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read 5093 vote 0 2004.08.24 (22:13:08)

세계는 '시야'로 만들어져 있다. 나의 '관측범위'가 곧 나의 '세계'이다. 시야의 크기가 곧 세계의 크기다.

세계는 피사체와 렌즈 그리고 그 사이를 넘나드는 빛과 필름, 그 사이에서 차단하는 셔터들로 이루어져 있다.

당신의 세계에서 피사체는? 당신의 렌즈는? 당신의 셔터는? 당신의 필름은? 그리고 당신의 빛은 무엇인가?

당신의 빛은 빠르거나 느릴 것이다. 당신의 필름 감도는 예민하거다 둔감할 것이다. 당신의 셔터는 닫혀 있거나 혹은 열려 있을 것이다.

당신의 렌즈는 곡률을 가진다. 더 많이 휘어져 있거나 혹은 바를 것이다. 당신의 피사체는 대역을 가진다. 그 주파수의 대역은 넓거나 혹은 좁을 것이다.

어쨌든 당신은 당신의 세계 안에서 당신의 그 무언가를 포착하는데 성공하거나 혹은 포착하는데 실패할 것이다.

나의 취향을 말하면 나는 새벽이 다르고 아침이 다른, 혹은 어제가 다르고 오늘이 다른 날씨의 미묘한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을 좋아한다.

그것이 이 좁디 좁은 세계를 조금 더 넓게 사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고 믿는다. 더 민감하게 나의 세계에 틈입하는 피사체들을 포착하는데 성공하곤 한다.

먼저 우주가 있다. 그리고 세계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세계는 ‘주관의 세계’이다.

내가 눈을 뜨면 세계가 나타나고 내가 눈을 감으면 세계가 소멸한다. 이는 인식론의 영역 에 해당한다.

물론 '세계'를 객관적인 의미로 쓰는 사람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주관적인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 객관적으로 표현하려면 '우주'라고 하는게 더 자연스러울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71 생명이란 무엇인가? 2004-06-23 4988
170 사랑은 2003-01-29 4994
169 내가 바래는 것은 김동렬 2007-06-26 4996
168 최소의 정부가 최선의 정부이다 2002-09-10 5000
167 미학을 깨달음 김동렬 2006-10-27 5000
166 세상은 구조다 2004-04-27 5007
165 깨달음은 사랑이다. 김동렬 2006-10-11 5018
164 미는 주관일까 객관일까? 2003-04-20 5039
163 들어라 속물들아! 2004-08-03 5050
162 깨달음은 소통이다 김동렬 2006-10-01 5060
161 시드니 셀던의 대박공식 image 2004-06-18 5061
160 새로운 약속을 위하여 김동렬 2005-09-30 5072
159 깨달음은 소통이다 김동렬 2006-10-05 5072
158 인생의 세 친구 2004-03-27 5079
157 우연과 필연 2004-06-07 5079
156 가시 2003-02-23 5083
155 조직은 효율성을 추구한다 2002-09-10 5084
» 나의 세계는 어디까지인가? 2004-08-24 5093
153 매트릭스의 실패에 관하여 2004-04-22 5097
152 신의 의미와 구원의 의미 2002-09-11 5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