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일반인들 대상으로 페이스북에 쓴 글입니다.

 

이번에 정견과 상관 없이 품행에 문제가 된 후보가 대략 4명이 출마를 하여 문제가 되었다. (친일을 합리화한 하태경은 정견 문제니 제외하고) 그런데, 재미있는 것이 법적 기준이나 소위 선진국 기준 글로벌 스탠다드의 잣대로 보았을 때, 가장 경미한 수준의 후보가 가장 가혹한 응징을 받았고, 가장 심한 후보가 현재로서 가장 가벼운 대가를 치르고 있다.

내가 보았을 때 4명의 순서는 행위가 가벼운 사람부터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김용민 - 막말. 8년전 인터넷 성인 방송에서 한 말. 법적으로 기소 건도 안됨, 그런데, 선거 내내 가장 많은 비난을 들어 가며 결국 낙선.

 

2. 강용석 - 명예훼손. 2년전인가 맥주 자리에서 여자 아나운서들 보고 성상납하면서 그 자리 올라간 집단으로 지칭한 것이 법원에서 유죄로 인정됨, 김용민보다 최근 일이고, 김용민처럼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도 안하고, 죄질도 심함. 그런데도, 선거 기간 비난 거의 없이 넘어 감. 결국 낙선.

3. 김형태 - 처제 강간 미수. 내용을 더 말하면 입이 더러워지므로 생략함. 언론으로부터 별 비난도 안 받음. 버젓이 당선. 징계가 거론되자 탈당.

4. 문대성 - 논문 대필. 공직에 가장 큰 문제가 있는 사건. 왜냐하면, 논문 대필로 박사 학위 따고 교수되고, IOC 위원 되고, 결국 국회의원 공천도 받음. 역시 보호를 받으며 버젓이 당선. 당선 후에도 조선일보의 보호를 받으며 징계 속도도 김형태보다 미적 거리다 아직 탈당도 안하고 있음. (오늘 제명 예정이라고는 하는데.)

이것은 우리 사회의 사람에 대한 평가 시스템이 뭔가 큰 문제가 있다고 불 수 밖에 없다. 물론 이렇게 된 데에는 언론과 지식인들의 책임이 크다.

특히 논문 대필은 아주 큰 문제이다. 선진국에서는 남의 아이디어를 훔친다던지 사술을 써서 학위를 딴다면, 가차 없이 공직 사회에서는 퇴출, 매장이 된다. 얼마전 헝가리 대통령도 문대성보다 약한 표절 범죄만으로도 물러난 일이 있다. 앞의 3명과도 다르게 문대성 당선자에 대해서는 외신이 보도하고 있고 IOC에서도 지켜 보고 있다.

조선일보등이 툭하면 미국등 선진국 운운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태도가 180도 돌변한다. 이 땅에서 이 나라를 선진국으로 만들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조선일보를 그냥 둘 생각을 하는 것은 큰 모순이다.

문대성 같은 경우는 당에서 제명하고 끝날 일이 아니다. 국회의원 제명 처분까지 해야 국격이 바로 선다.


[레벨:1]장선일

2012.04.22 (05:31:46)

나꼼수가 보수쪽 하도 쑤쎠놔서 그반동작용인듯하고 언론조작이 너무 많아서 사회적평가라기보단 희생양이 된듯한데요... 근일주일 불법부정선거 관련해서 언론기사를 주시했는데 언론플레이가 이정도로 심한건지 몰랐습죠...에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532 바라님 가족이 '묻지마 칼부림'의 피해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26 냥모 2015-07-19 3410
3531 돈에 대한 .... 6 지여 2010-11-02 3410
3530 사이트 관리를 강화하겠습니다. 1 ahmoo 2014-03-25 3408
3529 찻상차림 image 1 아란도 2014-11-18 3406
3528 마음추상화 image 8 아란도 2013-01-14 3405
3527 배송 확인 부탁합니다. image 2 kachaku 2009-01-15 3405
3526 역적들이 친노가 제일 두려운가봐요 4 배태현 2012-12-24 3404
3525 글읽는 순서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2 생각의 질서 2009-07-06 3404
3524 개인주의자 연습 15 systema 2016-01-27 3402
3523 생활의 달인, 냥모떡볶이 편 9 냥모 2013-04-24 3402
3522 도서주문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노란고양이 2009-08-13 3400
3521 상실감(1) 8 아란도 2013-02-12 3399
3520 "경쟁에 반대해라",,,,,,,그 다음은? 2 일반이론 2011-03-23 3399
3519 4대강 사업 OUT! 조계사 수륙대제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0-04-17 3396
3518 그냥 이런영상 한번씩 보고 있다오 1 폴라리스 2009-06-12 3396
3517 윤여준 2 아란도 2013-02-22 3395
3516 영화와 수학. image 10 아제 2015-01-13 3394
3515 독서메모 "영원한 어린아이, 인간" 클라이브 브롬홀 지음 image 2 이기준 2011-09-29 3394
3514 ... 1 마을숲 2008-08-01 3394
3513 달이뜨다 <write by 김동렬> image 10 아란도 2012-11-06 3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