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06252637.jpg?type=m1

이기는 패러다임

조지 소로스 | 이건 옮김

북돋움(오토북스) 2010.04.01

 

이하의 글은 제가 앞으로 쓸 글에 참고자료로 사용되는 독서메모입니다. 2011년 10월경에 작성되었습니다.



1. 분석과 정리

 

1) 인간은 인간 고유의 사고체계 때문에 실제와는 다르게 현상이나 사물을 인식한다. 이런 실제와 동떨어진 생각을 하는 사고체계의 성질을 불확정성이라고 하자. 나는 이 사고체계의 메커니즘을 '존재규정적 사고'라고 부르면서 설명한 바 있다.

*존재규정적 사고에 대해서는 독서메모 “거짓말의 진화” 엘리엇 애런슨, 캐럴 태브리스 공저의 댓글에 내가 남긴 분석을 살펴보기 바랍니다.

 

2) 이 불확정성을 바탕으로 한 현실인식은 반복되는 사이클을 가지면서 점차 강화되고 발전된다. 이것을 '자기강화'라고 부르는데 이는 고정관념이 정착되는 과정, 인지부조화가 가속되는 과정과 패턴이 같다.

 

3) 그러나 인간의 현실인식이 실제 본질에서 멀어져 어느 수준을 벗어나면 '역 자기강화' 사이클이 시작되어 본질로 회귀한다. 이 과정을 '재귀성 이론'이라고 부른다. 이 이론을 투자시장으로 예를 들어보자.

 

어떤 실물투자자산에 대해 사람들이 불확정성을 바탕으로 한 자기강화를 시작한다.

'이거 대박이다. 앞으로 유망하다. 누구는 벌써 얼마 벌었다더라'

이런 사고의 사이클이 오랫동안 반복되면 사람들 사이에서 이런 생각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진다.

ex) '삼성전자 주식은 100만원 이상 갈 꺼다', '아파트 가격은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자기강화가 사물의 본질에서 어느 수준 이상을 벗어나면 '역 자기강화'가 일어난다.

ex) 주가폭락, 부동산 거래시장 정체

현명한 투자자는 이렇게 군중의 인식이 본질로 회귀하는 때를 노려 투자를 시작한 다음 '역 자기강화'를 이용하거나 새로운 '자기강화' 사이클이 진행되기를 기다려 이익을 낸다.

 


이것은 구조론에 의하면 스스로 판을 짜서 상위포지션에서 이득을 보는 것과 본질에서 같다. 

앞으로 이 매커니즘을 설명할 일이 많을 것이다. 


*참고로 조지 소로스는 자기가 말해 놓고도 자기 스스로 자기이론을 확신하지 못하는 좀 안타까운 사람이다. 

우리가 도와줘야겠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452 영화 '버드맨' image 4 챠우 2015-02-07 3491
1451 홍준표가 장인을 26년간 개무시하는 패륜 행위를 할 수 있었던 이유. 16 노매드 2017-05-08 3492
» 독서메모 "이기는 패러다임" 조지 소로스 지음 image 이기준 2012-06-19 3492
1449 책 잘 받았습니다... 1 길리안 2009-02-13 3494
1448 모든 것이 제 책임입니다. 무위 2009-05-23 3495
1447 말안장과 도마뱀이 합쳐 진다면? image 1 노매드 2011-07-16 3496
1446 구조론연구소 공사감독 인터뷰 12 냥모 2013-04-03 3497
1445 오늘 촛불 집회... 바라 2013-08-04 3500
1444 P2P 환전/송금 서비스 TransferWise 7 오리 2015-01-27 3500
1443 아기장수....... 1 폴라리스 2009-05-24 3501
1442 안철수 주가 대폭락 image 9 김동렬 2012-04-09 3501
1441 심기불편. 7 아제 2014-04-01 3501
1440 먹방보다 재미있는 컴퓨터 폐기영상 image 락에이지 2017-02-08 3501
1439 굿 대박 2 곱슬이 2012-12-16 3502
1438 '파워 블로그 만들기' 책 리뷰 image 3 아란도 2011-07-17 3503
1437 공중길 image 3 김동렬 2013-11-10 3503
1436 다섯가지 키워드 나열법에 대한 건의사항 5 통나무 2009-06-26 3504
1435 비밀에 숲(누가? 진범!) image 6 아나키 2017-06-18 3505
1434 A journey through asia 1 양을 쫓는 모험 2010-04-28 3506
1433 교통과 카스트에 대한 질문.. 3 상동 2013-08-06 3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