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read 5245 vote 0 2012.05.30 (22:15:11)


찡찡이.jpg


양산에서 달이 키우는 냥 찡찡이라고 하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31 (00:57:52)

[레벨:15]르페

2012.05.31 (09:16:22)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12.05.31 (10:24:07)

6807.jpg


뛰어들고 싶은 계절이오..

from iphone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12.05.31 (10:26:12)

시골에서 냥신선과 고고한 생활을 버리고 지저분한 인간세로 뚜벅뚜벅 오시겠구려

from iphone

프로필 이미지 [레벨:14]곱슬이

2012.05.31 (10:39:28)

찡찡이 데따 영리하게 생겼다.

쥐도 잘 잡길.

548760_262970430456701_100002312373069_585429_1352386942_n.jpg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12.05.31 (11:31:34)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31 (12:50:17)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31 (12:54:51)

20120530132005857.jpg

 

이것도 장식 과잉이지만 그럭저럭 무난하다고 볼 수 있소.

요즘 한옥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그냥 과거의 복제는 의미없소.

 

한옥은 대개 지붕에 신경을 많이 써서 장식과잉이오.

서까래 대들보 이런건 대략 필요없소.

 

그런 장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그런 집을 지어야 하오.

더 이상 뺄래도 뺄 수 없다는 그런거.

 

만약 그런 집이 나온다면 건축비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오.

한옥의 본질은 흙과 나무, 채광, 통풍, 마루 이런 것이오.

 

마루 밑은 어둡고 서늘하며

마루 앞의 섬돌은 따뜻하고 그 경계지점에 고양이가 앉아있소.

 

그런게 한옥의 본질이지 처마밑에 잔뜩 장식 붙여놓은 것은

무슨 절집도 아니고 대궐집도 아니고 한옥의 본질에서 벗어난 것이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12.06.01 (01:02:46)

절집, 대궐집은 지붕이 커서  실내에서 천정고가 높아 좋긴 하더라구요.

일반 한옥집도  대청마루는 천정이 높아서 시원하고 제비들이 집짓기도 좋았던 것 같고,

(대청마루에서 밥먹을 때 제비가 머리 위를 날아다님.ㅋㅋ 어릴 때 외가댁)

장식은 최소화 하지만 서까래 대들보가 없으면 지붕크기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요?

[레벨:30]솔숲길

2012.05.31 (12:56:48)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31 (13:05:08)

111.JPG

 

부석사 조사당

이것도 번잡한 것이고

 

여기서 최대한 뺀다면 무엇을 제거할 수 있을까요?

팔작집은 과잉설계라 일단 안 좋고 맞배집이 적당하오.

 

둥근 기둥은 대궐이나 동헌이나 절간에 쓰는 거고

선비집은 둥근 기둥을 쓰면 안 되오. 사각기둥을 쓰는게 정상.

 

서까래도 너무 촘촘한게 안 좋소.

현대식으로 재해석해서 서까래를 줄여야 하오.

 

대들보도 너무 굵은 건데 중압감을 줘서 안 좋고 공포도 단순화 시켜야 하오.

최소화 시키는데 성공한다면 세계적인 건축이 만들어질 수 있소.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12.06.01 (00:47:27)

지금 TV에서 봉화 닭실마을 권벌종택이 나오네요.

그러고보니 양반선비 집은 사각기둥에 팔작지붕이 많은 것 같고 

맞배지붕은 주로 사당에 쓰였던 것 같네요.

 

사각기둥,주심포,맞배. 여기에 지붕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건축물의 가장 기본적인, 보편적인 가치와 미학을 완성할 수 있겠군요.

종묘를 건축한 나라의 후손답게.

 

한옥의 가치를 말할 때 곡선의 미학을 얘기하는 걸 많이 들었던 것 같은데

(중국의 과장스러움보다는 확실이 부드러운 곡선이 낫지만  핵심을 얘기하는 건 아니겠네요.)

그보다 완전한 건축적 구조를 추구하는 데에 그 가치가 더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옥의 구조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니

한옥이 유물로서만이  아니라 승계할 수 있는 위대한 자산으로 보이네요. 

 

img04.jpg

 

reimg01.jpg

 

reimg02.jpg reimg03.jpg

 

종묘(위)

 

---------------------

 

수덕사 대웅전(아래)

jbcaesar_100644_1[1].jpg

 

 

종묘건물과 수덕사 대웅전의 측면에 서서 맞배지붕을 만났을 때

느껴지던 그 먹먹한 감동의 기억이 ...

 

 

첨부
[레벨:30]솔숲길

2012.05.31 (14:45:38)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2.05.31 (16:16:58)

 
 

 

프로필 이미지 [레벨:17]안단테

2012.05.31 (17:54:06)

IMG_9767.jpg

영화 보는 금낭화.... ^^  

첨부
[레벨:12]부하지하

2012.05.31 (19:27:30)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12.06.01 (01:19:49)

하루 일을 마치고 가는 중?

 

해지는 풍경이 좋아.

어린 왕자가 의자를 옮기 듯

해지는 풍경을 바라보며 차를 달려보지만

이내 어둠이 밀려오고............

멀리서 반짝이는 별................

 

프로필 이미지 [레벨:10]id: 최호석최호석

2012.05.31 (23:01:5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5607 꽃뿔소 출석부 image 39 솔숲길 2013-08-08 8054
5606 좌절극복 출석부 image 11 김동렬 2013-08-09 12531
5605 그물 출석부 image 20 아란도 2013-08-10 6535
5604 대단한 출석부 image 28 김동렬 2013-08-11 7798
5603 시원한 출석부 image 26 김동렬 2013-08-12 8951
5602 꽃길 출석부 image 24 mrchang 2013-08-13 9085
5601 시원한 바다 출석부 image 23 김동렬 2013-08-14 7868
5600 막무가내 출석부 image 15 김동렬 2013-08-15 6585
5599 깜짝 출석부 image 19 김동렬 2013-08-16 7221
5598 통뼈 출석부 image 17 ahmoo 2013-08-17 6694
5597 구름바다 출석부 image 17 김동렬 2013-08-18 7352
5596 서점 출석부 image 16 차우 2013-08-19 7629
5595 소파 출석부 image 22 김동렬 2013-08-20 7113
5594 쌍쌍 출석부 image 27 김동렬 2013-08-21 10204
5593 시원한 출석부 image 20 김동렬 2013-08-22 7554
5592 이리와봐 출석부 image 14 김동렬 2013-08-23 6011
5591 생각의 출석부 image 14 냥모 2013-08-24 6510
5590 큰 구름 얼굴 출석부 image 11 김동렬 2013-08-25 6040
5589 몰래 출석부 image 23 김동렬 2013-08-26 5795
5588 아득한 출석부 image 19 김동렬 2013-08-27 6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