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진정한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진정한 행복은 자연스러움에서 얻어진다.

그 자연스러움은 자기다움에서 얻어진다.
자기다움은 자의식의 발달에 기초한 자기정체성의 확립에서 얻어진다.

인간이 불행한 이유는

첫째 자의식이 발달하지 못한 때문이고
둘째 자기정체성의 확립에 실패하기 때문이다.

첫째 자의식이 발달하지 못한 사람은
정신적으로 타인 혹은 타자에게 의존하게 된다.

이 경우 자기다울수 없다.
그들은 끊임없이 남의 탓을 하게 된다.

자기 행복의 조건을
자기 아닌 제 3자가 규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둘째 자기정체성의 확립에 실패한다는 것은
자의식이 발달한 만큼 이를 현실에 반영하여 사회적인 성취를 이뤄내지 못하는

즉 자기실현에 성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인간은 두가지 경우에 불행하다.

첫째 자의식이 미성숙하여 타인에게 의존할 때.
둘째 자의식이 성숙한 만큼 사회적인 자기실현을 이루지 못할 때.

※※※

아기는 행복하다.
그러나 아기는 자신이 행복하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인간의 행복은 대개 의식되지 않는다.
만약 자신이 행복하다고 의식하여 말하는 자가 있다면

이는 사이비종교의 신도들이거나 아니면 북한주민들이다.
그들이 행복하다고 말하는 것은

행복하다고 말하도록 학습되었기 때문이다.
행복하다고 생각해서 행복한 것은 진정한 행복이 아니다.

행복지수로 논하면
방글라데시 국민들이 가장 행복하다고 한다.

허나 이는 진정한 행복이 아니다.
그들의 자의식이 충분히 성숙했다고 볼 수 없고

그들이 충분히 사회적인 성취로 하여 자기실현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행복은 자연스러움이다.
자연스러움은 자기다움이다.

먼저 자기다움을 찾을 일이다.
자기 정체성을 찾고 사회적인 성취를 통한 자기실현을 이뤄낼 일이다.

슬픔이나 번민은 불행이 아니다.
눈물도, 통곡도, 우울함도, 내 오래묵은 가슴알이도 불행이 아니다.

화가 날 때는 화를 내라.
눈물이 나면 울어버리라.

우울할 때는 마음껏 우울해하라!
가슴이 복받치면 소리를 질러라.

슬플 때 마음껏 슬퍼할 수 있는 것도
우울할 때 마음껏 우울해 할 수 있는 것도

어쩌면 행복일 수 있다.
그 자연스러움이 행복이다.

만약 자연스럽지 못하다면
도 자기답지 못하다면 결코 평정하지 않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51 사랑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0-11 27434
350 머리모양과 지능지수와의 관계 image 2002-10-10 23478
349 어째서 여자에게는 고추가 없을까? 2002-09-10 17608
348 어떻게 살 것인가? 1 김동렬 2008-06-03 14704
347 김기덕의 활에 대해서 김동렬 2007-12-21 13067
346 지성이란 무엇인가? 2003-03-18 12861
345 나는 10년 쯤 걸었다 김동렬 2008-04-14 12618
344 나는 누구인가? 1 김동렬 2007-10-01 12295
343 어디로 가시나이까 김동렬 2008-03-21 11193
342 사랑을 말한다 4 김동렬 2008-12-22 11147
341 변신 image 김동렬 2008-03-11 11131
340 깨달음은 뇌에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김동렬 2007-11-16 11103
339 사람과 사람 image 김동렬 2008-02-12 10949
338 원만이아저씨의 행방불명 2003-05-28 10806
337 사랑과 깨달음 1 김동렬 2008-07-31 10710
336 김기덕의 신작 image 김동렬 2007-12-21 10638
335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 김동렬 2005-10-04 10625
334 열역학 제1, 제2법칙에 대한 이해 2002-09-10 10561
333 로타리엔진과 실린더 엔진의 차이 2003-08-19 10528
332 인간이 자살하는 이유 2004-04-30 10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