동시에 창조론이다. 모든 아이디어와 예술과 기계와 장치와 조직과 시스템을 창조하는데 구조론이 사용된다. 하느님이 세상을 창조해도 구조론을 쓸 수 밖에 없다.

한편으로 구조론은 진화론이다. 왜냐하면 모든 존재는 에너지에 의해서만 의미를 획득하고 독립적인 존재로 완성되며 그 에너지는 상부구조에 의존하고 그 방법으로 망라되기 때문이다.

무엇인가? 창조나 진화의 단위가 되는 구분기준 곧 종은 없다는 이야기다. 그것은 인간의 관념이다. 생명이 처음 출현한 후각자도생한게 아니고 지구생명 전체가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어 진화해온 것이다.

진화의 주체는 종이 아니라 생태계 전체다. 그러므로 창조해도 종이 아닌 생태계가 창조된 것이다. 만약 종이 창조되었다면 애프터 서비스가 따라야 한다. 창조론은 창조후 신종출현 방지론이 되어야 한다.

창조론은 이론적 완결성이 없다. 그러므로 론이 아니다. 진화론 역시 종의 진화가 아닌 생태계 진화가 기준으로 되어야 하며 이에 구조론의 상호작용론이 응답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직관이다. 세네카가 말한 에트루리아인의 사고방식이 창조론과 유사하다는 말씀. 그리고 보수꼴통의 사고방식 역시 창조론과 유사하다. 현재진행 개념이 없다.

전체가 아닌 파편화된 부분으로본다는 거. 생각할거 없다. 세상 모든 머저리들은 에트루리아인의 사고에. 빠져 있다. 패턴이 같다. 이천 년 전에 세네카는 이미 구조론적인 사고를 했던 것이다.

연역으로 말하면 메커니즘이 없으면 무조건 가짜다. 현재진행이 없으면 가짜다. 전체가 아니면 가짜다. 특정 시공간의 지점을 찍으면 가짜다. 예컨대 언제 어디서 깨달았다면 가짜다.

연역이 안 되면 가짜다. 하부구조 없고 다음 단계가 없으면 가짜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를 직관적으로 안다. 반응하기 때문이다. 물론 반응하도록 게임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것은 우리 몫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652
2504 인간은 왜 자유의지를 추구하는가? 1 김동렬 2019-03-04 3256
2503 마음이 좋더라 2 김동렬 2019-03-05 3686
2502 마음의 마음 2 김동렬 2019-03-07 3304
2501 사랑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1 김동렬 2019-03-08 3929
2500 우주의 처음을 사색하자 3 김동렬 2019-03-09 3496
2499 나쁜 남자와 나쁜 여자 3 김동렬 2019-03-10 3977
2498 진정한 만족감은 어디서 오는가? 1 김동렬 2019-03-11 3707
2497 인간의 행동에는 이유가 없다 5 김동렬 2019-03-11 3587
2496 정준영은 왜 그랬을까? 2 김동렬 2019-03-12 4588
2495 인간에게 자아가 있는가? 1 김동렬 2019-03-13 4041
2494 프로이드의 욕망 1 김동렬 2019-03-14 3955
2493 사랑은 방해자를 밀어내는 것이다. 1 김동렬 2019-03-15 3450
2492 핑크 플라맹고의 비극 image 2 김동렬 2019-03-15 3454
2491 예수 마르크스 샤르트르 까뮈 3 김동렬 2019-03-17 3620
2490 무심은 유심이다 1 김동렬 2019-03-18 4205
2489 사랑은 척력이다 1 김동렬 2019-03-19 3620
2488 마음의 변화 2 김동렬 2019-03-20 4766
2487 이 순간을 이겨라 2 김동렬 2019-03-22 4254
2486 고통은 없다 2 김동렬 2019-03-24 3804
2485 개겨야 산다 5 김동렬 2019-03-25 3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