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6]태곰

2012.05.07 (08:23:22)

와...우........ 정말 복잡 과정을 거치는 군요. 


들어가는 목재 하나하나 사람손으로 미리 다듬고, 모양낸 다음에 조립하는 것이 참 대단해 보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2.05.07 (09:23:54)

구조의 딜레마.

 

기둥을 먼저 세우고 인방을 끼운다음

다시 나무 망치로 때려서 기둥의 위치를 약간 옮겨야 한다는 것.

 

근데 궁궐의 거대기둥은 어케 끼우지?

망치로 때린다고 기둥이 들어가남>?

 

아래 인방을 이미 끼웠는데

이제 위의 인방을 끼워야 할 때는 어떻게 하지?

 

이미 끼운 기둥을 또 빼내남?

위의 인방을 끼우기 위해 기둥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 아래 인방이 낼름 빠지자나?

 

설령 인방을 끼운다 한들 그 들어가는 깊이가 너무 얕잖아.

이런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철제 경첩과 쇠못 혹은 볼트와 너트를 쓰는 것임.

그러나 그건 서양놈들이 쓰는 야매임.

 

야매의 방법을 안 쓰고 정통적인 방법으로

구조의 딜레마를 해결하면 10조원을 벌어서 상금으로 주겠소.

 

10조원은 너끈히 벌 수 있다는 말이오.

 

###

 

구조의 딜렘마는

인방의 길이는 기둥 사이 간격보다 크다.

 

이는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소.

구조재의 정보 총합은 구조재의 에너지 합보다 크다.

 

완제품은 부품의 합보다 크다.

질은 양의 합보다 크다.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왜? 포지션이 들어가 있으니까.

 

인방의 끝에 난 돌기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

그 부분 때문에 구조의 딜렘마가 생겨나오.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이 그 출입문보다 크다는 것.

냉장고에 코끼리를 집어넣어야 하는 문제이오.

 

이 문제를 푼 사람은 아직 없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536
1935 동양의 음양사상과 서양의 논리학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6-29 10239
1934 직장생활의 지랄성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7-02 9975
1933 구조론적 개입 -양육- 3 오세 2010-07-12 5913
1932 중력에 대한 새로운 이론 image 7 김동렬 2010-07-14 9518
1931 척력. 2 아제 2010-07-14 7325
1930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317
1929 정답 "닭이 먼저다"- 과학이 진도 나가오. 1 ░담 2010-07-15 7820
1928 문제란 무엇인가?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7-16 8588
1927 의미는 상황이다. 1 아제 2010-07-16 6616
1926 멈추지 말라. 5 아제 2010-07-18 7058
1925 좋은 일. 3 아제 2010-07-19 6428
1924 흑인 부부가 백인 아기 낳아 image 15 김동렬 2010-07-20 25927
1923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300
1922 튕김과 집착은 같은 것이다 3 오세 2010-07-25 8031
1921 참고 살면 말이 많아진다. 오세 2010-07-25 8063
1920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284
1919 책. 3 아제 2010-07-31 6263
1918 生의 모델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8-02 6485
1917 시간의 강가에 앉아 image 1 ahmoo 2010-08-02 5832
1916 진.선.미.주.성에 대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7 아란도 2010-08-03 7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