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다양한 책을 읽기에는 먹고사니즘과 게으름 때문에 힘이 듭니다.해서 김동렬님이 이런 책은 한번씩 읽으면 좋겠다 하는 것이 있으면 추천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추신 : 소설로서 저 개인적으로는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 강추입니다.다양한 번역본이 있는데 저는  장선영 교수 것이 최고라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29 (23:06:51)

책은 맥락을 모르고 읽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유명한 옛날 고전영화를 지금 보면 재미가 없습니다.

 

요즘은 영화기술이 발달한데다 옛날 명화를 다 표절했기 때문에

표절한 모방작을 먼저 보고 원작을 나중에 보니 당연히 재미가 없지요.

 

좋은 책도 그 당시 기준으로 좋았다는 거고 지금 보면 의미를 놓칩니다.

맥락을 알려면 한 두권 봐서 안 됩니다. 설명해주는 사람도 없고.

 

일단 거의 모든 책을 대충이라도 섭렵하고 난 다음에 이야기해야 합니다.

철학책 백권 보다 인류학 책 한 권이 더 낫습니다. 그것도 맥락을 알아야 낫다는 거고.

 

하여간 맥락을 알려면 수박 겉핥기라도 대략 도서관을 섭렵해야 합니다.

예컨대 옛날 고담소설에는 흔히 남장여자가 나옵니다. 당시에도

 

문학의 독자는 여성이 많은데 조선시대에 여자가 칼차고 돌아다닌다면 이상하니까

남장여자로 설정하지요. 그런 내막을 모르고 그냥 보면 당연히 재미가 없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5]비쨔

2012.05.30 (05:51:22)

요즘 고전 읽기 붐인데 그냥 읽기만 한다고 깨달아지는 것은 아니구만요. 아~힘들어라 ㅋ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992 서경대학교? 까뮈 2013-04-13 3034
2991 사람들은 왜 80년대를 추억하지 않을까? 7 까뮈 2015-01-18 3033
2990 유시민 + 아는 얼굴 image 8 곱슬이 2011-11-10 3033
2989 자본주의 4.0?? 1 RI.JAE 2011-10-14 3033
2988 구조론과 아토피 질문^^ 1 기똥찬 2011-05-25 3033
2987 안녕하세요! 1 강아지눈 2008-11-10 3033
2986 7월 충남보령 구조론모임 공지 (무창포 비체팰리스) 5 이산 2016-06-20 3032
2985 <스마트 폰과 마음 - 인간연구> 아란도 2013-10-04 3032
2984 선거전 예상과 결과. 1 육각수 2010-06-03 3031
2983 우리는 가르치지 않는다.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6-02 3031
2982 무한 동력 - 가능한건가요? 7 무득 2015-03-10 3030
» 김동렬님...혹 이런 책은 꼭 읽어 봤으면 하는게 있는 지요? 2 까뮈 2012-05-29 3029
2980 강용석 쟤는 2 다원이 2012-02-05 3030
2979 이전 게시판입니다. 김동렬 2020-05-31 3029
2978 신의 증명과 불완전성 정리, 러셀의 역설 챠우 2018-06-21 3029
2977 언어의 원형(한글과 영어의 원초적인 차이점) 1 챠우 2016-06-13 3029
2976 이 영상은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3 까뮈 2014-06-20 3029
2975 그는 아직까지 당신의 대답을 기다리고 있다. image 1 15門 2014-01-20 3029
2974 계백 이야기는 어디까지가 진실인지.... 2 이상우 2011-11-22 3029
2973 무상급식 투표율...ㅠ 6 다원이 2011-08-22 3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