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742 vote 0 2012.07.06 (14:42:40)

구조론은 진화론이다. 동시에 창조론이다. 모든 아이디어와 예술과 기계와 장치와 조직과 시스템을 창조하는데 구조론이 사용된다. 하느님이 세상을 창조해도 구조론을 쓸 수 밖에 없다.

한편으로 구조론은 진화론이다. 왜냐하면 모든 존재는 에너지에 의해서만 의미를 획득하고 독립적인 존재로 완성되며 그 에너지는 상부구조에 의존하고 그 방법으로 망라되기 때문이다.

무엇인가? 창조나 진화의 단위가 되는 구분기준 곧 종은 없다는 이야기다. 그것은 인간의 관념이다. 생명이 처음 출현한 후각자도생한게 아니고 지구생명 전체가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어 진화해온 것이다.

진화의 주체는 종이 아니라 생태계 전체다. 그러므로 창조해도 종이 아닌 생태계가 창조된 것이다. 만약 종이 창조되었다면 애프터 서비스가 따라야 한다. 창조론은 창조후 신종출현 방지론이 되어야 한다.

창조론은 이론적 완결성이 없다. 그러므로 론이 아니다. 진화론 역시 종의 진화가 아닌 생태계 진화가 기준으로 되어야 하며 이에 구조론의 상호작용론이 응답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직관이다. 세네카가 말한 에트루리아인의 사고방식이 창조론과 유사하다는 말씀. 그리고 보수꼴통의 사고방식 역시 창조론과 유사하다. 현재진행 개념이 없다.

전체가 아닌 파편화된 부분으로본다는 거. 생각할거 없다. 세상 모든 머저리들은 에트루리아인의 사고에. 빠져 있다. 패턴이 같다. 이천 년 전에 세네카는 이미 구조론적인 사고를 했던 것이다.

연역으로 말하면 메커니즘이 없으면 무조건 가짜다. 현재진행이 없으면 가짜다. 전체가 아니면 가짜다. 특정 시공간의 지점을 찍으면 가짜다. 예컨대 언제 어디서 깨달았다면 가짜다.

연역이 안 되면 가짜다. 하부구조 없고 다음 단계가 없으면 가짜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를 직관적으로 안다. 반응하기 때문이다. 물론 반응하도록 게임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것은 우리 몫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30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173
3023 대승기신론소 image 3 김동렬 2013-07-10 10491
3022 구조주의 양자론 김동렬 2008-08-19 10496
3021 윤리, 이상, 미학, 도덕, 규범 김동렬 2007-12-29 10501
3020 양식과 디자인 image 김동렬 2013-08-14 10501
3019 진화론에 주목한 이유 image 5 김동렬 2012-03-21 10510
3018 돈오돈수가 옳다 image 12 김동렬 2012-12-14 10528
3017 무위자연의 작위 image 3 김동렬 2013-04-05 10529
3016 점수가 필요한 이유 image 9 김동렬 2012-12-15 10538
3015 특급인재가 없는 이유 image 5 김동렬 2013-10-01 10544
3014 구조의 탄생 김동렬 2007-02-16 10556
3013 이해찬이냐 유시민이냐 김동렬 2007-06-21 10557
3012 사유의 표준모형 image 7 김동렬 2013-05-19 10566
3011 애플의 불편한 진실 image 7 김동렬 2012-06-04 10567
3010 구조론 개괄 image 김동렬 2016-11-14 10573
3009 문제 – 마음은 어디서 나왔나? 50 김동렬 2012-12-27 10579
3008 노자, 장자, 니체 13 김동렬 2014-03-14 10592
3007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2 김동렬 2013-07-23 10593
3006 뉴라이트 좋아하시네!(업데버전) 김동렬 2005-11-08 10597
3005 인간 일상 의미 김동렬 2007-12-18 10605
3004 운명을 디자인하기 1 김동렬 2014-01-08 1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