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read 7149 vote 0 2002.09.10 (11:20:23)

이 글은 색정남녀에 관한 글에 대한 질문..색정이 머시냐? ..카는데
대한 답글입니다.

색정....말그대로 하면 그냥 성욕입니다. 근데 그냥 성욕이 아니라 인간
의 의식적인 의지가 가미된 욕구 - "아 거시기 하구 싶다. ..." 이런거

즉 조건반사에 의해 나타나는 기양 족꼴림이 아니라 .."앗 삼삼한 여자
다..옷 족꼴려.." 하고 인간의 판단과 상상력이 개입된 끌림을 색정이라
카는 겁니다.

제 글에서 색정의 의미는 섹스가 가져다 주는 쾌락, 혹은 수컷의 정복
욕구, 암컷의 번식욕구, 또는 카사노바의 수집취미고 간에 상상력이 만
들어낸다는 것입니다.

더 명백히 말하자면 호기심, 상상력, 창의력이 섹스에 쾌감을 부여한다
는 거죠. 물론 동물들은 상상력 없이 흘레를 붙기도 하는데 그래도 그
전단계에 짜웅을 하는 춤을 추고 별 짓 다 합니다.

그니까 짐승들도 바퀴벌레가 아닌 다음에야 먼저 짝짓기춤을 추고 구
애행각을 하고 먼가 분위기를 잡는다는 거죠. 심지어 백수의 왕 사자
란 넘도 은근히 암컷 궁뎅이에 뺨을 부비지를 않나..하여간..

그려서 만약 누군가가 에흠 나 100명의 여자를 후려먹었다거나 하는디
괜히 샘이 난다거나 약이 오른다거나 다 그대의 풍부한 상상력이 그러
코롬 만들어부렀다는 거이죠.

더 자세하게 말한다면 섹스의 쾌락의 9할은 잉간들의 상상력이 만드는
고로..역으로 말해서 상상력없이 섹스하는 넘은 ..일테면 전희도 후희도
안하고 ..사랑한다는 귀엣말도 안하고 그냥 바굴에만 열중 ..그니까 피
스톤운동에만 에너지를 쏟는..덜떨어진 즘승들은 섹스 그 쾌락의 9할을
기양 내다버리는 거지요. 이왕이면 풍부한 상상력이 개입된 즉 참된
사랑에 기초한 섹스가 낫다는 거죠. 상대방을 즐겁게 하려는 의도가
내포된 섹스 말입니다.

고로 거꾸로 말해서 인간의 성적인 윤리나 금제나 타부나 도덕이나 다
상상력이 만들었다는 거에요. 그대의 상상력이 그대의 섹스에 쾌락을
줌과 동시에 그대의 그러한 상상력이 역시 윤리적 금제를 만들었다는
점을 정확히 간파하면 인간의 삶이 더 평화로와지지 않겠느냐는 것이
영화 색정남녀의 교훈이 된다 마 이런 이바구..이해하겠음둥?

영화 색정남녀는 그냥 섹스예찬이 아니라 결국 인간의 상상력이 쾌락
을 만듬과 동시에 인간을 억압하고 금제하고 윤리하고 머시기한다는
점을 통렬하게 파악하여 냄으로써 인간에게 평화를 가져다준다는 선한
영화임을 알고보면 더 재미있지 않것느냐는 영화보는 기법에 대한 설
파임..

이런 거시기를 모르고 영화를 보는디 음 조 조.....(송강호버전으로)..작
것들이 시방 머하는 짓들이당가? 머시라. 촬영멤버들이 전부 길바닥서
홀딱벗고 빨가쟁이로 촬영을 해버렸다고라고라...감독도 홀랑 조감독도
홀랑 카메라맨도 홀랑..엑스트라도 홀랑...띠옹..@,.@~ 우에? 조선팔도
에 이런 일이 없었는디 ..에고에고 윤리와 도덕이 시방 땅에 떨어져삐
릿고마 내 양반의 후손으로써 참을수 없도다 이래대삐는 지만 재미없
으니끼니 지 손해가 아닌가 그 이바구임다. 그래바짜 6000원 아깝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11 달마가 서쪽에서 온 까닭은? 2004-06-02 7184
» 색정남녀를 보는 법 2 2002-09-10 7149
309 좋은 직업과 나쁜 직업 2003-01-28 7115
308 위험한 라즈니시병 2004-06-07 7046
307 깨달음의 의미는 김동렬 2005-12-20 6774
306 천자문의 어떤 해석 2003-06-29 6770
305 불 끄는 개 2003-05-09 6762
304 믿음이란 무엇인가? image 2004-07-01 6753
303 유교주의의 병폐와 한계 2004-05-04 6740
302 나는 무엇을 믿는가? 김동렬 2006-01-26 6735
301 고등학생을 위한 철학이야기 2002-09-10 6717
300 관광객과 순례자의 차이 김동렬 2006-02-02 6710
299 사랑이 의무일 수있는가? 2004-09-15 6683
298 꽃잎 하나가 떨어지네 2002-10-27 6658
297 행복은 단지 한 순간 스치고 지나가는 것인가? 2004-09-29 6638
296 마흔 고개를 넘으면서 김동렬 2005-10-31 6637
295 죄와 벌 2002-09-06 6606
294 이런 날 술 한잔 하고 싶은 이유 김동렬 2005-10-01 6564
293 꿈은 필요한가? 2004-09-10 6552
292 유아독존을 깨달음 김동렬 2006-11-10 6550